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럽 의회 선거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문서에서는 유럽 의회 선거구에 대해 설명한다.

유럽 의회의원 (MEP)은 각 유럽 연합 회원국의 국민에 의해 선출된다. 2002년 유럽 선거법 (The European Electoral Act 2002) 제정으로 각 회원국은 유럽 의회 선거의 선거구를 각자 다른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1] 따라서 회원국마다 선거구를 세부로 쪼갤 수도, 아니면 국가 전체가 단일 선거구로 존재할 수도 있게 된 것이다.

유럽 의회 선거구의 가장 큰 공통점은 여느 국가든 비례대표제를 적용한다는 점이다. 다만 벨기에의 독일어권 선거인단 선거구만큼은 예외로, 비례대표제가 아니라 일반적인 소선거구제 (최다득표자 당선제)로 선거가 실시된다. 또 의회 전체로 보면 유권자 규모에 따른 완벽한 비례대표제는 아닌데, 체감비례에 따라 회원국별 의석수가 별도로 할당되기 때문이다.

Remove ads

현황

현재 유럽 연합의 대다수 회원국은 전국 단위로 유럽 의회 의원을 선출하고 있다.[1] 예외로 벨기에아일랜드는 선거구가 각 지방마다 설치되어 투표 집계도 따로 실시한다.[1] 독일, 이탈리아, 폴란드도 지방마다 선거구를 두고는 있지만, 선거가 끝나고 나서는 선거구별 득표수에 비례하여 전국 단위로 당선자 수가 결정된다.[1] 특히 독일은 각 정당이 후보자 명단을 16주 단위로 하든, 전국 단위로 하든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기에, 주별 선거구는 편의상의 구분일 뿐 사실상 전국단위 선거를 실시한다고 볼 수 있다.

선거구 제도를 바꾼 국가들도 있는데 프랑스의 경우 2004년부터 8개의 선거구를 설치하여 선거를 실시하였다가 2019년 전국선거로 전환하였다. 덴마크는 속령인 그린란드에 대해 별도의 선거구를 할당하여 선거를 실시했으나, 1985년 그린란드가 유럽 경제 공동체(유럽 연합의 전신)에서 배제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영국네 구성국별로 선거구를 할당했고, 1999년 선거부터는 잉글랜드 선거구를 세분화해 총 12개 선거구를 두었으나, 2016년 유럽 연합 자체를 탈퇴하면서 유럽 의회 선거구가 자동으로 폐지되었다.

2022년 5월 3일, 국가/지역별 선거구로 치러지는 선거와는 별도로, 27개 회원국 전 국가를 아우르는 범연합 선거구를 신설해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로 선거를 실시하는 개혁안이 담긴 선거 관련법 개정안이 유럽 의회에 상정되었다.[2] 해당법안은 찬성 323표, 반대 262표로 통과되어 유럽 연합 정상회의의 승인을 남겨두고 있어 변화가 예상된다.

현재까지 총 4차례 의회 선거가 이뤄졌으며, 이는 2009년, 2014년, 2019년, 2024년 순서이다.

Remove ads

선거구 목록

요약
관점

다음은 유럽 의회 선거구 목록이다. 한 국가에 선거구가 하나 뿐이고 지역란에 별다른 설명이 없다면 그 회원국은 전국 단위로 선거를 실시한다는 뜻이다.

Thumb
현행 선거구
자세한 정보 회원국, 선거구 ...
Remove ads

지도

지역별 선거구

옛 지역별 선거구

최근 변화

Thumb
2009년 의회 선거
Thumb
2014년 의회 선거
Thumb
2019년 의회 선거
Thumb
현재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