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제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군(齊郡)은 중국의 옛 군으로, 제후왕국으로서는 제국(齊國)이라 한다. 진나라가 시황 26년(기원전 221년) 제나라를 멸하고 서울 임치 주변을 관할하는 임치군(臨菑郡)을 둔 것을 시작으로 하며, 이때부터 이 군의 치소는 임치였다. 전한에서 한신을 제왕으로 봉하면서 제나라의 수도 임치 주변의 군이므로 제나라의 내사지가 됐고, 이 내사지가 제나라 폐지 후 제군이 됐다.
전한
요약
관점
고제 5년(기원전 202년) 한신이 제나라에서 초나라로 옮겨 봉해지고 제나라가 폐해지면서, 제나라의 서울 지역은 임치군(臨淄郡)이 됐다. 고제 6년(기원전 201년) 고제의 서장자 유비가 제왕으로 봉해지면서 제나라의 내사지가 됐다. 제문왕 유칙이 기원전 165년에 후사 없이 죽어 제나라가 폐지돼 제나라의 내사지는 다시 임치군이 됐다. 기원전 164년 제나라를 분할 부활하면서 임치군을 둘로 나눠 동부는 치천국으로 분리됐고 서부만이 제나라가 됐으며 옛 제나라의 지군들은 모두 독립 왕국이 됐다. 기원전 127년 제여왕 유차창이 죄를 짓고 자결해 제나라를 폐지하고 제군을 설치하면서 임치군이 아닌 제군이라는 군 명칭이 이후에도 계속된다. 원수 6년(기원전 117년) 제회왕 유굉이 봉해지면서 다시 제나라가 됐고 제회왕이 8년(기원전 110년)에 죽으면서 제군이 됐다.[1][2]
청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154,826호, 인구 554,444명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3]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2현(6현 6후국)이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
Remove ads
신
군의 이름을 제남군(濟南郡)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후한
43년(후한 광무제 건무 19년), 제무왕 유인의 아들 유장(劉章)이 제왕으로 책봉되면서 다시 제국(齊國)으로 승격되었다.[6][7] 후한대 제국은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기준 6현 64,415호 491,765명을 거느렸다.[8]
위진
239년(위 명제 경초 3년), 관구검이 요동군의 공손연을 격파한 이후 동답현, 문현, 북풍현의 주민들이 본군으로 강제 이주되면서 신답, 신문, 남풍의 3개 현이 신설되기도 했다. 서진이 세워진 이후, 광현이 동관군으로 이속되었고, 반양, 익도, 신문, 남풍, 신답의 5개 현이 폐지되었다.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이후의 제국은 5현 14,000호를 거느렸다. 영가의 난무렵에는 군벌 왕미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가, 그가 석륵에게 정복당하면서 후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9]
Remove ads
유송
410년(진 안제 의희 6년), 유유가 남연을 멸망시키면서 제군은 남조의 땅이 되었다. 그러나 명제시기 북위의 침공으로 회수 이북지방을 상실하면서 제군은 북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유송대 제군은 7현 7,346호 14,889명을 거느렸다.[11]
Remove ads
북위 ~ 북제
송 명제시기 회수 이북의 여러 군현을 점령하면서 북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북위때 제군은 9현 30,848호 82,100명을 거느렸다. 태수의 치소는 본래 임치현에 두었으나, 북제시기인 556년(북제 문선제 천보 7년) 익도현의 치소가 광고성이 있던 지금의 칭저우시로 옮겨졌다.[13][12]
Remove ads
수
《수서》 지리지에 같은 이름의 군이 언급되긴 하나, 지리지속 제군은 북제 때 치소가 동양성일대로 옮겨진 제군과 다르다. 이 제군은 469년(북위 헌문제 황흥 3년), 제남군일대였던 역성(曆城)에서 설치된 제주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본래의 제군은 수나라가 군현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청주에 통폐합되었다. 수나라 때의 제군은 제주 (북위)문서를 참조할 것.[14]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