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잭 니컬슨

미국의 배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잭 니컬슨
Remove ads

잭 니콜슨(Jack Nicholson, 1937년 4월 22일 ~ )은 미국배우이다.[1][2] 그는 신경증적인 캐릭터의 어두운 면을 묘사한 것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아카데미상에 12번 후보로 올랐으며,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와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로 두번의 아카데미 주연상을 받았다. 그는 또한 1983년 《애정의 조건》으로 아카데미 조연상을 받았다. 그는 남자 배우중에서는 월터 브레넌과 함께 가장 아카데미상을 많이 받은 배우이며(세번) 모든 배우들 중에서는 두 번째로 가장 많이 받은 배우이다.(첫 번째는 네번 수상한 캐서린 헵번이다.) 니컬슨은 특히 《샤이닝》의 잭 토랜스, 그리고 《배트맨》의 조커역할 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간략 정보 잭 니콜슨Jack Nicholson, 본명 ...
Remove ads

니컬슨은 1960년대부터 70년대, 80년대, 90년대 그리고 2000년대까지 모두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두명 중 한명이다. (나머지 한명은 마이클 케인이다.) 그는 7번의 골든 글로브를 받았고, 2001년에는 케네디 센터 명예상을 받았다. 1994년 그는 최연소의 나이(수상 당시 만 56세)로 미국 영화 연구소 평생공로상 수상자가 되었다. 그리고 이 기록은 8년 뒤 2002년 톰 행크스가 만 46세로 수상하며 깨지게 된다. 그가 출연한 영화중 주목할 만한 작품은 연대적으로 보면 《이지 라이더》, 《잃어버린 전주곡》, 《차이나타운》,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 《레즈》, 《애정의 조건》, 《배트맨》, 《어 퓨 굿 맨》, 《호파》, 《울프》,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어바웃 슈미트》,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 《디파티드》 등이다.

Remove ads

출연 작품

Remove ads

수상 경력

  • 1969년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69년 제34회 뉴욕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70년 제4회 전미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70년 로렐어워즈 남우조연상
  • 1973년 제26회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 1974년 제39회 뉴욕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74년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75년 제9회 전미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75년 제32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 1975년 제28회 영국아카데미시상식 남우주연상
  • 1975년 제40회 뉴욕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75년 포토그래마스 디 플레타 어워즈 외국남자배우상
  • 1976년 다비드 디 도나텔로 어워즈 외국남자배우상
  • 1976년 제47회 미국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76년 제33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 1976년 제10회 전미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76년 제48회 아카데미시상식 남우주연상
  • 1977년 제30회 영국아카데미시상식 남우주연상
  • 1977년 센트조어디어워즈 외국남자배우상
  • 1981년 제2회 보스턴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1년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2년 제53회 미국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3년 제36회 영국아카데미시상식 남우조연상
  • 1983년 제4회 보스턴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3년 캔자스시티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3년 제48회 뉴욕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4년 제55회 미국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4년 제41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남우조연상
  • 1984년 제9회 LA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4년 제18회 전미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84년 제56회 아카데미시상식 남우조연상
  • 1985년 제6회 보스턴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85년 제50회 뉴욕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86년 제43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뮤지컬/코미디부문 남우주연상
  • 1986년 제20회 전미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87년 제13회 새턴어워즈 최우수남우주연상
  • 1987년 제52회 뉴욕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88년 제13회 LA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88년 그래미상 최고의 어린이앨범상
  • 1992년 남동부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92년 제5회 시카고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93년 제64회 미국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1994년 제22회 미국영화연구소 평생공로상
  • 1997년 제2회 새틀라이트시상식 뮤지컬/코미디부문 남우주연상
  • 1997년 어워즈 시어큐리트 커뮤니티 어워즈 남우주연상
  • 1998년 샌디에고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98년 제69회 미국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98년 온라인영화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98년 온라인영화&텔레비전협회상 남우주연상
  • 1998년 온라인영화&텔레비전협회상 뮤지컬/코미디부문 남우주연상
  • 1998년 제55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뮤지컬/코미디부문 남우주연상
  • 1998년 제3회 크리틱스초이스 남우주연상
  • 1998년 제4회 미국배우조합상 영화부문 남우주연상
  • 1998년 제70회 아카데미시상식 남우주연상
  • 1998년 아메리칸코미디어워즈 영화부문 재미있는 남자배우상
  • 1998년 주피터어워즈 외국남자배우상
  • 1999년 제19회 런던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99년 SESC 필름페스티벌 외국남자배우상
  • 1999년 제56회 골든글로브시상식 평생공로상
  • 2001년 제24회 미국케네디센터상
  • 2002년 제1회 워싱턴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2년 댈러스-포트워스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3년 제37회 LA비평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2003년 제60회 골든글로브시상식 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 2003년 제8회 크리틱스초이스 남우주연상
  • 2003년 AARP 어워즈 남우주연상
  • 2004년 AARP 어워즈 베스트 그로운업 러브스토리상
  • 2004년 제39회 골든카메라시상식 최우수해외남자배우상
  • 2006년 포닉스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2006년 듀빌린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2006년 골든스모이스어워즈 남우조연상
  • 2007년 플로리안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2007년 노스텍사스비평가협회상 남우조연상
  • 2007년 이탈리안온라인무비어워즈 남우조연상
  • 2007년 제16회 MTV영화제 최고의 악당상
  • 2008년 골드더비어워즈 평생공로상
  • 2011년 신 유포리아 어워즈 평생공로상
Remove ads

명예 상징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