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숙옹주 (선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숙옹주(貞淑翁主, 1587년 4월 26일(음력 3월 19일) ~ 1627년 12월 12일(음력 11월 5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선조의 3녀이자 서3녀로 인빈 김씨 소생이다.
Remove ads
생애
1587년(선조 20년) 3월 19일, 선조(宣祖)와 당시 종2품 숙의(淑儀)였던 인빈 김씨(仁嬪 金氏)의 셋째 딸로 창경궁에서 태어났다.[1]
1595년(선조 28년),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봉호를 받았다. 1599년(선조 32년) 신흠의 아들인 동양위(東陽尉) 신익성(申翊聖)과 혼인하였고, 2년후에 출궁하여 사저에서 생활하였다.[2] 신익성과의 사이에서 13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이 중 5남 4녀만이 성장하였다.
1613년(광해군 5년), 시아버지인 신흠이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감옥에 갇히자, 정숙옹주는 시어머니의 뒤를 따라 거적을 깔고 단식하기도 하였다. 이후 신흠이 유형에 처해지면서 가계가 곤궁해지자 옹주는 정성으로 음식을 마련하여 봉양하고, 남편 신익성의 누나가 아버지의 유배지에 문안을 가던 도중 병에 걸려 죽자, 제사에 필요한 물품을 마련해 주었으며, 신익성의 여동생 또한 돈독하게 보살펴 주었다.[1]
근검하고, 자녀교육에 엄했으며 인목대비가 유폐되자 궁중에 발길을 끊었다.[1]
1627년(인조 5년) 11월 5일, 병에 걸려 사망하였다.[3] 광주(廣州) 사부촌(沙阜村)에 장사를 지냈고, 이후 남편 신익성과 합장되었다.
Remove ads
정숙옹주 제문

정숙옹주의 남편이다. 병자호란 당시 척화를 주장하였다.
남편 신익성은 정숙옹주의 죽음을 슬퍼하며 직접 제문을 작성하였다.
| “ | 옹주가 나에게 이르기를,
라고 하였소.
|
” |
Remove ads
가족 관계
|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