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안군
대한민국 전라남도의 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신안군(新安郡)은 대한민국의 전라남도에 위치해있다. 지리적으로 황해와 다도해에 접해 있으며, 압해도, 암태도, 자은도, 증도, 팔금도, 안좌도, 도초도, 비금도, 임자도, 신의도, 하의도, 장산도, 지도, 흑산군도를 포함하여 총 1,004개[3]의 섬으로 이루어졌다.[4][5][6][7]
신안군의 면적은 655.68km2이고,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43,294 명이다. 섬이라는 특성 때문에 인근 육지 지역인 목포시와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한다. 군청 소재지는 압해읍이고, 행정구역은 2읍 12면이다. 특산물은 홍어, 천일염, 김, 시금치 등이 있다.
Remove ads
역사
고대
- 본래 백제의 아차산현(阿次山縣), 거지산현(居知山縣), 고록지현(古祿只縣), 아로현(阿老縣) 지역이었다.
-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당나라의 웅진도독부가 설치되었으나, 신라가 이를 몰아내고 발라주를 설치하여 이에 속했다.
- 685년 발라주가 무진주로 변경되어 여기에 속했다. 아차산현이 군으로 승격하여 다른 3개현을 관할하였다.
- 757년 아차산군을 압해군(壓海郡 또는 押海郡)으로, 거지산현을 안파현(安波縣)으로, 고록지현을 염해현(鹽海縣)으로, 아로현을 갈도현(碣島縣)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 고려시대에 압해군은 압해현으로, 안파현은 장산현(長山縣)으로 개칭되어 나주목의 속현이 되고, 염해현은 임치현(臨淄縣)으로, 갈도현은 육창현(陸昌縣)으로 개칭되어 무령군(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후 압해현이 영광군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나주목에 편입되었다.
- 고려 말기 왜구의 잦은 침입으로 공도책(空島策)이 시행되어 주민들을 육지로 이주시키고, 도서지역 고을들이 모두 폐지되어 인접한 육지의 고을에 편입되었다.

지도군
- 1896년 2월 3일 : 무안군·나주군·영광군·부안군·만경군의 섬들을 관할로 전주부 지도군(智島郡)이 설치되었다. 같은 해 8월 4일에 이십삼부가 폐지되면서 전라남도 지도군이 되었다.
무안군 일부
신안군
- 1969년 1월 1일 : 무안군 지도면, 압해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이 신안군으로 분군하였다.[12] 군의 이름인 신안(新安)은 '새로운(新) 무안(務安)'이란 뜻에서 지어졌다. (11면)
- 1971년 6월 1일 : 압해면 매화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13]
- 1974년 10월 18일 : 하의면 상하태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14]
- 1980년 4월 1일 : 지도면 선도출장소, 흑산면 태도출장소, 안좌면 자라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15]
- 1980년 12월 1일 : 지도면이 지도읍으로 승격하였다.[16] (1읍 10면)
- 1983년 2월 4일 : 흑산면 홍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17]
- 1983년 2월 15일 : 지도읍 증도출장소, 하의면 상하태도출장소가 각각 증도면·신의면으로 분리 승격되었고, 안좌면 팔금출장소가 팔금면으로 승격 분리되어 다시 설치되었다. 또, 진도군 조도면 만재도리가 흑산면에, 조도면 고평사도리(신설)가 신의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1읍 13면)
- 1988년 3월 5일 : 증도면 병풍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18]
- 1989년 1월 1일 : 흑산면 대둔도출장소, 압해면 고이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19]
- 1990년 8월 1일 : 신안군 장산면 마진도리 일부(저도, 소지도, 송도, 작도, 골도, 희어도)가 진도군 진도읍 산월리에 편입되었다.[20]
- 1991년 4월 1일 : 흑산면 홍도출장소가 홍도관리사무소로 승격되었고, 홍도출장소가 폐지되었다.[21][22]
- 2011년 4월 25일 : 신안군청사가 목포시 목원동에서 신안군 압해면으로 이전하였다.
- 2012년 1월 1일 : 압해면이 압해읍으로 승격하였다. (2읍 12면)
- 2014년 1월 28일: 신의면에서 장애인 인부 2명이 경찰에 구출되는 등 일련의 염전 노동착취 사건이 발생하여, 3월 11일 목포경찰서는 관할 13개 도서파출소 경찰 87명 중 74명의 인원을 교체하였다.
- 2020년 7월 8일: 비금면 수치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2023년 10월 10일:신안 염전 노예 사건을 소재 (일부 의견으로는 염전 노예 사건을 다루는게 아니라 염전 노예 사건을 다루는 척하면서 지역 혐오 폄하 선동 목적이라는 의견도 있음)로 인터넷 실시간 동영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던 유튜버가 명예 훼손으로 고발 당하고 체포되어 경찰서 유치장으로 압송된 후 영장이 기각 되었음
- 2023년 11월 24일: 안좌면 자라출장소가 폐지되었다.
Remove ads
지리
지리상으로 신안군은 전라남도 황해와 다도해에 접해 있으며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된 지도읍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으로 무안군이 위치해 있고 서쪽으로는 황해, 북쪽으로는 영광군 낙월군도가 있으며, 군청이 소재한 압해도는 목포시와 인접해 있다. 육지와 붙어있는 지도읍에는 무안군 해제면이 연결되어 있다.
신안군청(2011년 4월 이전)과 신안군보건소(2012년 6월 이전)는 과거 목포시 북교동 178-1번지에 위치해 있었으나, 현재 압해도로 이전하였다.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에 지역 관광안내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이 섬이기 때문에 주로 해상 교통을 이용하나, 지도읍, 증도면과 압해읍 등은 육로와 압해대교 등을 통해 육상교통으로도 접할 수 있다.
경찰행정은 행정구역 분리 이전부터 목포경찰서에서 담당해왔으며, 2023년 7월에 신안경찰서가 암태면에 설치되어 경찰행정이 신안군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Remove ads
기후
행정구역
신안군의 행정 구역은 2읍 12면에 143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신안군의 면적은 655.68 km2[25]이고,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43,294명, 22,270 가구이다.[26]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섬을 관할하는 지자체로, 주요 섬들로는 압해도, 암태도, 자은도, 팔금도, 안좌도, 도초도, 비금도, 임자도, 신의도, 하의도, 장산도, 흑산군도, 지도, 증도 등이 있고, 부속 섬으로 홍도, 가거도, 우이도 등이 있다.
Remove ads
군청
인구
신안군의 인구는 2015년 12월 말 기준으로 43,294 명, 22,270 가구이고, 성비는 1.12로 남자가 많은데, 전라남도 내에서 성비가 가장 높은 지역이지만 인구는 점점 감소추세다.[26]
- 신안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27]
교육
- 전라남도 신안군에는 초등학교 125개교(분교 45개교, 분실 19개실 포함), 중학교 15개교(분교 1개교 포함), 고등학교 7개교가 있었다.
- 현재는 초등학교 27개교(분교 8개교 포함), 중학교 13개교(분교 1개교 포함), 고등학교 6개교만이 현존하고 있다.
- 아래의 교육기관 순서는 개교 일자순으로 하였으며, 폐교 역시도 폐교 일자순으로 하였다.
- 다만 분교의 경우 본교급의 나열이 끝난 다음에 나열하며, 폐교가 될 시에는 개교 일자와 상관없이 늦을수록 아래에 배치하였다.[28][29]
- 폐교의 경우 폐교 일자만을 기재하며, 현존하는 학교는 반대로 개교 일자(명칭 변경 등을 제외하고)만을 기재한다.
- 이외에 일자가 겹치는 경우에는 본교급일수록, 가나다순이 빠를수록 위에 기재한다.
- 전라남도신안교육지원청 https://saed.jne.go.kr/saed/main.do 보관됨 2024-11-02 - 웨이백 머신
- 전라남도 도서·벽지학교 및 농·어촌교육진흥학교 현황 일람(유·초등) https://www.jne.go.kr/upload/main/na/bbs_124/ntt_5051196/doc_2181dd18-f750-47f7-8259-cd115cda08ab1668a6439b66065.pdf 보관됨 2024-11-02 - 웨이백 머신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30]
유치원[32]
Remove ads
교통
도로
군내에는 국도 제2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77호선이 지나간다. 국도 제2호선의 기점이 장산면이지만 아직 교량들이 미완공이나 착공중이여서, 현재 2020년 기준으로는 실질적 기점은 암태면 추포도이다. 또한 국도 제24호선의 기점이 지도읍이며, 국도 제77호선은 현재 무안군과 압해읍을 잇는 김대중대교와 신안군 압해도 구간이 개통되어 있지만 남쪽으로 목포시와 다리 연결이 안되어 있어 목포시로 우회가 필요하다. 신안군은 군내 주요 섬들이 교량으로 육지와 연결되는 것을 목표로 다리를 건설하고 있다. 현재 지도읍, 증도면은 교량으로 육지지역인 무안군과 연결되어 있으며, 압해읍은 압해대교로 목포시와 연결이 되어 있다. 그 외의 나머지 지역은 교량으로 연결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적으로 페리 등으로 의존한다. 암태도, 자은도, 팔금도, 안좌도는 천사대교의 개통으로 육지와 이어졌다.
교량
버스
신안군에는 목포시의 시내버스와 신안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중이다. 2008년 이전에는 각 섬들 안에서 신안군의 농어촌버스만 다니다가 압해대교가 개통하면서 목포시의 시내버스도 운행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지도읍에만 시외버스 정류장이 있었으나 천사대교 개통 후 암태도의 암태남강환승정류장에서도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항구
신안군은 지도읍을 제외하고는 전부 섬으로 이루어진 군이다. 이 때문에 섬들간의 교통은 주로 페리로 이루어진다. 이들 페리는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이나 송공항에서 출발하여 순환하며 복귀한다.
공항
Remove ads
관광
출신 인물
자매 도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