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엔의 확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유엔의 확대는 유엔이 창립 시점부터 현재까지 확장되어 온 상황을 요약한 것이다. 2018년 9월 27일 기준 193개 회원국이 유엔 총회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 지도를 통해 확인하는 유엔 회원국 요약.
1945 (창립 회원 국가)
1946–1959(기간동안 가입한 회원 국가)
1960–1989(기간동안 가입한 회원 국가)
1990–이후 가입한 회원국가
유엔 회원 미가입 국가 현황
유엔의 확대 역사
요약
관점
2차 대전 종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은 1945년에 추축국인 독일과 일본이 항복하게 되며 연합국의 승리로 끝났다. 하지만 세계 대전을 두 번이나 겪게 되면서 인명 피해는 매우 컸다. 그래서 여러 나라들이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져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1945년 10월 24일, 국제 연합, UN을 창립했다. 당일에 가입한 회원국은 29개국이며, 1945년 한 해에 가입한 국가는 51개국이다. 이후, 하나둘씩 UN에 가입하게 되었다. 필리핀은 1946년에 미국에서 독립했지만 그 이전에 미국으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으면서 창립 회원국이 될 수 있었다. 인도 역시 1947년 8월 15일에 영국에서 독립했지만 그 이전에 영국으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으면서 필리핀과 똑같이 창립 회원국에 해당된다.
추축국, 중립국들의 약진
제2차 세계 대전은 끝났지만 미국을 비롯한 자본주의 진영 국가와 소련을 비롯한 사회주의 진영 국가의 대립, 이른바 냉전(冷戰)이 발생했다. 그로 인해 1950년에는 3년간 한국 전쟁이, 1960년에는 15년간 베트남 전쟁이 발발했다. 이뿐만 아니라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다가는 베를린 장벽을 세우고, 오스트리아에다가도 역시 미국과 영국, 프랑스, 소련, 4국이 1955년까지 간섭을 했다. 이와 도중에 2차 대전 당시에 추축국이나 중립국이었던 국가들이 1955년 12월 14일을 시작으로 유엔에 가입하기 시작했다. 대표 추축국이었던 일본도 1956년 12월 18일에 가입했으며, 독일도 분단된 상태에서 동서가 동시에 1973년 9월 18일에 가입했다.
수많은 국가의 독립과 회원국 대폭 증가
2차 대전이 끝나고 나서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여러 국가들이 독립했다. 사실 오늘날 회원국 193개국으로 만들 수 있었던 이유도 역시 많은 국가들이 독립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손꼽혀 있다.
냉전 완화, 그리고 통일과 분열
1980년대부터 냉전이 서서히 누그러지게 되면서 베트남, 예멘, 독일 등 여러 국가들이 통일되었다. 반면 소련,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처럼 여러 국가로 쪼개어진 곳도 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아직 통일을 하지 못한 상태이지만 유엔 회원국 간의 공방 끝에 결국 1991년 9월 17일에 두 나라를 동시에 가입시켰다.
Remove ads
UN 회원국 현황 정리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