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어: Česká fotbalová reprezentace 체스카 포트발로바 레프레젠타체[*])은 체코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체코 축구 협회(체코어: Fotbalová asociace České republiky)에 의해 운영된다. 동유럽의 강호로 손꼽히는 팀들 중의 하나로 1920년 8월 28일 세르비아와의 1920년 하계 올림픽 1라운드에서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으며 현재 스타디온 레트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Remove ads
국제 대회 경력
FIFA 월드컵
월드컵 본선에는 9번 출전하여 이 중 1934년과 1962년 대회에서 각각 이탈리아와 브라질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고 1938년과 1990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의 월드컵 본선은 2006년 대회가 유일하며 그나마도 1승 2패의 초라한 성적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으며 이후 체코의 월드컵 본선 출전은 전무한 상태이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유로 대회 본선에는 10번 출전하여 1976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199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04년 대회에서는 4강에 이름을 올리며 동유럽의 강호다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후 2012년 대회와 2020년 대회 8강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유로 대회 본선에서는 이렇다할 성적을 보여주지 못한 채 계속 조별리그에 머물렀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컨페드컵 출전은 UEFA 유로 1996 우승팀인 독일이 불참을 선언하면서 해당 대회 준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1997년 대회가 유일함에도 불구하고 2승 1무 2패의 성적으로 3위에 입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하계 올림픽
올림픽 본선에는 U-23 대표팀 전적을 비롯해 6번 출전하여 금메달 1개(1980년), 은메달 1개(1964년)를 획득했고 처음으로 참가했던 1920년 대회에서는 3승 1패의 호성적을 냈음에도 불구하고 벨기에와의 결승전 경기 도중 심판의 편파 판정에 불만을 품은 벨기에의 카렐 슈타이너 선수가 퇴장당한 후 벨기에 훌리건들의 난동으로 전반 40분경 경기를 중단한 채 밖으로 나가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결국 실격 처리됨과 동시에 메달을 수여받지 못했다.
UEFA 네이션스리그
2018-19 리그 B
첫 시즌 리그 B에 편입된 체코는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와 함께 1조에 편성되었다. 이후 우크라이나와의 첫 경기에서 1-2로 패했고 슬로바키아와의 2연전에서는 모두 승리(2차전 1-0 승, 3차전 2-1 승)했지만 우크라이나와의 최종전에서 또 다시 0-1로 패하며 2승 2패·조 2위로 첫 시즌을 마쳤다.
Remove ads
국제대회 기록
FIFA 월드컵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하계 올림픽
Remove ads
현재 선수 명단
요약
관점
다음은 UEFA 유로 2020을 위해 선발된 26명의 최종 스쿼드이다.
출장 수와 골 수는 2021년 6월 4일 이탈리아전 이후 기록이다.
출처:[8]
최근 대표팀 경기 결과와 일정
2022년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9월 24일 | 체코 ![]() |
0 - 4 | ![]() |
체코, 프라하 | ||
20:45 UTC+2 | 달로 ![]() 페르난드스 ![]() 조타 ![]() |
경기장: 시노보 스타디움 관중 수: 19,322 심판: 스르잔 요바노비치 ![]() | ||||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9월 27일 | 스위스 ![]() |
2 - 1 | ![]() |
스위스, 장크트갈렌 | ||
20:45 UTC+2 | 프로일러 ![]() 엠볼로 ![]() |
시크 ![]() |
경기장: 키분파르크 관중 수: 13,353 심판: 이르판 펠리토 ![]() | |||
친선 경기 2022년 11월 16일 | 체코 ![]() |
5 - 0 | ![]() |
체코, 올로모우츠 | ||
18:00 UTC+2 | 치틸 ![]() 체르니 ![]() 스트로나티 ![]() |
경기장: 안드루프 스타디온 관중 수: 10,762 심판: 마르틴 도할 ![]() | ||||
친선 경기 2022년 11월 19일 | 튀르키예 ![]() |
2 - 1 | ![]() |
튀르키예, 가지안테프 | ||
20:00 UTC+3 | 위날 ![]() 찰하노을루 ![]() |
체르니 ![]() |
경기장: 가지안테프 스타디움 심판: 윌리 콜럼 ![]() | |||
2023년
UEFA 유로 2024 예선 E조 2023년 3월 24일 | 체코 ![]() |
3 - 1 | ![]() |
체코, 프라하 | ||
20:45 UTC+2 | 크레이치 ![]() 치반차라 ![]() 쿠흐타 ![]() |
D. 시만스키 ![]() |
경기장: 포르투나 아레나 관중 수: 19,045 심판: 아나스타시오스 시디로풀로스 ![]() | |||
UEFA 유로 2024 예선 E조 2023년 3월 27일 | 몰도바 ![]() |
0 - 0 | ![]() |
몰도바, 키시너우 | ||
21:45 UTC+3 | 경기장: 스타디오눌 짐브루 관중 수: 5,120 심판: 다니엘 슐라거 ![]() | |||||
UEFA 유로 2024 예선 E조 2023년 6월 17일 | 페로 제도 ![]() |
0 - 3 | ![]() |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 | ||
19:45 UTC+1 | 크레이치 ![]() 체르니 ![]() |
경기장: 토르스뵐루르 관중 수: 2,232 심판: 아르다 카르데슐레르 ![]() | ||||
친선 경기 2023년 6월 20일 | 몬테네그로 ![]() |
1 - 4 | ![]() |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차 | ||
20:45 UTC+2 | 카마이 ![]() |
치틸 ![]() M. 사딜레크 ![]() 프로보드 ![]() 흘로제크 ![]() |
경기장: 스타디온 포드 고리촘 심판: 매슈 데 가브리엘레 ![]() | |||
UEFA 유로 2024 예선 E조 2023년 9월 7일 | 체코 ![]() |
v | ![]() |
체코, 프라하 | ||
20:45 UTC+2 | 경기장: 포르투나 아레나 | |||||
친선 경기 2023년 9월 10일 | 헝가리 ![]() |
v | ![]() |
헝가리, 부다페스트 | ||
18:00 UTC+2 | 경기장: 푸슈카시 아레나 | |||||
UEFA 유로 2024 예선 E조 2023년 10월 12일 | 알바니아 ![]() |
v | ![]() |
알바니아, 티라나 | ||
20:45 UTC+2 | 경기장: 아레나 콤버타레 | |||||
UEFA 유로 2024 예선 E조 2023년 10월 15일 | 체코 ![]() |
v | ![]() |
체코, 플젠 | ||
18:00 UTC+2 | 경기장: 두산 아레나 | |||||
UEFA 유로 2024 예선 E조 2023년 11월 17일 | 폴란드 ![]() |
v | ![]() |
폴란드 | ||
20:45 UTC+2 | ||||||
UEFA 유로 2024 예선 E조 2023년 11월 20일 | 체코 ![]() |
v | ![]() |
체코, 올로모우츠 | ||
20:45 UTC+2 | 경기장: 안드루프 스타디온 | |||||
Remove ads
유명 선수
- 미로슬라프 카들레츠 (1987-1997)
- 토마시 스쿠라비 (1989-1994)
- 파벨 쿠카 (1990-2001)
- 파트리크 베르게르 (1994-2001)
- 파벨 네드베트 (1994-2006)
- 카렐 포보르스키 (1994-2006)
- 파벨 스르니체크 (1994-2001)
- 블라디미르 슈미체르 (1994-2005)
- 얀 콜레르 (1999-2009)
- 마레크 얀쿨로프스키 (2000-2009)
- 토마시 로시츠키 (2000-2016)
- 밀란 바로시 (2001-2012)
- 페트르 체흐 (2002-2016)
- 야로슬라프 플라실 (2004-2016)
역대 감독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