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라크의 국가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나의 조국》(아랍어: موطني)는 1934년에 팔레스타인인 이브라힘 투칸(ʾIbrāhīm Ṭūqān)이 작사, 레바논인 모하메드 플라이펠(Muḥammad Flayfil)이 작곡한 아랍 민족주의 찬가로, 현재 이라크 공화국의 국가로 채택되어 있다.[1][2]

이라크의 국기
이라크의 국기
이라크국가 목록
왕을 찬양하라〉(1924-1959)
나의 조국〉(1959-1965)
나의 무기여〉(1965-1979)
두 강의 땅〉(1979-2003)
나의 조국〉(2003-2004)
나의 조국〉(2004~현재)

이 곡은 팔레스타인에서 인기가 많았던 곡으로, 1996년 《전사여》가 공식적으로 채택되기 전까지 사실상의 국가로 여겨지기도 했다. 2004년에는 이라크 정부가 사담 후세인 정권 동안 쓰이던 《두 강의 땅》을 폐지하고 이 곡을 국가로 채택하였다.[1]

Remove ads

가사

요약
관점

아랍어 가사

자세한 정보 아랍문자, 로마자 ...

한국어 번역본

1절

나의 조국이여, 나의 조국이여,
영광과 아름다움이, 웅장함과 위대함이
그대의 언덕 위에, 그대의 언덕 위에.
생명과 해방, 즐거움과 희망이
그대의 공기 중에, 그대의 공기 중에.
그대를 볼 수 있을까, 그대를 볼 수 있을까,
안녕한 번영, 승리의 명예 속에서
안녕한 번영, 승리의 명예 속에서
그대를 볼 수 있을까, 그 고귀함 속에서
별을 향해 가는, 별을 향해 가는
나의 조국이여, 나의 조국이여.

2절

나의 조국이여, 나의 조국이여,
청년은 지치지 않는다네, 그 목표는 그대의 독립이기에,
이를 위해 죽으리, 이를 위해 죽으리.
차라리 죽음을 택하리, 우리의 적들을 위해
노예가 되느니, 노예가 되느니.
우리는 거부하리, 우리는 거부하리,
영원한 굴욕도, 비참한 인생도
영원한 굴욕도, 비참한 인생도
우리는 거부하리, 그리고 재현하리,
우리의 유서 깊은 영광을, 우리의 유서 깊은 영광을,
나의 조국이여, 나의 조국이여.

3절

나의 조국이여, 나의 조국이여.
이야기나 말다툼이 아닌, 칼과 붓이야말로
우리의 상징이로다, 우리의 상징이로다.
우리의 영광, 우리의 맹세, 경건한 충성이
우리를 움직이노라, 우리를 움직이노라.
우리의 영광은, 우리의 영광은
우리의 숭고한 이상이요, 휘날리는 깃발이라,
아, 그 영광 속에서 그대가 보인다,
적들에게 승리하는, 적들에게 승리하는
나의 조국이여, 나의 조국이여.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