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익양군 (조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조위
후한말, 형주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조조는 적벽대전에서의 참패를 겪으면서 형주에서의 지배력이 약화되었고, 손권과 유비의 세력이 형주 남부지역에서 확장되었다. 이에 조조는 강하군지역에서 사수에 성공했던 강하군 8개현중 서릉현, 서양현, 대현을 여남군의 익양현, 기사현과 함께 익양군으로 분리했다. 신설연도의 경우 진서에는 조비가 여남군에서 신설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213년(후한 헌제 건안 18년) 조조가 전지역의 군현을 정비할 때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 218년(후한 헌제 건안 23년) 오환원정을 떠나기 전에 전예가 익양태수로 부임했다는 점을 반영할 경우, 213~218년 사이에 신설된 것으로 추정된다.[1] 222년(위 문제 황초 3년)부터 224년(위 문제 황초 5년)까지 여양공이었던 조표가 익양왕으로 봉해지면서 익양국으로 승격되기도 했다.[2]
Remove ads
서진
사마염이 오나라를 멸망시킨 이후 기춘군의 기춘현, 주현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확장되었다. 황강시서부, 안루시일대로 군역이 확장되었다. 7현 16,700호를 거느렸다. 290년(진 혜제 영희 원년), 옛 기춘군에 속한지역이 서양군으로 분리되었다.[3][4]
Remove ads
유송
6현 3,275호 24,262명을 거느렸다.[4]
수
양나라때 광주(光州)로 승격되었다. 6현 41,433호를 거느렸다.[5]
Remove ads
당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