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유자화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만드는 법
유자의 껍질을 4등분으로 나누어 속을 건드리지 않고 겉껍질을 벗겨 낸 뒤 알맹이를 하나씩 떼어낸다. 줄기는 떼어내고 씨를 뺀다. 유자 껍질을 도마에 올려 흰 부분은 얇게 저며내고 노란 부분은 채썬다. 배는 껍질을 벗기고 얇게 채썰어 유자의 노란 부분과 함께 둔다.
물과 설탕을 함께 끓여 식혀서 설탕물을 만든다. 유자의 속으로 즙을 내어 설탕물에 섞는다.
큰 그릇에 채썬 유자와 배를 가지런히 담고, 설탕물을 부은 뒤 뚜껑을 덮어 약 30분 정도 유자향이 우러나도록 한다.[1] 완성되면 석류와 잣을 띄운다.
한국 문화 속의 유자화채
유자는 전라남도 고흥군, 완도군과 경상남도 거제군 등 남해안 지역에서 재배하는 작물이라, 유자화채는 전라도와 경상도 지방의 특산 음료이다.[2] 갈증을 달래 줄 뿐만 아니라 모양도 아름답다.
유자화채는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먹는 한국의 궁중 음식이었다. 주로 음력 9월 9일을 전후하여 가을에 먹는 음식이었으며, 화전인 국화전과 국화주를 곁들여 함께 먹는 것이 전통이었다.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