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병하 (외교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병하(1968년 4월 8일~)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2025년부터 외교부 극지협력대표(Ambassador for Polar Affairs)를 맡고 있다.[1]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주쿠웨이트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다.[2][3]

간략 정보 정병하정병하, 출생 ...
간략 정보 정병하 ...
Remove ads

생애와 교육

정병하는 1991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독일어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4][4]

경력

  • 1993년 4월: 제27회 외무고시 합격; 5월 외무부 입부(사무관).[4]
  • 2002년 7월: 주시애틀 대한민국 총영사관 영사.[4]
  • 2004년 12월: 주이란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4]
  • 2008년 4월: 외교통상부 인사운영팀장.[4]
  • 2009년 6월: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4]
  • 2011년 12월·2012년 12월: 외교통상부 중동2과장·중동1과장.[4]
  • 2013년 12월: 외교부 기획재정담당관.[4]
  • 2014년 12월: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참사관(뉴욕).[5]
  • 2019년: 외교부 국제기구국 부국장(대외 공개행사 기록).[6]
  • 2020–2021년: 외교부 국제기구국장(Director-Genera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7][8]
  • 2021–2024년: 주쿠웨이트 대사(부임 인사·신임장 사본 제출).[2][3]
  • 2025년–현재: 외교부 극지협력대표(대사급).[1]
Remove ads

주요 활동

쿠웨이트 대사 재임

정병하는 2021년 6월 부임 인사를 통해 현지 동포사회와의 소통을 강조했고,[2] 같은 달 신임장 사본을 제출했다.[3] 재임 기간에는 양국 간 경제·문화 협력 관련 활동을 수행했다.[9][10]

2025년 Arctic Frontiers·Arctic Council 옵서버 미팅(노르웨이 트롬쇠)
정병하는 2025년 1월 27–30일 트롬쇠에서 열린 제19회 Arctic FrontiersArctic Council 옵서버 미팅에 참석했다. 한국 세션에서 한국의 북극 기여와 Arctic Partnership Week(10주년) 계획을 소개했다.[1]
2025년 Arctic Circle India Forum(인도 뉴델리)
2025년 5월 3–4일 뉴델리에서 개최된 Arctic Circle India Forum에 참석하였다. 본행사 ‘‘A New Frontier: The Future of the Arctic’’ 패널에서 한국의 북극 활동과 「극지활동진흥법」 등 제도 기반을 소개했다.[11][12]
2025년 Arctic Encounter Symposium(미국 앵커리지)
2025년 7월 30일–8월 1일 Arctic Encounter 2025에서 ‘‘Strategic Competition in the Arctic–Pacific’’ 세션 등 북극–북태평양 안보 의제를 논의했다.[13][14]
2025년 Arctic Circle Assembly(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2025년 10월 16–18일 레이캬비크 Harpa 콘서트홀·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Arctic Circle Assembly 2025(ACA 2025)에 참석하였다.[15] 본행사(Plenary) ‘‘Melting Arctic – Asian Futures’’는 올라푸르 라그나르 그림손 의장이 주재했고, 싱가포르 간 시오 황 국무장관이 개회사를 맡았다.[16] 같은 기간 ISEAS–Yusof Ishak Institute 및 노르웨이 트롬쇠대학(UiT) 주관 분과세션 ‘‘The Changing Geopolitics of the Arctic – Views from the Indo-Pacific’’에도 참여했다.[17] 아이슬란드 총리 크리스트룬 미욜 프로스타도티르의 현장 발언과 미국 상원의원 리사 머코우스키의 화상 연설 등 고위급 메시지가 이어졌다.[18][19]

외교 기조

정병하는 북극의 평화적 이용지속가능한 발전을 핵심 원칙으로 삼아 과학연구, 거버넌스, 항로·해운 및 산업 의제를 연계하는 접근을 강조해 왔다. 2025년 트롬쇠와 레이캬비크 일련의 행사에서는 한국의 과학 기여, Arctic Partnership Week(국내 플랫폼) 연계, 옵서버로서의 다자 협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1][17][20][21]

수상

  • 대통령 표창(2005년 12월).[4]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