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자기파멸 인격장애
제안된 인격장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자기파멸 인격장애(self-defeating personality disorder) 혹은 피학적 인격장애(masochistic personality disorder)는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로 분류할 것이 제안되고 있는 장애이다. 1987년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제3판인 DSM-III-R 부록(appendix)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편람에 편입된 적은 없다. 그 대안으로 특정불능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진단은 사용되고 있다틀:Dubious-span. 특성 특정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trait specified, PD-TS) 미래 버전으로 제안되고 있다. 일부 연구자와 이론가들은 DSM-III-R 기준을 계속 사용한다. 공식 진단 코드 번호(official diagnostic code number)는 301.90 (personality disorder NOS)이다.[1]
Remove ads
진단
요약
관점
추가 평가를 위한 DSM III-R에 제안된 정의
자기파멸 인격장애는 다음과 같다.
- A) 자기 파멸적 행동(self-defeating behavior)이 만연한 유형, 초기 유년기에 발병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발현한다. 유쾌한 경험을 피하거나 격하하고, 고통스러운 상황이나 관계로 끌려가거나, 타인의 도움을 막기도 한다. 다음 중 5개 이상 해당한다.
- 실망, 실패, 학대를 야기하는 사람이나 상황을 선택, 더 좋은 옵션이 가능한데도 그러함
- 타인의 도움을 거절하거나 잘 안 되게 방해함
- 새로운 성취 등 긍정적인 개인적 사건 이후에 우울(depression), 죄책감(guilt), 사고 등 고통을 야기하는 행동으로 반응
- 분노를 일으키거나 타인의 반응을 거절, 이후 고통, 패배감, 모욕감(남 앞에서 배우자를 놀림, 말대꾸를 일으킴, 이후 비통함을 느낌)
- 적당한 사회적 기술을 갖고 있고 유쾌한 경험을 수용할 능력이 있음에도, 유쾌한 경험의 기회를 거절하고나 자기가 즐거워지는 걸 알려 하지 않음
- 어떤 일의 능력을 이미 보였음에도, 개인적 목적에 중요한 과업을 달성하지 못함(예 : 동료 학생들의 글쓰기를 도움, 그러나 자기 글을 못 씀)
- 자기에게 끊임없이 잘 대해주는 사람에 대해 흥미가 없거나 그런 사람을 거절함
- 희생의 수혜자로 지목한 사람이 요청하지 않은 과도한 자기희생(self-sacrifice)
- 유쾌한 경험을 피하거나 격하함, 유쾌한 경험의 기회를 피함
- B) A에 기재돤 행동들은 신체적, 성적, 심리적 학대가 발생하거나 그런 상황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단독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 C) A에 기재된 행동들은 우울할 땐 일어나지 않는다.
DSM-IV에서의 배제
역사적으로 피학증(masochism)은 여성의 순종(submissiveness)과 연관되어 왔다. 대개 남성에 의해 야기되는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과 연관되어 있을 때, 이 장애는 정치적으로 논쟁이 분분하다.[2] 그러나 많은 연구들에서는 이 장애가 흔하다고 제안한다.[3][4] 1994년 DSM-IV에서 배제되었음에도, 의사들 사이에서는 자기파멸 인격장애가 인간 행동의 여러 면들을 설명하는 구조로 계속 통용되고 있다.[2]
사회, 직업, 기타 중요 영역에서 병적으로 중대한 고통이나 지장을 일으키는 가피학증(Sadomasochism)은 여전히 DSM-IV에 남아 있다.
밀론 하위유형
테오도어 밀론(Theodore Millon)은 피학대자(masochist)의 4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각 피학대자마다 아래 하위유형 중 어느 것도 속하지 않거나 하나 혹은 그 이상 속할 수 있다.[2][5]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