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울릉군
대한민국 경상북도의 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울릉군(鬱陵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의 군이다. 동해상의 울릉도 본섬과 44개 부속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한민국의 최동단에 위치한 기초지방자치단체이자 경상북도의 최북단·최동단에 위치한 기초자치단체이며, 주민 수는 약 9천 명으로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중 인구가 가장 적다. 군청 소재지는 울릉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2면이다.
울릉도는 해안선 길이 64.43km의 화산암 지역으로, 섬의 중앙부에는 성인봉(984m)이 솟아 있고 칼데라 화구가 함몰하여 형성된 나리분지가 있다. 주상절리, 기암괴석, 용출수, 원시림 등 자연자원이 풍부하고 39종의 특산식물과 6종의 식물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드문 해양성 기후로 일교차가 작고 눈이 많이 내린다. 특산물로는 오징어, 호박엿, 산나물, 울릉약소 등이 유명하다.
Remove ads
역사
- 청동기시대(기원전 1000~300년) 또는 철기시대 전기 (기원전 300년~1년) : 울릉도에 최초로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지석묘, 무문토기, 갈돌, 갈판(현포, 남서, 저동리)
- ~ 512년 : 우산국
- 512년(신라 지증왕 13년) : 신라장군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했다.
- 930년(고려 태조 13년) : 조공한 우릉도(芋陵島) 주민에게 작위를 하사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 여진족의 침입을 받고 농업을 폐하게 되어 이원구를 보내어 농기구를 하사하였다.
- 1032년(고려 덕종 원년) : 우릉성주가 아들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 1157년(고려 의종 11년) : 우릉도 주민을 이주시킬 계획으로 명주도 감창사 김유립을 보내 조사케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
- 1379년(고려 우왕 5년) : 7월 왜구가 무릉도(武陵島)에 침입하여 보름을 머물다 돌아갔다.[2]
- 1417년(조선 태종 17년) : 김인우를 안무사로 파견하여 주민들을 귀환시켰다. 강원도에서 관할.[3]
- 1614년(광해군 6년) : 대마도주에게 울릉도(鬱陵島)에 왜인들의 왕래를 금지하는 금약을 준수하라는 서계를 보냈다.
- 1693년(숙종 19년) : 울릉도에서 안용복 일행과 일본 어부들의 충돌로 조선과 일본사이 외교분쟁 발생. (안용복 1차 도일)
- 1694년(숙종 20년) : 삼척첨사 장한상 울릉도 수토
- 1696년(숙종 22년) : 안용복 2차 도일 일본 백기주(伯耆州) 태수와 담판,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인정(일본인의 출어,벌채금지서계 조선에 전달)
- 1882년(고종 19년) : 이규원 검찰사 울릉도 검찰, 울릉도 개척령 반포, 전석규 도장에 임명. (수토정책 철폐)
- 1883년 : 울릉도 주민 이주 시작(16호 54명)
- 1895년 : 삼척영장 겸임 도장제에서 전임 도장(島長)을 임명함. 도장을 도감(島監)으로 개칭.
- 1900년 : 울릉도를 강원도 울도군(鬱島郡)으로 개편하고, 그 아래 남면(南面)과 북면(北面)을 두었다. 도감을 군수(郡守)로 개칭. (2면)
- 1903년 : 군청 소재지가 태하(台霞)에서 도동(道洞)으로 이전되었다.
- 1906년 : 울도군을 강원도에서 경상남도로 이속하였다.[4] 남면 일부(남양동, 석문동, 통구미동, 남서동, 구암동) 및 북면 일부(태하동, 학포동)에 서면(西面)을 신설. (3면)
- 1914년 : 경상남도에서 경상북도로 이속[5]
Remove ads
지리
요약
관점
지형
울릉도는 동해의 해저에서 분출한 마그마가 굳어서 형성된 화산섬이다. 울릉도는 형성된 지 오래되지 않았으므로 화산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다. 화산체의 약 2/3는 바다에 잠겨 있으며 해수면 위로 드러난 부분은 경사가 급한 산지를 이루고 있다. 산 정상에는 칼데라 분지인 나리 분지가 있으며 나리 분지 내에는 알봉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이중 화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8]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 유명하며 해상에서는 특이하고 독특한 울릉도의 지형이 관찰된다. 섬 대부분이 험준한 산악 지대이다.
기후
독도를 포함한 울릉도 부근 지역의 기후는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를 띠고 있다. 연평균 기온은 약 12~13°C이며 가장 더운 달인 8월의 평균기온도 24°C를 넘지 않아서 여름에도 시원한 편이다. 연중 85%가 흐리거나 눈비가 내려 비교적 습한 지역이다. 그리고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기온은 1.7°C로 온난한 편이다. 울릉도 주변 지역은 안개가 많고 연중 흐린 날이 160일 이상이며, 비가 내리는 날은 150일 정도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00~1500mm 정도이다. 겨울철 강수는 대부분 눈이 쌓인 적설의 형태이며, 폭설이 자주 내린다. 울릉도의 바람은 서풍과 남풍계열이 출현빈도가 높으며 연간 평균풍속은 4.3m/s이다.[9]
Remove ads
행정 구역
울릉군의 행정 구역은 1읍, 2면, 1출장소가 설치되어 있고, 면적은 73.33km2이다.[12]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8,996 명, 5,479 가구이고, 전체 인구의 70.8%가 울릉읍에 거주하고 있다. 남녀의 성비는 1.24:1인데, 인천광역시 옹진군(1.33:1) 다음으로 남초 현상이 심하다. 울릉군의 주민등록 인구는 1974년에 2만9810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계속 감소하여 2017년 11월 이후로는 1만 명 아래로 줄어든 상태이다.[1]
섬
인구
군청
관광

독도는 울릉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천연기념물 제 336호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 이름은 독섬으로 한자화되면서 독도가 되었다고 전한다. 독도는 해저 약 2,000m에서 솟은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으로, 대략 460만 년 전부터 약 250만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울릉도(약250만 년 전)보다 약 200만 년, 제주도(약120만 년 전)보다는 약 340만 년 앞서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동안 거친 바람과 파도에 꺾이면서 오늘날의 모습을 하고 있다.
- 풍혈
풍혈 (風穴)은 한여름에도 서늘한 냉기가 나오는 곳으로, 봉래폭포를 찾는 사람들의 필수 코스 중 하나이다. 땅 밑을 흐르는 지하수의 찬공기가 바위틈으로 흘러나와 항상 섭씨 4°C를 유지하기 때문에, 여름철 온도가 24°C 이상 올라갈 때는 찬공기로 느껴지며, 겨울철 대기 온도가 영하로 내려갈 때는 오히려 따듯한 느낌을 준다.[16]
- 행남산책로 - 도동부두 왼쪽 해안을 따라 만들어진 산책로이다. 자연동굴과 골짜기를 잇는 교량 사이로 펼쳐지는 해안비경을 볼 수 있다.
Remove ads
교통
여객선
여객선은 울릉도를 접근하는 가장 일반적인 교통수단으로 다음과 같은 곳에서 울릉도 저동항에 여객선을 타고 접근할 수 있다.
- 묵호여객터미널
- 대아고속여객선 (썬플라워호, 오션플라워호, 씨플라워호)
- 울진후포항 여객터미널
- 동해해상해운
- 포항여객터미널
- 강릉항여객선터미널
차량 및 화물승선은 포항에서만 가능하며, 울릉도는 LPG와 수소충전소가 없으므로 LPG 차량(현대 넥쏘 -수소차)은 입항이 되지 않는다. 단 전기차는 입항이 가능하며 울릉도 도동항에서 독도를 운항하는 것은 오션플라워호와 씨플라워호 그리고 삼봉호, 씨스타호가 있으며, 정기 운행은 되지 않는다.
버스
울릉군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은 총 4개이며 운영업체로는 무릉교통이 유일하다. 대부분 중형차량이나 소형차량으로만 운행한다.
도로
울릉도의 도로는 울릉도 전체를 일주하는 울릉도 일주도로가 있다. 또한 독도에는 독도안용복길과 독도이사부길이 있으며 울릉군의 본섬에는 태하령길 등 여러 지선 도로도 존재한다.
항공 교통
울릉도 가두봉 인근의 바다를 매립하여 1,200m급 활주로를 건설한 뒤, 공항을 건설하여 향후 제트기가 취항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칭 울릉공항 건설 계획이 추진되었으며 2020년 11월 27일에 착공됐고,[17] 2026년 12월 개항 예정이다.
Remove ads
문화
의료기관
- 울릉군 보건의료원
http://www.ulleung.go.kr/health/
Remove ads
직속기관
- 울릉군 보건의료원 http://www.ulleung.go.kr/health/
- 울릉군 농업기술센터 http://www.ulleung.go.kr/ula/
사업소
관공서
- KT 울릉지사
- 국민연금공단 울릉상담센터
- 국민건강보험공단 울릉출장소
- LX한국국토정보공사 울릉지사
- NH농협은행 울릉군지부
- 새마을금고
- 수협
- 울릉농협
교육 기관
- 울릉교육지원청 http://www.kbuled.go.kr 보관됨 2018-12-27 - 웨이백 머신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유치원
기타
울릉군에는 기상 등의 문제로 인해 정시에 시험지가 발부 및 회수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울릉군에서는 자격 시혐 등 국가공인시험 중 필기 부문이 치러지지 않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장이 없어 울릉도 학생들은 포항 등 외지로 나가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본다.[22] 다만 통신의 발달로 인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장이 설치될 가능성도 대두되었으나, 2018년 수험생과 학부모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수시 대비 등의 이유로 80%가 군내의 수능 시험장 설치를 반대했다.[23]
자매 도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