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봉화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봉화군(奉化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군으로, 군청 소재지는 봉화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9면이다.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 (2022년 3월)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2년 3월) |

Remove ads
역사
《대동여지도》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하였다.[3]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개편하였다. 이때 안동군 내성면, 춘양면, 재산면, 소천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4]
- 1914년 4월 1일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편입하고 9면으로 개편하였다.[5]
도령 제2호
- 1916년 군청을 춘양면에서 내성면 (현 봉화읍)으로 이전하였다.
- 1956년 7월 8일 내성면을 봉화면으로 개칭하였다.[6]
- 1963년 1월 1일 춘양면 일부를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에 편입하였다.[7]
Remove ads
군수
기후
요약
관점
봉화군은 기상관측소(공식 무인)를 1988년에 설치하여 관측 개시한 이후 단 한번도 열대야를 기록한 적이 없다.
지질

영남 육괴의 북동부에 위치한 봉화군은 전체적으로 현동역과 도래기재를 잇는 선을 경계로 그 북동쪽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이, 남동쪽에는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11]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
봉화군 내 선캄브리아기의 주요 암석은 원남층군과 율리층군 그리고 분천 화강편마암이다.
고생대
봉화군 남부 장군봉 주변에는 고생대 조선 누층군의 지층인 장산 규암층과 재산층이 소규모 분포한다. 장산 규암층은 원래 태백시-삼척시 지역에 분포하는 두위봉형 조선 누층군의 지층이다. 재산층은 평안 누층군에 대비된다.
중생대 화강암
중생대 퇴적암
중생대에 형성된 퇴적암 경상 누층군은 청량산과 일월산 사이 지역인 재산면과 명호면 남부에 분포한다. 특히 청량산은 경상 누층군 청량산층으로 구성되며 재산면 지역에는 선경상계 퇴적층인 묘곡층이 분포한다.[11]
지하자원과 광물
Remove ads
행정 구역
봉화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화군의 면적은 1,201.46 km2이며, 인구는 2017년 7월 1일 기준으로 16,552세대 33,385명이고 그 중 31.7%가 봉화읍에 거주한다.
Remove ads
인구
- 봉화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2]
교통
철도
봉화군 관내에 한국철도공사 영동선이 통과하며 봉화역·춘양역·석포역 등 8개 정거장이 여객 영업을 하고 있다. 강릉, 안동, 부산(부전역), 대구(동대구역)로 가는 많은 열차가 운행되는 철도의 요충지이다.
국도 · 고속도로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이 있다.
고속버스 ·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2024년부터 농어촌버스의 전면 무료화가 시행되었다.[13] 봉화군내 노선만 요금이 무료며, 영주로 나가는 33번같은 노선은 기존처럼 요금을 받는다. 관내 농어촌버스 운행은 봉화여객이 담당하고 있으며, 인접한 영주시·안동시·영양군 지역의 일부 노선이 봉화군에 진입 운행하고 있다.[14]
항공
봉화군에는 공항이 입지하고 있지 않으며 2004년까지는 인근의 예천공항을 통해 김포나 제주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15] 국내선 및 중국 · 동남아시아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해야 하고, 장거리 국제선을 이용하려면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Remove ads
문화·관광
교육 기관
출신자
자매 도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