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원남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원남층(遠南層, Wonnam Formation)은 영남 육괴 북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원남층군의 변성퇴적암 지층으로 원남층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울진군 원남면(→2015. 4 이후 매화면)을 표식지로 하여 울진군 남부, 영양군 북부, 봉화군 남부에 걸쳐 분포한다. 과거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지층으로 간주되었으나 최근의 절대연령 측정 결과는 원남층의 일부가 고생대에 퇴적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Remove ads
개요
원남층군(遠南層群, Wonnam Group)은 영남 육괴/영남 지괴 북동부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으로 울진군 원남면을 표식지로 하여 하부로부터 준(準)편마암류를 주로 하는 원남층, 흑연 편암층, 천매암 및 운모 편암을 주로 하는 동수곡층, 장군 석회암층으로 구성된다. 원남층군은 울진군 금강송면과 울진읍 일부 지역, 매화면 남부, 기성면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2][3][4][5][6][7][8] 원남층군은 삼근리 지질도폭(1963)[3] 조사 당시 선캄브리아기로 해석되었으나,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장군 석회암층과 두음리층은 조선 누층군으로, 동수곡층은 평안 누층군의 일부로 해석되었다.[9][10]
절대연령
정창식 외(2000)는 원남층군 변성퇴적암의 변성 연대를 고원생대 오로세이라기(1840±26 Ma)로 보고하였다.[11]
김성원 외(2009)는 봉화군 명호면의 원남층 분포지 내에서 대상으로 발달하는 압쇄된 고원생대 석영-장석 정편마암과 쥐라기 압쇄화강암의 존재를 보고하였고, SHRIMP U-Pb 분석을 통해 압쇄작용의 시기를 쥐라기(178 Ma)로 해석하였다.[12] 이는 해당 지역에 발달하는 변성퇴적암이 호남전단대의 연장부로 해석될 가능성을 제시한다.[13]
김남훈(2010)은 원남층 변성퇴적암과 화강암질 편마암 저어콘에 대한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원남층 퇴적 당시 시생누대 지각(3498 Ma)이 존재했고 퇴적시기는 고원생대로 해석하였다.[7]
김남훈 외(2012)는 원남층 변성퇴적암의 쇄설성 저어콘 U-Pb 연령측정 결과로 퇴적시기를 고원생대 오로세이라기(2.02~1.99 Ga)로 제한하였다.[14]
곽유정 외(2025)는 봉화군 재산면의 원남층에서 신시생대, 고원생대와 고생대 캄브리아기,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에 해당하는 연령을 확인하여 원남층의 일부가 고생대 또는 그 이후에 퇴적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13]
Remove ads
울진군
요약
관점
울진군의 원남층은 매화면 대부분 지역과 금강송면 남부에 분포한다. 일반적으로 편마상 또는 편리구조가 발달하며, 변질니질암(argillaceous meta-sediment)과 변질사질암(arenaceous meta-sediment)의 호층(互層)과 이들이 혼성암(미그마타이트)화된 암석들로 구성된다. 주요 구성 광물은 정장석, 사장석, 석영, 흑운모, 각섬석, 녹니석이다. 일반적 주향은 북동-남서 방향이고 경사는 50~80°로서 북서측으로 급경사하나 수직 또는 동남측으로 기울기도 하다.[4][6] 김남훈(2010)에 의하면 울진군 북면 두전리, 금강송면 소광리, 하원리 지역의 원남층은 편마암, 편암과 각섬암 암맥으로 구성된다.[7]
왕피천 지역
- 원남층, 울진군 서부
- 울진군 금강송면 쌍전리 산 150-11
북위 36° 56′ 20.0″ 동경 129° 12′ 52.0″ - 울진군 금강송면 쌍전리 산 150-10
북위 36° 56′ 20.5″ 동경 129° 12′ 57.0″ - 울진군 금강송면 삼근리 사랑바위 (도로명주소: 울진군 금강송면 불영계곡로 1800)
북위 36° 56′ 18.0″ 동경 129° 15′ 26.0″ - 울진군 울진읍 대흥리 산 122-3
북위 36° 58′ 14.0″ 동경 129° 19′ 29.0″ - 원남층/화강편마암 경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산 1-4
북위 36° 58′ 20.0″ 동경 129° 19′ 46.0″
이평저수지
울진군 기성면 이평리 저수지 남쪽과 북쪽 도로를 따라 원남층을 관찰할 수 있다. 이평저수지 남측 도로의 원남층은 신선한 노두며, 북동쪽으로 고각 경사하고 엽리와 습곡이 발달한다. 이평저수지 북측 도로의 원남층은 풍화가 심하나 남측 도로보다 규모가 훨씬 크다.
- 원남층, 울진군 기성면 이평리 이평저수지 남측 도로
기성면
- 원남층, 울진군 기성면 다천리, 삼산리, 방율리
- 원남층,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산 69-1 동쪽 해안 (이하 동일)
북위 36° 50′ 59.1″ 동경 129° 25′ 42.2″ -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망양황금대게공원 (이하 동일)
Remove ads
영양군
영양군의 원남층은 울진군에서 이어져 수비면 수하리 북부와 신암리 중동부에 분포하며 이후 동-서 방향으로 봉화군 재산면 지역으로 이어진다. 준편마암, 주입편마암, 운모편암, 규암, 석회암 등으로 구성되며 지층의 주향은 동-서 방향에 북쪽으로 90° (수직) 내지 45° 경사한다. 준편마암은 니질 및 사질기원 변성퇴적암이 교호하며 안구상 및 호상 구조를 보인다. 또한 변성퇴적암의 층리 사이에 각섬암과 (반)화강암질 편마암이 나타난다.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에서는 경상 누층군 울련산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고 일월면 용화리 일대에서는 하부의 평해층군을 부정합으로 덮는다.[5][7][8]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지역, 장수포천 하천을 따라 원남층을 관찰할 수 있다.
- 영양군의 원남층
- 왼쪽과 동일
-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 남동측 장수포천 계곡 하상
북위 36° 50′ 10.0″ 동경 129° 16′ 22.0″ -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 북동측 도로변
북위 36° 50′ 24.0″ 동경 129° 16′ 21.0″ -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 북동측 도로변
북위 36° 50′ 20.0″ 동경 129° 16′ 22.0″ 이하 동일 -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수하2교 동측 하상
북위 36° 49′ 34.0″ 동경 129° 15′ 35.0″
Remove ads
봉화군
봉화군의 원남층은 원남층군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경상 분지와의 경계를 따라 청량산 서부 상운면 문촌리에서 명호면 풍호리, 재산면 갈산리를 지나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까지 이어진다. 주로 석영·장석 편마암류, 편암류, 미그마타이트 등으로 구성되며, 상부 지층인 동수곡층과는 정합적으로, 재산면 갈산리와 명호면 지역에서의 재산층 및 경상 누층군과는 부정합으로 접촉한다. 분천화강편마암 내에 원남층이 포획되었으며 춘양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청량산 북쪽 명호면 고감리-풍호리-고계리-재산면 상리 간 지역에서의 주향은 동-서이고 북측으로 50~60°경사져 있다.[3][2]
봉화군 재산면 갈산리 지역에서 원남층은 갈산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묘곡층 위로 충상되어 있으며[2] 묘곡층 부근에서 원남층군은 편마암과 편암으로 구성되고 두꺼운 단층각력암이 발달한다. 이곳에서 원남층의 주향은 북동 40~50°, 경사는 북서 70~수직이다.[15]
곽유정 외(2025)는 봉화군 재산면 지역에서 원남층 운모편암(북위 36° 50′ 41.04″ 동경 128° 58′ 7.85″, 봉화군 재산면 갈산리 1760)과 석영-백운모편암(북위 36° 50′ 41.18″ 동경 128° 58′ 7.96″)에 대해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신시생대~페름기(2563~276 Ma)에 해당하는 연령을 확인하였다.[13]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