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적응 (심리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심리학에서 말하는 적응(adjustment)은 신체적, 직업적, 사회적 환경에서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의 조건이다.[1] 즉 적응은 충돌하는 욕구들 사이나 환경 속에서 장애가 저해하는 욕구들을 균형을 맞춰가는 행동적 과정을 의미한다. 삶 속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변화 때문에, 인간과 동물은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을 정규적으로 배워야 한다. 삶 속에서 우리는 경력 경로와 진화하는 관계 속에서의 변화로부터 노화와 관련한 신체적 혹은 심리적 변이에 이르기까지, 잇달은 적응을 요구하는 다양한 국면을 만난다. 각 단계는 고유의 도전을 제시하고 우리의 성장과 행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우리가 적응하도록 만든다.[1] 예를 들어, 음식을 찾는 생리적 상태에 자극받을 때, (가능하다면) 이들은 허기를 누르고자 먹고 따라서 허기 자극에 적응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적응은 삶의 질이 만족스러운 사람을 빚어내며, 사람들이 삶의 도전을 찾아다니게 하면서 경험을 풍부하게 한다.

적응 장애(adjustment disorder)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욕구나 스트레스를 정상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이 없을 때 발생한다.[2] 적응을 못하는 사람은 임상적 불안이나 우울을 보일 가능성이 크며,[3] 뿐만 아니라 무기력감(hopelessness), 무쾌감증(anhedonia)을 느끼며, 집중력 부족, 수면 부족, 무모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4]

심리학에서 "적응"은 과정(process)과 달성(achievement) 두 가지 방식으로 볼 수 있다. 과정으로서의 적응은 삶의 변화를 대처하는데 사용하는 진행적 전략인 반면, 달성으로서의 적응은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상태를 달성함으로써 마지막 결과물에 집중한다. 게다가, 이런 모델은 사람이 적응하고 행복에 도달하는 방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5]

성공적인 적응은 정서적 탄력성(emotional resilience)을 늘리고 삶의 질을 풍족하게 한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높거나 유의미한 도전이 발생하였을 때, 일부는 정서를 다스리기 위하여 부인(denial), 전위(displacement), 합리화(rationalization)와 같은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에 의존한다. 이러한 대처 기제는 일시적 완화를 제공하지만 또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완전히 다스리는 것을 차단한다.[1]

Remove ads

달성으로서의 적응

달성으로서의 적응(adjustment as a achievement)은 적시에 특정 순간의 적응을 다루며, 개인의 모든 도전이나 장애가 아니라 단 하나의 장애만을 고려한다. 하나의 시나리오에 잘 적응하는 것은 또다른 무관한 시나리오에 적응하려고 애쓰는 일과 독립적이다.[6] 이러한 접근법의 예시로는 집에서는 제대로 공부할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방과후에 공부하기 시작하는 가난한 학생을 관찰하는 것이다. 다른 시간 동안 공부하기 시작하는 것은 시나리오에 적절히 적응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삶에 충격을 줄 다른 방식을 고려하지는 않는다.(예로,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억제)[7][8]

과정으로서의 적응

과정으로서의 적응(adjustment as a process)은 태어난 순간 이래로 인간은 지속적인 적응 상태에 처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우리는 지속적인 변화 혹은 때로는 급격한 변화 상태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별도의 무관한 도전이나 장애로 분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정으로서의 적응 사고 방식은 모든 것이 항상 변화하려는 상태에 있고 더 많은 적응을 재촉하기 때문에, '잘 적응(adjust successfully)'하는 방식은 없다고 주장한다. 이 사고 방식은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은 몇몇 형태의 적응과 분리할 수 없다고 본다.[9][5]

적응에 기여하는 두 가지 주요 과정은 동화(assimilation)와 순응(accommodation)이다. 동화는 새로운 경험과 정보를 기존의 정신 구조(mental framework)에 통합하는 것이다. 순응은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고자 이러한 구조를 대체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10] 더불어, 이러한 과정은 개인적 사회적 생리적 욕구를 잘 충족시킬 지속적인 능력인 건강한 적응을 지지한다. 이러한 균형을 통하여 사람은 안정감과 조화를 구축하고, 다방면의 행복감을 유지하면서도 삶에서 발생하는 도전들을 유연하게 반응하게 한다.[5]

Remove ads

성공적인 적응

요약
관점

성공적인 적응(successful adjustment)은 '잘 적응한(well adjusted)'이라고도 하며, 정신 건강에 중요하다. 흔히, 잘 적응하는 것은 "합리적이고 판단력이 좋으며 ... 행동이 어렵거나 이상하지 않은(is reasonable and has good judgement ... their behavior is not difficult or strange)" 사람으로 정의된다.[11] 적응은 하나의 연속체(continuum)이며, 단순한 이분법(dichotomy)이 아니다. 사람은 다양한 상황 속에서 흔들리면서도 잘 적응해 낼 수 있다.

대처

성공적인 적응은 핵심 문제를 다루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 대처 전략(coping strategy)을 사용하는 능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대처(coping)는 외부의 도전(challenge)과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압박(pressure)을 관리하거나 줄이거나 혹은 그것에 적응하는 전략을 간청하는 의식적 노력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스트레스 유발요인(stressor)의 충격을 경감시키는데 초점이 맞춰진 다양한 접근법을 포함하여, 정서적 균형을 유지하게 하고 환경에 대한 통제감을 재획득하게 한다. 이런 전략은 스트레스의 근원을 목표로 삼는 문제중심적(problem-focused)이라 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다루는데 초점을 맞춘 정서중심적(emotion-focused)이라 할 수 있다.[1]

두 가지 주요 대처 전략은 문제중심적 대처(problem-focused coping)와 정서중심적 대처(emotion-focused coping)이다. 문제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의 근원을 직접 다루는 것이다. 이는 흔히 행동지향적(action-oriented)이며,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없애거나 줄이거나 해결하고자 적극적으로 행동에 나서는 것이다.[12] 반면, 정서중심적 대처는 문제 자체보다 스트레스로 인한 정서적 반응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흔한 사례로 명상, 친구와의 대화, 일기쓰기, 이완 활동을 하는 것이 있다.[13] 두 전략 모두 중요하며, 스트레스 요인을 직접 바꿀 수 있는지 아니면 정서적으로 그것에 적응할 수 밖에 없는지에 따라 둘 다 사용할 수 있다.[1]

잘 적응한 사람의 성격

흔히 잘 적응한 사람은 다음의 성격을 소유할 것이다.

  •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잘 알고, 약점을 드러내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강점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음
  • 자기 개인의 존중과 가치 평가 : 자신은 천성적으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앎
  • 힘든 일을 필요로 하는 적절한 열망,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서 실패하려고 작정하지 않는 선에서 강점을 활용하는 것
  • 음식, 물, 피난처, 수면 등의 기본적 욕구가 일괸되게 충족되며, 전반적으로 안정감과 긍정적인 자존감을 갖춤
  • 타인, 사물, 활동의 장점(goodness)을 찾아내려는 긍정적인 태도와 경향 : 잘 적응한 사람은 타인의 약점을 잘 알지만 적극적으로 결함을 찾으려 하지 않음
  • 환경 변화에 반응하고 수용하려는 유연성
  • 불리한 환경을 다루는 능력 : 잘 적응한 사람은 살면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사건을 잘 뚫고 나갈 수 있다. 이들은 문제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문제를 치유할 행동을 취하는 동기를 부여받을 것이다.
  • 이들의 세상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은 타인에 대한 건강한 불신을 갖게 하며, 실용적 사고를 독려한다.
  • 주위 환경 속에서의 이완감(feeling of ease) : 잘 적응한 사함은 집, 학교, 일터, 이웃, 종교 단체 등 여러 공동체 배경 속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 세상이 자신에게 가할 영향은 물론 자신이 세상에 끼칠 파급력을 잘 고려하고 인식할 줄 아는 균형 잡힌 삶의 철학[14]

위에 나열된 상세한 성격 목록은 아래의 주요 기준으로 종합될 수 있다.

  •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adequately function)
  • 적응적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perform adaptive tasks)
  • 높은 긍정적 정서와 낮은 부정적 정서(high positive affect and low negative affect)
  • 삶의 여러 영역에서 보이는 전반적 만족(general satisfaction in various life domains)
  • 심신을 약하게 하는 심리적 장애의 부재(absence of debilitating psychological disorders)[15]

이런 성격이 아니서나 위의 기준을 일관되게 충족하지 못하는 사람은 적응 장애(Adjustment disorder)로 진단될 수 있다. 장애 진단을 받으면, 이러한 스킬과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도룸을 주는 심리치료를 받을 수 있다. 건강한 적응 기제(adjustment mechanism)를 장려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감정/정서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이를 처리하도록 독려하기(encouraging talking about and processing emotions)
  • 특히 변화의 시기에 지지하는 것을 잘 알고 지지해주는 것(understanding and offering support, especially during periods of transition)
  • 정상이며 소속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재확인해주기(reassuring them that they are normal and worthy of inclusion)
  • 학교나 집 등 여러 환경에서 발전하는 모습을 살펴봐주기(monitoring progress in different environments (i.e.: home and school))
  • 특히 단순하고 비교적 사소한 결정(아침 식단 결정, 놀 장난감 결정)부터 시작함으로써 의사결정을 강조하기(emphasizing decision making, especially starting out with simple, relatively inconsequential decisions (i.e.: what to eat for breakfast, what toy to play with))
  • 즐길 수 있으면서도 장점을 발휘하게 하는 취미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독려하기(promoting participation in hobbies and activities that are enjoyable and play to their individual strengths)[16]
Remove ads

방어기제

요약
관점

적응에 사용되는 여러 방식들은 방어 기제(Defence mechanism)도 있다. 방어기제는 맥락과 활용에 따라 적응적(adaptive)이거나 부적응적(maladaptive)일 수 있다. 2003년 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적절한 방어기제를 활용하는 초등학생은 학업, 사회, 행동, 체육 영역에서 보다 높은 성취를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17]

방어기제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의 즉각적인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어려운 상황에 대한 특정한 느낌을 완화할 수 있다. 자존감에 대한 강렬한 감정이나 위협에 마주치면, 방어기제는 일시적으로 그 사람을 보호할 수 있으며, 완전히 압도당하는 느낌 없이 고통스러운 사건을 더듬어가며 잘 처리 수 있게 하고 잠시동안 적응하는데 도움을 준다.[1][18]

예시

백일몽

  • 백일몽(daydream)은 깨어 있는 동안 현실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detachment)되는 것을 말한다. 삽화(episode)로는 미래에 대한 희망이나 기타 유쾌한 생각의 환상에 빠지는 것이 있다.
  • 적응적 사례(adaptive example) :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백일몽은 사회 불안(social anxiety)을 줄여줄 수 있다.
  • 2016년 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 103명을 연구하였다. 이들은 백일몽을 더 자주 꾸고, 백일몽이 긍정적인 성격과 긍정적인 정서적 결과를 품고 있는 이들은 연구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외로움을 덜 느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험 참가자의 백일몽은 불안에 압도당할 때에 연결과 사회적 융화(social inclusion)의 느낌을 배양한다. 이 연구의 발견은 백일몽은 사회적 정서적 적응을 지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19]

전위

  • 전위(displacement)는 원래의 위협적인 근원에서 유래한 정서나 충격을 보다 안전하거나 수용적인 대상으로 방향을 옮기는 방어기제이다.[20] 이는 다루기 어려운 느낌을 덜 위험한 대상에게 이전함으로써 불안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 적응적 예시 : 직장에서 감독자와 어려운 상호작용을 한 후에 좌절감을 느낀다. 감독자와 직접 대립하는 것 대신에, 운동이나 집에서 힘든 프로젝트를 대면하는 식의 생산적인 활동으로 자신의 좌절감을 돌릴 수 있다.

부인

  • 부인(denial)은 현실을 수용하지 못하거나 삶의 고통스러운 측면을 인식하는 방어기제이다.[21] 이러한 무의식 전략은 고통스러운 느낌이나 상황을 일시적으로 피하게 하고, 단기적으로 압도적인 정서를 다루는데 도움을 준다.
  • 적응적 예시 : 만성 질환 환자는 진단된 병의 심각성을 부인한다.
기타 예시
  • 보상(compensation) : 현실의 혹은 가상의 약함이 나타나는 것을 줄이는 것을 강조함[22]
    • 적응적 예시 : 학업에서 보이는 어려움을 보상하고자 강한 대인관계 스킬을 발달시키기
  •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 현실적 혹은 정서적 측면이 아닌 추상적 측면에 주목함[23]
    • 적응적 예시 : 진단을 통하여 삶을 변화시킬 충격과 같은 병을 얻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에 병에 대하여 곰곰이 생각하기 보다는 병에 대하여 조사함[24]
  • 합리화(rationalization) : 행동 뒤의 사고추론을 이해함, "변명하기(making excuses)"라고 불러야 한다고도 하지만 적응적일 수 있음[25]
    • 적응적 예시 : 친구들에게 사실을 이야기하고 이들의 발전을 돕기 위하여 친구들에게 엄격하고 가혹하게 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앎
  • 동일시(identification) : 자신을 친구나 친척 등 매우 재능 있는 다른 사람과 연관시키기[26]
    • 적응적 예시 : 형제자매의 목표 달성을 도운 적이 있고 나서 형제자매의 성공과 자신을 연결시키기
  • 투사(Projection) :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느낌이나 의견을 타인의 것으로 대체[27]
    • 적응적 예시 : 자신의 내적 분노를 인식하지 않고 친구가 분노할 일이 있다고 말함으로써 개인적인 죄책감을 더는 것[28]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