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웨스트나일열

웨스트나일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인간에게 발병되는 질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웨스트나일열
Remove ads

웨스트나일열(West Nile Fever, WNF)은 웨스트나일모기 등 모기로 인해 전파되는 웨스트나일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다.[1] 80%의 환자가 치료를 필요하지 않거나 무증상 감염을 보인다.[2] 20%만 발열, 두통, 구토,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인다. 1% 미만의 환자에서 목 경직, 착란, 발작 등을 동반하는 뇌염이나 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회복에 수주에서 수개월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신경계통에 바이러스가 침투한 환자의 10%가량이 사망한다.[1]웨스트나일바이러스는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데, 이 모기를 새가 잡아먹었을 경우 새도 바이러스의 매개자가 된다.[1] 임신, 분만, 모유수유 등의 수직전염이나 장기이식, 수혈 등 혈액을 통해 드물게 전염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접 사람끼리 전염되지는 않는다.[1][3] 60세 이상의 노인이나 다른 질병이 있던 경우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의료적 증상 및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1]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현재 가장 좋은 방법은 모기를 박멸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래된 타이어, 양동이, 도랑, 수영장 등 고인 물을 제거하는 것이 권장된다.[1] 모기가 너무 많아서 박멸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 방충제, 방충망, 모기장 등을 설치함으로써 물리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1][3] 아직 완전한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통증 완화지지적 치료를 하는 수 밖에 없다.[1]1937년 우간다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북아메리카에서는 1999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다.[1][3] 현재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한다. 미국에서는 매년 수천명의 감염 사례가 보고되는데, 대부분 8월과 9월에 감염된다.[4] 유행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말에서도 감염되는데, 말을 위한 백신은 개발되어있다. 새들을 사전에 조사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유행할 가능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3]

간략 정보 웨스트나일열, 진료과 ...
Remove ads

치료

특별한 치료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사람은 치료 없이 회복하며, 경미한 경우에도 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두통, 근육통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입원해서 정맥 주사, 통증 완화, 호흡기능 보조, 이차 감염 방지 등 지지적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

예후

대부분 예후는 좋은 편이나, 최근 유행 사례를 연구한 결과 회복에 60~90일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감염 사례가 생각해온 것 보다 많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5][6] 경미한 증상을 겪은 경우에도 심각한 증상을 겪은 경우와 비슷한 확률로 떨림 등 몸신경계통이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운동 기능실행 기능에 이상이 일 년 이상 지속될 수 있다.[7] 피로와 함께 긴 회복기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신장 기능 장애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8][9]

역학

요약
관점
Thumb
웨스트나일바이러스의 세계 분포 지도 (2006년)

웨스트나일바이러스는 1937년, 황열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도중에 우간다의 웨스트나일소구역에 있는 오모고(Omogo) 마을에 있는 37세 여성에게서 처음 발견되었다.[10] 중앙아프리카에서 1939년 진행된 혈청학적 조사에서는 지역마다 적게는 1.4%(콩고)에서부터 많게는 46.4%(수단, 백나일주)의 인구가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갖추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후 1942년에는 이집트, 1953년에는 인도에서 조사가 진행되었는데, 특히 1950년에 이집트에서 진행된 조사에서는 40대 이상 인구의 90%가 웨스트나일바이러스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953년에는 이집트[11]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바이러스의 생태를 특정했다.[12] 이후 1957년 이스라엘에서 유행할 당시에 이 바이러스가 수막뇌염의 원인임이 드러났다. 이후 1960년대 초 이집트와 프랑스에서는 말도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이후 남부 유럽, 서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발견되었다.

아메리카에서는 1999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다.[13] 이 때 사람, 개, 고양이, 말 등에서 뇌염을 일으켰는데, 이를 바이러스가 진화한 기점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유행은 뉴욕 퀸스의 칼리지 포인트에서 시작되어 이후 뉴저지주코네티컷주로 확산되었다. 감염된 새나 모기를 통해 들어온 것으로 여겨지는데, 아직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4] 아프리카, 유럽, 중동, 서부 아시아 및 중앙 아시아, 오세아니아에서 풍토병이 되었으며, 최근 북아메리카에서도 풍토병이 되었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 지역으로 확산되고있다.

알제리에서 1994년에, 루마니아에서 1996년과 1997년에, 체코에서 1997년에, 콩고에서 1998년에, 러시아에서 1999년에, 미국에서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캐나다에서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이스라엘에서 2000년에,[15] 그리스에서 2010년에 유행하였다.[16]

모로코에서 1996년에, 이탈리아에서 1998년에, 미국에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프랑스에서 2000년에, 멕시코에서 2003년에, 사르데냐에서 2011년에 말 전염병으로 유행하였다.[17]

실외 근로자, 동물 검시과에서 근무하는 보건시설 및 연구실 근로자들이 웨스트나일열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18]

2012년 미국에서 유행하여 286명이 사망하였는데, 특히 텍사스에서 많은 사람이 사망하였다.[19][20]

기후

건조한 기후가 지나간 이듬해에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함이 알려져있는데, 이는 건조한 기후에서 모기를 잡아먹는 물고기의 수가 감소함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기온이 높은 경우 복제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새나 모기에게 더 잘 감염된다.[22]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