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일본측백나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일본측백나무(日本側柏-, 학명: Thuja standishii)는 겉씨식물 소나무강의 측백나무과 눈측백속의 일종이다. 교목이 되는 상록 침엽수로(그림 1), 우듬지는 십자로 마주나는(十字對生) 인편상(鱗片狀)의 잎으로 편평하게 덮여 있고, 뒷면의 기공대(氣孔帶)는 눈에 띄지 않는다. 꽃은 5월에 피며, 구과는 그 해 가을에 익는다. 목질과 과린(果鱗)은 두껍지 않으며, 와상(瓦狀)으로 포개어진 모양을 하고 있다.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와 시코쿠의 산지부터 아고산대(亞高山帶)에 분포한다. 목재는 건축 등에 이용되며, 기소 5목의 하나로 여겨진다.
Remove ads
명칭
일본에서는 쿠로베(クロベ)라고 부르며,[7] 이는 한자로 흑회(黑檜) 내지는[8] 흑부(黒部)로 표기한다.[9] 나무 목(木)과 쥐 서(鼠)를 합자하여 만든 일본 국자 '𣜌'나[10] 음차 표기인 구려배(久呂倍)로도 적는다.[11] 이외에도 쿠로베와 같이 흑회(黑檜)로 적고서 쿠로비(クロビ)라 읽기도 한다.[8] 또한 쿠로베스기(クロベスギ)라 하고 한자로는 흑회삼(黑檜杉)이나[12] 흑부삼(黒部杉)으로 적기도 한다.[13] 네즈코(ネズコ)라고도 부르는데, 이에 해당하는 한자 표기는 서자(鼠子)와[14] 서자(𣜌子) 등이 있다.[15] 이 이름을 표준명으로 할 때도 있으며,[4] 이로 인해 눈측백속을 일본에서는 네즈코속(ネズコ属)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히바(ヒバ, 檜葉)라는 이름도 있는데, 히바는 보통 나한백(특히 황금나한백)을 가리키지만,[16][17] 유사종인 편백나무나 화백나무, 일본측백나무를 가리킬 때도 있다.[16] 고로히바(ゴロウヒバ, 五郎檜葉)나[18] 아카히(アカヒ, 赤檜),[19] 이누비(イヌビ)라는 이름도 있다.
영어로는 'Japanese arborvitae'[20] 혹은 'Japanese thuja'라고 한다.[20]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