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진서

중국 진나라(晉)의 기록을 담은 역사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진서(晉書)는 중국 진나라(晉, 265년 ~ 420년)의 기록을 담은 역사서이다. 이십사사 중에 하나이다. 당 태종 치세인 648년방현령·이연수· 배행검(裴行儉) 등 20여 명의 학자가 편찬한 책으로, 서진(西晉, 265년 ~ 316년)과 동진(東晉, 317년 ~ 418년)의 역사가 수록되어 있다. 이 진서 이후 사서(史書) 편찬이 국가 사업으로 행해지고 새 왕조에서 전 왕조의 역사를 쓰는 것이 나라의 임무가 되었다.[1]

자세한 정보 이름, 저자 ...
Remove ads

개요

현무문의 변을 일으켜 형 황태자 이건성을 죽이고, 제위에 오른 당 태종 이세민방현령을 총책임자로 하여 미편찬된 역사서의 편찬을 명하였다. 당시 편찬된 사서로는 북제서(北齊書), 양서(梁書), 진서(陳書), 수서(隋書), 주서(周書), 진서(晉書)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진서(晉書)는 가장 앞시기를 다루고 있는 사서로서 당시 편찬된 사서 가운데 필두로 꼽혔다. 또한 종래의 사기(史記), 한서(漢書), 삼국지(三國志), 후한서(後漢書) 등은 모두 개인이 저술한 책이었으나 후대에 정사의 반열에 오른 것에 비해, 진서를 필두로 하는 6사는 당 태종의 명으로 편찬된 최초의 관찬 정사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진서 본기를 기준으로 보면, 진 선제 사마의(司馬懿)로부터 동진의 마지막 황제 공제 사마덕문(恭帝 司馬德文)까지 기록되었으며, 그 외에 동진이 멸망한 뒤에 사망한 혁련발발(赫連勃勃)의 재기(載記)가 덧붙어 있다.

한편, 당 태종은 왕희지(王羲之)를 존경하여, 진서 왕희지전(晉書 王羲之傳)은 직접 집필하였다.

Remove ads

편찬

신당서(新唐書) 예문지(藝文志) 을부(乙部)에 따르자면 진서는 방현령(房玄齡, 578년 ~ 648년), 저수량(褚遂良, 596년 ~ 658년), 허경종(許敬宗, 592년 ~ 672년), 내제(來濟, 610년 ~ 662년), 육원사(陸元仕), 유자익(劉子翼), 영호덕분(令狐德棻, 583년 ~ 666년), 이의부(李義府, 614년 ~ 666년), 설원초(薛元超, 622년 ~ 683년), 상관의(上官儀, 608년 ~ 665년), 최행공(崔行功, ? ~ 674년), 이순풍(李淳風, 602년 ~ 670년), 신구어(辛丘馭), 유인지(劉引之), 양인경(陽仁卿), 이연수(李延壽), 장문공(張文恭), 경파(敬播, ? ~ 663년), 이안기(李安期), 이회엄(李懷儼), 조홍지(趙弘智, 572년 ~ 653년) 등이 공동 편찬 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부는 당 태종이 직접 집필하였다고 한다.

Remove ads

평가

진서에 대해 비판적인 평가가 많다.

유지기(劉知幾)는 진서가 어림(語林), 세설신어(世說新語), 유명록(幽明錄), 수신기(搜神記)와 같은 책에 기록된 괴이한 내용까지 수록한 것을 지적하고, "분량마저 많으면 좋은자료 수집이 넓고 좋다고 하는 태도다. 소인은 기쁘게 할 수 있겠지만, 군자가 비웃고 있다."라고 매우 강하게 비판하였다. 또 구당서와 신당서의 방현령전 평에도 "진서를 편찬한 사관은 문학인이 많았기 때문에, 괴이한 기록을 적고, 이상한 말을 모으는 것을 좋아했을 뿐, 그 기술 태도는 기발하고, 정확한 사실인지 판단하지 않았다고."고 한다.

물론, 비판적인 평가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책부원구(冊府元龜)에는 "전대의 기록을 크게 고증하여, 잔존하는 기록을 많이 찾아, 잡초를 베어 내도록 중요한 부분을 뽑아내었다."라고 평하여 진서에 당대를 다루고 있는 각종 사료들이 망라되어 있는 것을 높게 평가하기도 하였다.

기존의 사서와 비교하면 개인이 집필하고 편찬한 사서와 달리 여러 명의 편찬자 공동 집필한 것이므로, 전후 기록이나 전기간 기록들 사이에 모순된 서술도 있다.

구성

요약
관점

총 130권으로, 제기 10권, 열전 70권, 지 20권, 재기(載記) 30권이다.

제기(帝紀)

자세한 정보 ###, 제목 ...

지(志)

자세한 정보 ###, 제목 ...

열전(列傳)

열전
자세한 정보 ###, 제목 ...

재기(載記)

재기
자세한 정보 ###, 목록 ...
Remove ads

특징

당태종 이세민이 친히 인물을 평가한 대목들이 있다. 制曰로 시작한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