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위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위군(魏郡)은 전한부터 당나라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급 행정 구역이다. 군국제 시행 시에는 위국(魏國)을 설치했었다. 중심지는 이다.

연혁

요약
관점

전한

전한 고제가 처음 설치했고, 전한 무제가 13주를 두면서 기주에 속했다.[1]

평제 시기에 시행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21만 2849호, 인구 90만 9655명이 있었다. 18현을 두었다.[1]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1][3]

왕망(王莽)이 신나라를 세우고서는 군의 이름을 위성(魏城)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자세한 정보 전한, 신 ...

후한

낙양에서 동북으로 700리거리에 있었다. 15성 129,310호 695,606명을 거느렸다. 후한말 기주를 병탄한 원소의 본거지가 있었다. 그러나 관도대전이후 조조가 하북을 병탄하고 위왕 작위를 받고 봉해졌을때, 조씨 정권의 수도를 이곳에 두면서 인근지역의 14개현을 통폐합했다.[4]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위진

213년 위공이 된 조조는 조씨 정권의 수도를 업에 두었고, 이 업을 개발하면서 인근 다른군의 14개 현을 위군에 편입시켰다. 이후 여러차례의 행정개편을 거치면서 군의 일부가 광평군, 급군, 양평군, 돈구군일대로 이관되었다. 서진대에는 8현 40,700호의 주민들을 거느렸다.[5]

자세한 정보 개편이전, 개편이후 ...
자세한 정보 개편이전, 개편이후 ...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오호십육국

영가의 난시기 후조를 세운 석륵이 하북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그의 치하로 넘어갔다. 처음 석륵이 기반을 잡았을 때 업이 수도가 되었으나, 그가 양국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수도의 위치를 빼앗겼다. 석호를 몰아내고 세워진 염위가 이곳에 수도를 두었으나 전연 모용준의 공격에 패하고 염위는 멸망했다. 모용준이 하북을 평정한 뒤 업에 수도를 두면서 전연의 수도권에 해당하는 지역이 되었다. 전연이 전진에게 멸망한 뒤 등장한 후연또한 업을 수도로 삼았다.

북위

북위 도무제 탁발규가 후연을 공격하여 유주와 기주를 취하면서 북위의 치하로 들어왔다. 화북을 통일한 북위는 위군일대에 상주를 설치했다. 그러나 육진의 난이후 북위가 동위, 서위로 분열되었을 때 동위가 업에 수도를 두면서 뤄양일대는 낙주(洛州)로 격하되었고 업을 중심으로 사주(司州)가 신설되었다. 그리고 동위는 위군을 통치하는 관료로 위윤(魏尹)을 두었다.[6]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북주때 위군이 속했던 사주는 다시 상주로 개명되었고 육부(六府)가 설치되었다. 578년(북주 무제 선정연간)에 부가 낙양으로 옮겨졌고 총관부가 설치되었으며 말기에는 부가 폐지되었다. 11현 120,227호를 거느렸다.[7]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군수·태수

전한

  • 경방(? ~ 기원전 37년)

후한

  • 진강(陳康)
  • 요기(? ~ 29년)
  • 풍방(37년 ~ 51년)
  • 위표(명제 시기 ~ 장제 초기)
  • 장포(? ~ 93년)
  • 서방(93년 ~ 98년)
  • 황향(106년 ~ ?)
  • 풍희(馮熙, 순제 시기?)[8]
  • 황경(147년 당시)
  • 원연(환제 시기)
  • 율성(? ~ 193년)
  • 고번(高蕃, ? ~ 202년)[9]
  • 왕수(? ~ 216년)
  • 가규(220년): 조비가 위왕으로 즉위하였을 때 임명되었다.
  • 이하는 모두 헌제 시기의 태수들로, 선후관계를 알 수 없다.

조위

  • 왕랑
  • 정혼
  • 온회(명제 시기)
  • 종육
  • 오관(吳瓘): 조위의 위군태수로 이름만 언급되고, 나머지는 알 수 없다.[10]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