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적분기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적분기호(積分記號, 영어: integral symbol):
역사
적분기호는 1675년에 독일 수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가 사적인 문서에서 처음 표기하였다.[1][2] 공적으로는 1686년 6월 학술기요에 기재된 "De Geometria Recondita et analysi indivisibilium atque infinitorum"(On a hidden geometry and analysis of indivisibles and infinites)에서 처음 사용되었다.[3][4] 적분기호는 라이프니츠가 적분이 무한소들의 합(summands)인 것에 착안하여 ſ(긴 s)를 모티브로 표기하였다.
유니코드와 LaTeX에서의 타이포그래피
기본 기호
적분기호 ∫은 유니코드에서 U+222B ∫ integral이고[5] LaTeX에서는 \int
이다. HTML에서는 ∫
나∫
(십육진법), ∫
(십진법)으로 쓴다.
적분기호 ∫은 로마자 발음기호로 쓰이는 ʃ("esh")와 유사하나 혼동해서는 안 된다.
확장 기호
Remove ads
각 언어에서의 타이포그래피
요약
관점

각 언어마다 적분기호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영어의 경우 적분기호가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데 반해 독일어에서는 수직이며, 러시아어의 경우 왼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정적분에서 구간을 표기하는 방법도 언어마다 다르다. 영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간을 적분기호 오른쪽에 나타낸다.
반면 독일어와 러시아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구간을 적분기호 위아래에 표기한다.
참고 문헌
- Stewart, James (2003). 〈Integrals〉. 《Single Variable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5판. Belmont, California: Brooks/Cole. 381쪽. ISBN 0-534-39330-6.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