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운문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운문사(雲門寺)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虎踞山)에 있는 사찰이다.[2]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3] 중국 당나라시대 선사인 운문종 개창조 운문문언의 이름에서 따왔다.[4]
비구니 사찰이고, 비구니 교육 전문 승가대학인 운문승가대학이 있다.[5] 부속암자 가운데는 나반존자 기도도량인 사리암이 가장 유명하다.
2023년 5월 4일부터 무료입장이 가능해졌다.[6] 그러나, 면제는 문화재 관람료이고, 자동차를 타고 오면 주차비는 내야 한다.[7]
Remove ads
연혁
삼국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Remove ads
주요 볼거리

건축물
- 대웅보전 : 새로 신축한 전각으로 운문사에서 제일 큰 전각이다. 운문사의 모든 비구니들이 예불을 올릴 수 있을 만큼 크다.
- 비로전 : 원래 대웅보전이었으나, 새로운 대웅보전이 건축되고 나서는 비로전으로 바뀌었다.
- 만세루
- 응진전 : 석가모니 부처와 제자들이 있다.
- 관음전 : 관세음보살이 있다.
- 작압전 : 운문사의 과거 이름이 대작갑사(大鵲岬寺)였다. 작압전(鵲鴨殿)은 운문사의 시작을 알려주는 중요한 전각이다.
- 명부전
- 오백전 : 오백나한이 있다.
- 칠성각
- 전향각 : 손님 거처이다.[9]
- 법륜 :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륜성왕의 윤보(輪寶)에 비유한 것이다.[10]
- 왼쪽은 대웅보전, 오른쪽은 만세루, 중앙은 법륜
- 왼쪽은 오백전, 오른쪽은 비로전(구. 대웅보전), 중앙은 삼층석탑
- 앞쪽 중앙은 작압전, 오른쪽 뒤편은 만세루
- 칠성각
- 전향각
보물

- 보물 제193호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淸道 雲門寺 金堂 앞 石燈)
- 보물 제208호 - 청도 운문사 동호(淸道 雲門寺 銅壺)
- 보물 제316호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 보물 제317호 - 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淸道 雲門寺 石造如來坐像)
- 보물 제318호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淸道 雲門寺 石造四天王像)
- 보물 제678호 -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淸道 雲門寺 東ㆍ西 三層石塔)
- 보물 제835호 -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 보물 제1613호 - 청도 운문사 비로자나삼신불회도(淸道 雲門寺 毘盧遮那三身佛會圖)
- 보물 제1817호 -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觀音菩薩 達摩大師 壁畵)
천연기념물

- 천연기념물 제180호 -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淸道 雲門寺 처진소나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24호 - 청도 운문사 만세루(淸道 雲門寺 萬歲樓)
Remove ads
오갑사
560년(신라 진흥왕 21년)에 신승(神僧)이 도우 10여명과 함께 5개의 절인 오갑사를 창건하였다.[11]
- 대작갑사 : 중앙에 위치하였다. 지금의 운문사다.
- 가슬갑사 : 운문사로부터 동쪽 9000보 지점에 위치하였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 천문갑사 : 운문사로부터 남쪽 7리쯤에 위치하였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 대비갑사 : 운문사로부터 서쪽 10리에 위치하였다. 지금의 청도 대비사다.
- 소보갑사 : 운문사로부터 북쪽 8리에 위치하였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부속 암자
운문산 4굴
동서남북 순으로 나열한다.[13]
- 동쪽 : 사리굴(邪離窟)
- 서쪽 : 화방굴(火防窟)
- 남쪽 : 호암굴(虎巖窟)
- 북쪽 : 묵방굴(墨房窟)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