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장흥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장흥군(長興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다. 탐진강이 군의 북서부를 남류하다가, 장흥읍에서 여러 지류가 합류하여 서쪽의 강진만으로 흐른다. 관산읍 신동리에는 서울 광화문에서 정남쪽으로 내려오면 도착하는 나루라는 뜻으로 정남진(正南津)이 있다. 군청 소재지는 장흥읍이고, 행정구역은 3읍 7면이다. 장흥군의 남쪽은 회진면의 회진성이 북쪽은 유치면의 수인산성이 위치한다. 전남 서남권 9개 시군 64 만 명의 식수원인 장흥댐이 있으며 불교 선종의 발상지인 천년고찰 유치면에 보림사가 있다.
Remove ads
역사
《대동여지도》
- 도수희 교수의 백제어 연구에 의하자면 마한의 막로국(莫盧國)이라고 되어있었다.
- 백제의 오차현(烏次縣)이다. 당시 치소는 지금의 관산읍이다.
- 757년 오아현(烏兒縣)으로 개칭하고 보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 940년 정안현(定安縣)으로 개칭하고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
- 고려 성종이 정주(定州) 또는 관산(冠山)이라는 별호를 부여하였다.
- 고려 인종이 공예왕후 임씨의 고향이라 하여 장흥부(長興府)로 승격시켰다. 영암군의 속현인 수령현(遂寧縣), 탐진현(耽津縣)과 보성군의 속현인 회령현(會寧縣), 장택현(長澤縣), 두원현(荳原縣)이 장흥의 속현이 되었다. 뒤에 도량도부곡(道良道部曲)이 도양현(道陽縣)으로 승격되어 6개 속현을 관할하였다.
- 1265년 회주목(懷州牧)으로 승격하였다.
- 1310년 전국의 목(牧)을 정리하면서 다시 장흥부로 강등되었다.
- 1379년에 왜구의 침입을 피해 능성의 속현인 철야현으로 이전하였다가, 1392년에 수령현의 중령산(中寧山)에 성을 쌓고 치소를 이전하였다.
- 1409년 전라도의 모든 속현과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장흥부의 6개 속현, 6개 향, 13개 소가 모두 폐지되었다.
- 1413년 장흥도호부가 되었다. 이듬해 성이 좁다 하여 옛 수령현의 터에 성을 쌓고 장흥의 치소로 삼았다.
- 1417년 옛 탐진현이 도강현에 편입되어 강진현이 되었다.
- 1441년 옛 두원현과 도양현이 흥양현에 편입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장흥군으로 개편하였다.[2]
- 군내면, 부서면, 부동면, 대흥면, 내덕면, 남상면, 남하면, 부산면, 용계면, 유치면, 부평면, 고상면, 고하면(이상 2면은 옛 장흥), 장동면, 장서면(이상 2면은 옛 장택현), 안상면, 안하면(이상 2면은 옛 안양향), 회령면(옛 회령현), 웅치면(옛 웅점소), 천포면
- 1896년 도서 지역을 신설 완도군에 편입하였다.[3]
-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장흥군으로 개편하였다.[4]
- 1914년 4월 1일 천포면, 회령면, 웅치면을 보성군에 편입하였다.[5] 노력도 등 육지에 바로 인접한 일부 도서를 완도군에서 반환받았다.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장흥면, 부동면, 대덕면, 고읍면, 남상면, 남하면, 안양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
Remove ads
지리
요약
관점
장흥군은 전라남도 남부에 위치하여 북방으로부터 동남방에 이르는 경계의 고지대로 화순군, 보성군과 경계를 이루면서 득량만이 접하고 안양, 용산, 관산, 대덕, 회진 5개 읍면은 해안선에 이어져 있어 고흥군, 완도군과 경계를 이룬다. 북부에서 서남쪽 경계는 산악지대로 영암군, 강진군과 경계를 이루고 용반들, 부산들, 한들평야등의 동북쪽의 보성강 유역과 남부의 득량만에 흐르는 크고 작은 하천 유역에 평야가 산재되어 있다.[11]
장흥군의 산악은 노령산맥의 지맥으로 북방 유치면의 삼계봉(503.9m)을 거점으로 동남으로는 장평면의 봉미산, 벽옥산(479.2m)등에 연결되고 중앙으로는 유치면의 가지산(509.9m) 용두산, 보성군과 경계인 장흥군의 제암산(807.0m), 안양면의 사자산(666.0m) 곰치산 등에 연결되어 있다.[11]
서남으로는 유치면의 민들고랑(479.9m), 국사봉(613.3m), 부산면의 수인산(516.2m), 용산면의 부용산(609.0m), 관산읍의 천관산(723.1m)과 양암봉(464.9m)으로 연결되어 남북 일대의 산맥을 이루고 있다.[11]
전라남도 3대강의 하나인 탐진강은 영암군 금정산에서 발원하여 유치, 부산, 장흥에 이르기까지 대소 20개 하천이 합류되어 장흥군에서 예양(일명 금강)강이라고 하고 사인암에 이르러 영암군 월출산에서 발원한 금강천과 합류하여 강진만으로 흐른다. 강유역에서 용반, 부산, 한들 등의 비옥한 평야가 펼쳐 있어 농산물이 풍부하여 장흥의 명산물의 하나인 은어가 여름철에 서식하고 있다. 기타 대소하천은 동북쪽 장평면의 9개 하천은 보성강에 흐르고 남쪽의 남상천의 16개 하천은 득량만으로 흐르고 있다.
기후
Remove ads
행정 구역

장흥군의 행정 구역은 3읍 7면 294개리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흥군의 면적은 618.2km2이며, 인구는 2010년 12월말을 기준으로 19,878가구, 42,394명이다.[14]
인구
장흥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15]
역대 군수
출신 인물
관광
축제
- 장흥정남진물축제
- 정남진 전국 마라톤 대회
- 제암산 철쭉제
- 정남진장흥 키조개 축제
- 선학동 메밀꽃축제
- 천관산 억새제
- 장흥표고버섯축제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 88.3 - 전주KBS 제1라디오 (구례 노고단)
- 89.1 - 목포MBC 표준FM (해남 대둔산)
- 89.7 - BBS 광주불교방송 (광주 무등산)
- 90.5 - 광주KBS 제1라디오 (광주 무등산)
- 91.5 - 광주MBC FM4U (광주 무등산)
- 92.3 - 광주KBS 클래식FM (광주 무등산)
- 93.1 - febc 광주극동방송 (광주 무등산)
- 93.9 - 광주MBC 표준FM (광주 무등산)
- 94.7 - 남도국악방송 (해남 대둔산)
- 95.1 - 광주MBC FM4U (구례 노고단)
- 95.5 - 광주KBS 제2라디오 해피FM (광주 무등산)
- 96.1 - 광주KBS 제1라디오 (장흥)
- 96.5 - KFN 라디오 (광주 무등산)
- 97.3 - TBN 광주교통방송 (광주 무등산)
- 98.1 - 광주CBS 음악FM (광주 무등산)
- 98.3 - 목포KBS 클래식FM (목포 양을산)
- 98.7 - GGN 글로벌광주방송 (광주 무등산)
- 99.3 - 광주국악방송 (광주 무등산)
- 99.9 - cpbc 광주가톨릭평화방송 (광주 무등산)
- 100.5 - febc 목포극동방송 (목포 양을산)
- 101.1 - 광주kbc 마이FM (광주 무등산)
- 101.7 - 전주MBC 표준FM (구례 노고단)
- 102.3 - 목포MBC FM4U (목포 양을산)
- 103.1 - 광주CBS 표준FM (광주 무등산)
- 104.1 - EBS 라디오 (해남 대둔산)
- 104.5 - 전주KBS 클래식FM (구례 노고단)
- 105.3 - EBS 라디오 (광주 무등산)
- 105.9 - 목포KBS 제1라디오 (해남 대둔산)
- 106.7 - EBS 라디오 (목포 양을산)
- 106.9 - EBS 라디오 (장흥)
- 107.5 - EBS 라디오 (구례 노고단)
- 107.9 - WBS 광주원음방송 (광주 무등산)
Remove ads
자매 도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