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장애인 태권도
장애인을 위해 변형된 태권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장애인 태권도는 장애인을 위해 변형된 태권도이다. 세계 태권도 연맹이 총괄한다. 장애인 태권도는 겨루기와 품새의 두 종목으로 개발되어 장애인 스포츠의 일종으로 도입되었다.[1] 2017년 1월 31일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 총회에서 2020 도쿄 패럴림픽의 공식 종목으로 확정되었으며, 같은 해 세계 태권도 연맹은 IPC의 정식 회원이 되었다.[2]
역사
기원
세계 태권도 연맹은 2006년 장애인 태권도 위원회를 설립하여 장애인을 위한 태권도 발전을 도모하였다. 처음에는 팔 절단 및 사지 결손 운동선수를 위한 겨루기 종목 개발에 주력했다. 첫 번째 장애인 태권도 대회는 2009년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렸다.[3] 2013년에 2016년 하계 패럴림픽 종목으로 등록되고자 하였으나 실패한 후, 장애인 태권도의 발전을 논의하기 위한 팀이 세계 태권도 연맹 주관 장애인 태권도 대회 기간 동안에 구성되었다. 이 팀은 국제뇌성마비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협회(CPISRA) 및 국제정신지체인경기연맹(INAS)의 대표를 초청하여 자문을 구했다. 최종적으로 장애인 태권도는 참여 범위 등을 확장시켜 모든 유형의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국제대회를 마련하였다. 또한, 신경학적, 지적, 시각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품새 종목도 도입되었다. 장애인 태권도 품새 경기는 2015년 INAS 지적장애인월드컵과 CPISRA 국제경기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추가되었다.[1][4]
패럴림픽 종목 등재
세계 태권도 연맹은 2013년 10월 IPC로부터 정식 인정받은 국제 연맹이 되었으며, 2020 도쿄 패럴림픽 종목에 장애인 태권도를 포함시키기 위해 2014년 1월 IPC에 의향서를 제출했다. 2014년 7월에 두 번째 단계 신청이 완료되었으며, 2014년 10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PC 이사회 회의에서는 장애인 태권도를 2020 도쿄 패럴림픽 종목으로 포함시키기 위한 입찰을 발표했다. 그러나 당시 패럴림픽 종목으로 확정된 스포츠에는 장애인 태권도가 포함되지 않았다.[5] 2015년 1월, 아부다비에서 열린 IPC 이사회 회의에서 2020 도쿄 패럴림픽 프로그램의 최종 결정이 내려졌다.[6]
Remove ads
관리
세계 태권도 연맹은 장애인 태권도의 관리 기관이며, 이 스포츠의 규칙과 규정을 설정한다. 2013년에 IPC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으며, 2015년에 세계 태권도 연맹은 IPC의 정식 회원이 되었다.[1]
경기 분야
장애인 태권도는 겨루기와 품새(라는 두 가지 경기 형태로 나뉘며, 다양한 장애를 가진 운동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다. 겨루기의 규칙은 올림픽 겨루기와 다르게 머리 공격이 금지되며, 주먹 공격이 점수로 인정되지 않는다.[7][8][9]
겨루기

시스템
장애인 태권도 겨루기 경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 리그전 방식, 또는 패자 부활전이 있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10]
경기 시간
장애인 태권도 겨루기 경기는 2분씩 3라운드로 구성되며, 각 라운드 사이에 1분의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만약 세 번째 라운드 후에 점수가 동점일 경우, 1분의 휴식 후 네 번째 라운드인 골든 포인트 라운드가 진행된다.[11] 경기 시간은 기술 위원의 재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스포츠 클래스에 따라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10]
유효 득점
발로 몸통 보호대에 유효한 공격을 할 경우 2점이 주어지며, 몸통 보호대를 향한 회전 발차기에는 3점, 회전 스핀 기술로 몸통 보호대에 명중하면 4점이 부여된다. 또한, 상대에게 주어진 감점마다 1점이 부여된다.[10][11]
체급 구분
장애인 태권도 겨루기의 체급은 체중과 성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10]
Remove ads
품새

시스템
장애인 태권도 품새 경기는 싱글 또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시스템으로 진행된다..[12]
경기 시간
장애인 태권도 품새 경기는 20초에서 120초 사이에 이루어지며, 참가자는 이 시간 동안 동작의 정확성을 유지하며 각 품새를 수행해야 한다. 참가자들은 교대로 품새를 수행하며, 한 참가자가 품새를 먼저 마쳤을 경우, 상대방은 최소 1분의 휴식 시간을 보장받는다.[12]
유효 득점
장애인 태권도 품새 경기의 총 점수는 10.0점이다. P20 스포츠 클래스에서는 수행되는 품새의 난이도에 따라 추가 점수가 부여된다. 점수는 기술 점수와 표현 점수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며, 각 범주에서 부여될 수 있는 최대 점수는 다음과 같다: 기술 점수는 4.0점, 표현 점수는 6.0점이다.[12]
체급 구분
장애인 태권도 품새 경기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12]
Remove ads
선수 분류
선수 분류는 패널이 운동선수가 최소 장애 기준(MIC)을 충족하는지 평가하여 적절한 경기로 배정하는 절차이다. 평가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신체 평가, 기술 평가, 그리고 관찰 평가가 있다.[13]
분류군
겨루기와 품새의 스포츠 클래스는 각각 "K"와 "P" 접두어로 구분된다.[14]
겨루기 | 장애 유형 | 분류군 | 품새 | 장애 유형 | 분류군 |
사지 장애 | K40 | 시각 장애 | P10 | ||
지적 장애 | P20 | ||||
신체 장애 | P30 | ||||
청각 장애 | K60 | 휠체어 탑승 | P50 | ||
청각 장애 | P60 | ||||
저신장 | P70 |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