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윌리엄 해스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윌리엄 해스커(R. William Hasker, 1935년- )는 미국의 철학자이자 헌팅턴 대학교의 철학 명예 교수이다. 수년 동안 그는 권위 있는 저널 Faith and Philosophy의 편집자였다. 그는 정물이원론 문제, 신정론, 신의 전지성와 같은 문제를 다루는 많은 저널 기사와 책을 출판했다.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신학 및 종교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학

해스커는 인간의 본성에 관해 열린신학과 정물이원론 혹은 신생적 이원론으로 알려진 관점을 주장해왔다. 스커는 영혼을 존재 자체가 신체에 의존하는 '신생적' 실체(emergent substance)로 간주한다. 신생 이원론은 영혼이 "유기체의 구조와 기능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전한다"고 주장하는 일종의 실체 이원론이다.

하스커의 신생 이원론은 데카르트적 이원론, 속성 이원론, 물리주의를 거부한다. 그는 신생 이원론이 자유 의지, 정신적 인과성, 이성, 육체적 죽음 이후의 생존을 지지하며, 마음이 뇌에 의존함을 보여주는 신경과학적 발견과 진화론과도 양립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신생 이원론은 진화적 발달 과정에서 비물질적 실체인 개별적 마음이 뇌로부터 신생된다고 명시한다. 그는 개별 정신을 생성하는 물리적 속성과의 질적 차이, 그리고 그것을 생성하는 뇌에 작용할 수 있는 능력 측면에서 자기장에 비유한다. 해스커는 정신이 물질에 의해 생성된다는 견해를 고수하며, 정신이 신체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전통적 이원론적 관점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는 신의 정신이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신체를 생성한다는 근거로 사후 생존을 옹호한다.

그의 1999년 저서 『신생적 자아(The Emergent Self)』는 마음 철학을 논의하며, 마음이 순수한 물질적 과정일 수 없지만 뇌라는 물리적 기반과도 완전히 분리될 수 없음을 입증하려 시도한다.

신생적 이원론은 프랭크 B. 딜리(Frank B. Dilley)와 스튜어트 괴츠(Stewart Goetz)를 비롯한 다른 실체 이원론 철학자들에 의해 비판받아 왔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저서

  • 1983, Metaphysics: Constructing a World View (InterVarsity Press)
  • 1989, God, Time, and Knowledge
  • 1999, The Emergent Self (Cornell University Press)
  • 2004, Providence, Evil, and the Openness of God
  • 2008, The Triumph of God over Evil: Theodicy for a World of Suffering (IVP Academic)
  • 2013, Metaphysics and the Tri-Personal God. Oxford Studies in Analytic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