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워터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워터폰
Remove ads

워터폰(waterphone), 오션 하프(ocean harp), 아쿠아소닉 워터폰(AquaSonic waterphone)은 스테인리스강 공명기 원판이 있고 그 가운데 손잡이가 있으며 원판의 가장자리에 각기 다른 길이와 지름의 철사들이 있는, 불협화음을 내는 체명악기의 일종이다. 이 공명기는 약간의 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때 워터폰에서 강렬한 천상의 소리가 나는 까닭에 영화 사운드트랙, 레코드 음반, 라이브 공연에 등장하고 있다. 이 악기는 1968년~1969년 사이 리처드 워터스에 의해 개발되었다.[1]

Thumb
워터폰

워터폰은 1960년대 초에 발명가가 마주한 티베트 드럼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현대적 발명품으로, 이 또한 적은 양의 물을 넣어 음색에 영향을 주었다.[2] 공명기와 네일, 원판을 사용한 네일 바이올린과도 관련이 있다.[3]

Remove ads

이용

워터폰은 여러 박물관과 갤러리에 전시되고 있으며 샌프란시스코의 공영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Art Notes", 단편 영화 "Celestial Wave"를 포함한 여러 짧은 다큐멘터리의 주제이다.[4] 최근 10년 이상 워터폰은 교향곡, 공연 밴드, 레코드 스튜디오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악보에 워터폰의 일부를 작곡한 컨템포러리 클래식 작곡가들로는 Sofia Gubaidulina,[5]제리 골드스미스,[6] John Mackey, Christopher Rouse, Colin Matthews, John Woolrich, Carson Cooman, Andi Spicer,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Andrew Carter, Beaver & KrauseBernie Krause, Todd Barton를 포함한다.

이 악기는 또한 록 음악가들에 의해서도 눈에 띄게 사용된다. 톰 웨이츠미키 하트처럼 워터폰 수집자이자 연주자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