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우주선이 방문한 소행성체와 혜성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소행성체 목록
요약
관점
1991년 이후로, 16개의 소행성체를 방문했다. 행성, 위성, 혜성은 소행성체가 아니므로,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소행성체와 우주선 거리가 100,000 km가 넘는 것은 방문했다고 고려하지 아니므로, 이 목록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허블 우주망원경이 몇몇 큰 소행성을 탐사한 것도 포함하지 않는다.
- 소행성체와 우주선 거리가 100,000 km가 넘는 목록 (5개)
- 132524 APL : 뉴 허라이즌스 (101,867 km)
- 2685 마수르스키 : 카시니-하위헌스 (1,600,000 km)
- 307 니케 : 파이어니어 10호 (8,800,000 km)
- 2 팔라스 : 허블 우주망원경
- 3 유노 : 허블 우주망원경
Remove ads
혜성 목록
요약
관점
혜성이 방문한 우주선
C/2013 A1이 2014년 10월에 지구-달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로 통과했다.[9] 2014년 초, 13만km 거리로 통과할 것이라고 계산했다.[9] 이는 매우 가까웠기 때문에, 화성 주변의 궤도선, 착륙선이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10] 그 당시 활동 중인 우주선은 (이하 화성의 궤도) 2001 마스 오디세이, 마스 익스프레스, MAVEN, 망갈리얀, 화성 정찰위성 – (이하 화성의 표면) 화성 탐사 로버 오퍼튜니티, 화성 과학 실험실 큐리오시티 .
Remove ads
방문 계획
요약
관점
소행생체 방문 계획
소행생체 방문 계획이다. 루시가 몇몇 목성 트로이군과 소행성대 안쪽을 방문 할 예정이다.[11]
이전 방문 예정 목록
이 목록은 예전에 계획을 했다가, 여러 가지 사유로 방문이 취소된 목록이다.
소행성에서 토양 샘플 채취한 우주선
소행성에서 토양 샘플 채취하는데 성공한 국가
2020년까지 일본은 소행성에서 암석을 채취해온 유일한 나라였다.[14][15] 그러던 2020년 10월 미국 우주선이 소행성 베누에 성공적으로 착륙해서 토양 샘플을 채취했다. 이로 인해 일본에 이어 세계 2번째로 소행성에서 토양 샘플을 채취한 국가가 됐다.[16] 이 우주사업이 중요한 이유는 생명의 기원과 먼 옛날의 우주 환경에 대해 연구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17]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소행성에 우주선을 착륙시키고 암석까지 채취하는 소행성 암석 채취 기술은 매우 어려운 고난이도 기술이라고 불리는데, 과학자들이 빗대어 말하길, "지구 반대편의 파리(곤충)를 총으로 쏴서 맞추는 수준"의 어려운 난이도라고 한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