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EBS FM

한국교육방송공사의 라디오 채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EBS FM대한민국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운영·방송하는 FM 라디오 방송 채널이다. 주로 어학, 교육, 교양 프로그램 등을 방송한다. 아침에는 어학, 심야에는 주로 문학 관련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편성하며,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KBS 지역 총국의 지상파 송출망을 공유하고 있다.

간략 정보 방송국, 방송위치 ...

본 채널은 공익적 채널의 특성상 지역방송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없고 24시간 방송이 아니며, 오전 5시부터 다음 날 오전 2시까지만 방송한다. 지역방송 또한 없다.

수도권에서만 스테레오로 방송하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모노로 방송 중이다. 단, 주파수는 전국방송이다.[2]

Remove ads

정규방송 시간

  • 매일 오전 5:00 ~ 익일 오전 2:00 (21시간)

개요

EBS FM은 KBS 제1라디오와 함께 대한민국에서 송출망이 가장 많은 라디오 채널이다. 이렇게 주파수가 전국적으로 많이 구축된 것은, 과거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듣기평가(언어, 외국어 영역)를 라디오 방송을 통해 재생하였고(수신불량 등 일부 음영 지역이 많은 경우, 현재는 각 학교의 시험장에 배부된 카세트 테이프나 CD로 재생), 현재에도 전국 단위[3]로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영어듣기능력평가가 이 방송을 통하여 시행되기 때문이다.

개국 당시 주파수는 EBS FM의 전신인 KBS 교육FM의 주파수를 계승하여, KBS의 지역 총국의 지상파 송출망을 공유하고 있다.

특징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내보내지 않는다.[4]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내보내지 않는 이유는 공익광고방송을 하고 있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없이 라디오 프로그램을 시작 및 종료되기 때문이다.[5]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전혀 내보내지 않는 것이 라디오 채널이다.[6]

로고송

  • 또 다른 세상을 만나다~ 새로운 여행~ EBS~ FM~ 2012년 2월 27일 ~ 현재 (책 읽어주는 라디오 개편 이후)

연혁

1970년대

  • 1974년 3월 28일 : KEDI 라디오 교육방송 개국 (호출부호 HLQL-FM, FM 104.5㎒).

1980년대

1990년대

  • 1990년 12월 27일 : 운영 주체 변경에 따라 교육방송(EBS)으로 분리. EBS FM 개칭.

2000년대

  • 2003년[언제?] : 104.5㎒의 출력을 5㎾에서 10㎾로 증강.
  • 2004년 8월 30일 : 스튜디오 시스템을 기존의 아날로그 오픈릴 테이프 방식에서 디지털 오디오 파일 방식으로 전면 전환.
  • 2008년 6월 18일 : 방송대학 강좌 라디오 송출 폐지.

2010년대

  • 2011년 7월 27일 : 우면산 산사태로 인한 방송장비 손상으로 정규방송 중지 및 긴급 음악방송으로 전환. 당일 저녁 6시에 정규방송 긴급 복구.
  • 2017년 7월 16일 : 일산 신사옥으로의 연주소 이전을 위한, 라디오 방송의 우면동 방송센터 마지막 송출.
Remove ads

전국 방송망

방송 프로그램

요약
관점

현재 방송 프로그램

EBS FM의 미종방 프로그램 목록

종방된 프로그램

EBS FM의 종방된 프로그램 목록
Remove ads

방송 시간

자세한 정보 비고, 월요일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