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윤소정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1944–2017)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윤소정(尹小晶[1], 1944년 7월 4일 ~ 2017년 6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였다. 본관은 파평, 아명은 태봉(泰鳳).
생애 및 배우활동
영화인 집안에서 태어나 17살인 1961년에 연극배우로 데뷔했다. 이듬해 1962년 서울중앙방송(지금의 KBS 한국방송공사)의 성우로 데뷔하였고 1964년 영화 《니가 잘나 일색이냐》의 단역으로 영화배우 데뷔하였으며, 이어 같은 해 1964년 TBC 동양방송 공채 1기 탤런트 정식 데뷔하였다.
특이한 점은 배우 이호재와 1973년 연극《초분》에서 처음 호흡을 맞춘 이래 두 사람이 부부나 애인의 남녀 주인공으로 함께 한 연극은《태》(1974), 《출세기》(1974), 《매디슨카운티의 다리》(1996), 《비 오는 날의 축제》(1997), 《누군가의 어깨에 기대어》(2002), 《졸업》(2003), 《에이미》(2010), 《그대를 속일지라도》(2010), 《응시》(2011) 등 13편에 이르고, 이호재가 처음 출연한 영화인 《이혼하지 않은 여자》에도 윤소정이 함께 출연하였다.[2]
2017년 6월 16일 패혈증으로 서울성모병원에서 향년 7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본인이 출연한 사전제작 드라마 《엽기적인 그녀》가 방송되던 중에 전해진 소식이어서 안타까움을 주었다.
Remove ads
출연작
연극
- 1986년 《대원군》 ... 효정황후 남양 홍씨 역(단역)
- 1993년 《이괄과 흥안군》 ... 정혜옹주 전주 이씨 역(단역)
- 1994년 《세종대왕》 ... 정안옹주 정대빈 김씨 역(단역)
영화
- 2013년 《사랑해! 진영아》 - 박철순 역
- 2011년 《그대를 사랑합니다》 - 송이뿐 역
- 2009년 《결혼식 후에》 - 박옥순 역
- 2005년 《왕의 남자》 - 인수대왕대비 청주 한씨 역
- 2005년 《이대로, 죽을 순 없다》 - 진료실 의사 역 (우정출연)
- 2001년 《하루》 - 진원 이모
- 1999년 《표절》
- 1999년 《이재수의 난》 - 숙화 모 역
- 1997년 《올가미》 - 진숙 역
- 1992년 《이혼하지 않은 여자》
- 1983년 《3일낮 3일밤》
- 1983년 《참새와 허수아비》 - 마담 역
- 1971년 《당신과 나 사이에》
- 1968년 《무기와 육체》
- 1968년 《일식》
- 1967년 《내멋에 산다》
- 1967년 《콩쥐팥쥐》
- 1967년 《역전부자》
- 1966년 《나운규 일생》
- 1965년 《아름다운 눈동자》
- 1964년 《학사주점》
- 1964년 《니가 잘나 일색이냐》
TV 드라마
- 2017년 SBS 《엽기적인 그녀》 - 자혜대비 역 (유작)
- 2016년 JTBC 《판타스틱》 - 곽혜선 역
- 2015년 KBS2 《다 잘될 거야》 - 권영순 역
- 2014년 MBC 《폭풍의 여자》 - 노순만 역
- 2014년 SBS 《사랑만 할래》 - 양양순 역
- 2013년 SBS 《결혼의 여신》 - 이정숙 역
- 2013년 tvN 《연애조작단; 시라노》 - 황 여사 역
- 2012년 SBS 《청담동 앨리스》 - 정 여사 역
- 2011년 MBN 《갈수록 기세등등》 - 윤소정 역
- 2011년~2012년 SBS 《내 딸 꽃님이》 - 문정옥 역
- 2009년 KBS2 《다 줄거야》 - 오말년 역
- 2009년 MBC 《잘했군 잘했어》 - 배정자 역
- 2008년 MBC 《그 분이 오신다》 - 윤소정 역
- 2007년 SBS 《사랑하고 싶다》 - 심 여사 역
- 2005년 SBS 《루루공주》 - 장명숙 역
- 2005년 KBS2 《그녀가 돌아왔다》 - 오정희 역
- 1999년 KBS2 《만남》 - 최 보살 역
- 1993년 SBS 《일과 사랑》 - 서기숙 역
- 1989년 MBC 《겨울 안개》 - 강민주 역
- 1986년 KBS2 《이별 그리고 사랑》
라디오 프로그램
- 2016년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EBS FM)
Remove ads
수상
가족 관계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