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음성군

대한민국 충청북도의 하위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음성군
Remove ads

음성군(陰城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서부에 있는 이다. 특산물로 음성 청결고추가 유명하며, 반기문유엔 사무총장고향이기도 하다.

간략 정보 음성군, 행정 ...

동쪽으로 충주시, 괴산군, 서쪽으로 진천군, 북쪽으로 경기도 안성시, 이천시, 여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증평군과 경계를 이룬다.

Remove ads

역사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음성군으로 개편하였다.[2]
  •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개편하였다.
  • 1906년 9월 24일 충주군 금목면, 법왕면, 천기면, 지내면, 두의면, 대조면, 사다면, 소탄면, 감미면, 거곡면, 맹동면, 생동면, 무극면을 편입하였다.[3]
  • 1914년 4월 1일 충주군 소파면, 사이면을 병합하였다. (9면)[4]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17년 10월 1일 군내면을 음성면으로 개칭하였다.
  •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을 음성읍으로 승격하였다.[5] (1읍 8면)
  •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을 금왕읍으로 승격, 생극면 도신리 일부를 금왕읍으로, 중원군 신니면 광월리 일부를 음성읍으로,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를 소이면으로 편입하였다.[6] (2읍 7면)
Remove ads

행정 구역

음성군의 행정 구역은 2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520.40km2이다. 2016년 2월 29일을 기준으로 주민등록 인구는 43,686세대, 96,777명이다. 1968년 122,28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감소하여 1990년 74,717명으로 최저를 기록했지만, 이후 9만 명을 회복하였다.[7] 군청 소재지인 음성읍보다 금왕읍에 더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금왕읍은 산맥을 기준으로 음성분지와 생활권이 단절되어 있다. 감곡면은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과 한생활권을 이룬다. 공장이 많기 때문에 남녀 성비는 1.1로 충북에서는 제일 높은 수준이다.

자세한 정보 읍면동, 한자 ...
Remove ads

군청

현재 음성군청은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위치하고 있다.

교통

철도

고속도로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산업

요약
관점

2010년 기준 1,780여개의 기업체가 등록돼 있어 충청북도에서 가장 많은 기업체가 입주되어 있다.[8]

산업단지

  • 대풍지방산업단지
  • 대소지방산업단지
  • 소이지방산업단지
  • 금왕지방산업단지
  • 니트지방산업단지
  • 음성하이텍산업단지
  • 맹동산업단지
  • 감곡지방산업단지

농공단지

  • 음성농공단지
  • 금왕농공단지
  • 삼성농공단지

지역내 총생산

음성군의 2011년 지역내 총생산은 13조 8,058억원으로 충청북도 지역내 총생산의 13.5%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3,499억원으로 2.5%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11조 976억원으로 80.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조 3,582억원으로 17.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대규모 신산업단지의 건설과 관련하여 건설업(5.0%)과 공공행정(1.9%),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1.5%)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1.3%)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9]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음성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58,560명으로 충청북도 총종사자 수의 9.4%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279명으로 0.5%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32,474명으로 55.5%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5,807명으로 44.1%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산업은 충청북도 전체의 비중 (28.9%)보다 높고 3차 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70.8%)보다 낮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7.0%), 숙박 및 음식점업(6.5%)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7%), 사업서비스업(4.6%)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0]

무극 금광산

무극광산 또는 무극 금광상은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 위치하며 고려 시대부터 의 생산지로 알려진 곳이다. 광산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의 화성암인 화강섬록암, 우백질 화강암, 석영반암과 음성 분지의 퇴적암 지층 백야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극금광산은 화강섬록암 내에 발달한 열극을 충진한 함금은석영맥 광상이다. 이 광산에는 10여 개의 광맥들이 평행하게 발달하며 그 주향은 북서 5~20°또는 35~40°, 경사는 북동 60~80°이다. 을 포함하는 석영맥들은 동쪽에서부터 박산맥, 금룡맥, 삼형제맥, 1호맥, 2호맥, 8호맥, 9호맥, 10호맥, 11호맥으로 명명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주로 2호맥을 대상으로 약 750 m 하부까지 채광하였으나 최후에는 삼형제맥을 개발했다. 이 광산에서는 호박금(일렉트럼), 자연 , 휘은석, 함은사면동석, 피어사이트(pearceite; 은, 비소의 황화광물), 휘안동은광(輝安銅銀鑛, polybasite), 티탄철석, 적철석, 유비철석, 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자류철석, 사면동석 등이 산출되며 맥석광물로 석영, 방해석, 형석, 녹니석 등이 산출된다.[11]

Remove ads

교육

  
  
  
  
  • 감곡중학교
  • 대소중학교
  • 매괴여자중학교
  • 무극중학교
  • 삼성중학교
  • 생극중학교
  
  • 특수학교
  
Remove ads

출신 인물

자매 도시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