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정종덕(鄭鍾德, 1943년 ~ 2016년 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감독이며, 감독으로서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력을 바탕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선수들을 발굴하는 안목과 선수들을 조련해 성장시키는 능력에 능했던 것으로 평가되었다.[1][2] 또한 건국대학교 감독 재임 시절 황선홍, 유상철, 이영표 등 여러 스타 선수들을 지도했으며, 특히 스트라이커였던 유상철을 수비형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센터백으로 기용해 '멀티 플레이어'로 만들었고, 공격형 미드필더였던 이영표를 왼쪽 윙백으로 포지션 변경시킨 것으로 유명하다.[3][4][5]
| ||||||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Jung Jong-Duk | |||||
출생일 | 1943년 월 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 |||||
사망일 | 2016년 2월 16일 |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가평군 | |||||
키 | 165cm | |||||
포지션 | 감독 | |||||
청소년 구단 기록 | ||||||
경신고등학교 | ||||||
지도자 기록 | ||||||
연도 | 팀 | |||||
1968 1969-1970 1970 1971-1975 1973 1975-1976 1976-1980 1980-2000 1988 1991 1993 1993 2005-2006 2007-2011 2012 |
경신중학교 (코치) 경성고등학교 (코치) 한국중고교축구연맹 (총무) 안양공업고등학교 (코치)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 대한민국 U-20 (코치) 계성고등학교 (코치) 건국대학교 대한민국 B 한국대학축구연맹 (기술이사) 한국대학축구연맹 (전무) 대한민국 유니버시아드 포항 스틸러스 (기술고문) 충주 험멜 FC (기술고문)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 |||||
‡ 국가대표팀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3년 1월 1일 기준임. |
축구인 경력
요약
관점
일제강점기 당시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출신으로[6] 경신고등학교에서 축구 선수로 활동하던 중 부상으로 인해 조기에 선수 생활을 마감했으며, 은퇴 후 경희대학교에 진학한 뒤 체육 교사로 활동하다 1968년 경신중학교의 코치로 임명되었다.[7] 이후 1969년 경성고등학교 축구부가 창단하자 원년 코치로 합류했으며,[8] 1970년 한국중고교축구연맹의 이사를 거쳐 총무를 역임하였다.[9][10] 그 뒤 1971년 안양공업고등학교의 코치로 선임되었으며,[11][12] 그 해 열린 '전국지역 대항 청소년 축구대회'에서 '중부선수단' 감독을 맡았다.[13] 이후 1972년 대한축구협회의 요청으로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 주관 '아시아 지역 코칭스쿨'에 파견되었으며,[14][15] 1973년 대한축구협회의 기술위원으로 부임하였다.[16] 그 뒤 197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단'의 일원으로 참가해 '고교 B팀'을 담당했으며,[17][18] 얼마 뒤 '고교상비군'의 코치로 활동하였다.[19] 또한 같은 해 윤한교 감독을 보좌하며 팀의 전국고교축구대회 우승을 견인한 뒤 지도자상을 수상했으며,[20][21] 이러한 공로로 1974년 개최된 대한축구협회 '축구인의 밤' 행사에서 지도상을 받았다.[22]
이후 1975년 팀의 전국고교축구대회 2연패를 이끌어 지도자상을 수상했으며,[23] 그 해 전국우수고교축구대회에서 팀의 공동 우승에 기여하며 감독상을 수상하였다.[24] 또한 1974년에 1975년 아시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할 대한민국 U-20 국가대표팀 선수들의 훈련 코치로 선임되었으며,[25] 1975년에는 U-20 국가대표팀의 정식 코치로 임명되어 유현철 감독과 함께 1976년 아시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대회 3위에 기여하였다.[26][27] 그리고 같은 해 계성고등학교의 코치로 합류했으며,[28] 얼마 뒤 개최된 전국고교축구대회 우승에 공헌하며 지도자상을 수상하였고,[29] 직후 열린 전국중고교축구대회에서도 팀에 우승을 안기며 지도자상을 수상하였다.[30]
그 뒤 1980년 건국대학교의 코치로 임명되었으며,[31] 1981년 마닐라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 주관 '국제 축구 코치 아카데미'에 파견되었다.[32] 또한 1982년 열린 제10회 한일 정기전의 대학 선발팀 코치에 선임되었으며,[33] 1988년 전국대학축구연맹전 춘계 대회에서 감독으로 팀의 우승을 이끌며 지도자 감독상을 수상하였다.[34] 그리고 그 해 대한민국 국가대표 B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어 인도네시아에서 치러진 1988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지휘했으며,[35] 바레인에 이어 조 2위로 1988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하였다.[36]
이후 1990년 한국대학축구연맹의 기술이사를 맡은 뒤 1992년 전무가 되었으며,[37][38] 그 해 전국대학축구연맹전 춘계 대회에서 다시 한 번 팀의 우승을 견인하며 지도자 감독상을 수상하였다.[39] 또한 1993년 대한축구협회의 연맹 파견이사로 선임되었으며,[40] 같은 해 대한민국 유니버시아드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41] 유니버시아드 본선에서는 체코와의 결승전에서 패해 준우승을 기록했으며,[42][43] 대회 이후 대표팀 선수들과 함께 체육훈장 기린장을 수여받았다.[44] 그리고 1999년 부산 대우 로얄스의 감독 후보로 물망이 올랐으나 정종덕 본인이 고사함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김호곤이 선임되었으며,[45] 2000년 건국대학교 감독직을 사퇴한 뒤 명예감독으로 위촉되었다가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물러나면서 지도자 생활을 정리하였다.[46]
그 뒤 2000년 SBS에서 축구 해설가로 데뷔했으며,[47][48] 2002년 다른 축구계 인사들과 함께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에 몰두하던 정몽준의 대한축구협회 회장직 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49] 이후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대구 FC와 대전 시티즌, 부천 SK의 감독 후보에 차례로 물망이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모두 결렬되었으며,[50][51][52] 2004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수석 코치 후보 중 한 명으로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이춘석이 낙점되었다.[53][54] 그리고 대전방송에서 축구 해설가로 활동했으며, 2005년 포항 스틸러스의 기술고문으로 임명되었다.[55] 또한 같은 해 대한축구협회로부터 자문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56][57] 그 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충주 험멜 FC에서 기술고문을 맡았고,[58][59] 2012년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의 감독이 되어 지도자로 잠시 복귀하였다.[60]
사망
지병으로 당뇨를 앓고 있던 도중 2016년 2월 16일 자택에서 심근 경색으로 세상을 떠났으며,[61] 이후 건국대학교 선수들은 2월 17일 있었던 중앙대학교과의 전국대학축구연맹전 춘계 대회 경기에서 검은 완장을 차고 나오며 조의를 표했다.
기타
동생인 정종관 또한 축구인이다.[62]
지도자 기록
- 1968년: 경신중학교 (코치)
- 1969년 ~ 1970년: 경성고등학교 (코치)
- 1971년 ~ 1975년: 안양공업고등학교 (코치)
- 1975년 ~ 1976년: 대한민국 U-20 국가대표팀 (코치)
- 1976년 ~ 1980년: 계성고등학교 (코치)
- 1980년 ~ 2000년: 건국대학교
- 1988년: 대한민국 국가대표 B팀
- 1993년: 대한민국 유니버시아드 국가대표팀
- 2012년: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수상 경력
감독
- 아시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3위 1회: 1976년 (코치)
- 유니버시아드 준우승 1회: 1993년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 우승 1회: 1981년 (코치)
- 전국체육대회
- 준우승 1회: 1992년
-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
- 우승 1회: 1992년
- 전국대학축구연맹전
- 우승 7회: 1985년 추계, 1986년 춘계, 1986년 추계, 1988년 춘계, 1992년 춘계, 1993년 추계, 1998년 춘계
- 한국고등학교축구연맹전
- 우승 1회: 1973년 추계 (코치)
개인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