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제임스 A. 로빈슨
영국의 경제학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임스 앨런 로빈슨(영어: James Alan Robinson, 1960년 2월 27일~)은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학자이다. 시카고 대학교의 해리스 공공정책대학원의 대학교수이다.[1] 해리스에서 이전에 글로벌 분쟁 연구 및 해결을 위한 피어슨 연구소를 이끌었다.[2] 로빈슨은 이전에 2004년부터 2015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다론 아제몰루와 함께 《좁은 회랑》,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독재와 민주주의의 경제적 기원》을 포함한 여러 책의 공동 저자이다.[3] 2024년, 로빈슨, 아제몰루, 사이먼 존슨 (경제학자)는 국가 간 번영에 대한 비교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4]
Remove ads
교육
로빈슨은 1982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1986년 워릭 대학교에서 경제학 인문사회 석사 학위를, 1993년 예일 대학교에서 정치학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5][6]
경력
로빈슨의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경제학과 비교 정치학, 그리고 경제 및 정치 발전이다.[5]
2004년 로빈슨은 하버드 대학교의 정부학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이후 하버드에서 데이비드 플로렌스 정부학 교수(2009–2014)를 거쳐 윌버 A. 코웨트 정부학 교수(2014–2015)로 명명된 의장직을 역임했다.[7] 2015년 7월 1일, 시카고 대학교의 해리스 공공정책대학원의 9명의 대학교수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8] 이전에 리처드 L. 피어슨 글로벌 분쟁 연구 교수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 2016년 5월 9일, 로빈슨 교수는 몽골을 처음 방문했을 때 몽골 국립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9]
보츠와나, 칠레, 콩고 민주 공화국, 아이티, 필리핀, 시에라리온, 남아프리카 공화국, 콜롬비아 등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콜롬비아에서는 매년 여름 보고타의 안데스 대학교에서 강의를 한다.[10]
2023년 3월 17일, 제임스 로빈슨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학생, 과학자, 사회 여론 지도자, 금융, 경제 및 비즈니스 분야 대표자들을 만났다. 인터뷰에서 로빈슨은 권위주의 국가에서 포괄적 제도의 구축, 탈식민주의 이후 국가들의 도전적인 발전, 의도적으로 저지른 "실수"에 대해 논의하고,[11] 그의 저서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에 나오는 우즈베키스탄의 "목화의 왕" 섹션에 대한 질문에 답했다.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만난 이후 오랜 공동 저자인 다론 아제몰루와 광범위하게 협력했다.[12]
Remove ads
연구
요약
관점
독재와 민주주의의 경제적 기원
다론 아제몰루와 로빈슨이 공동 저술한 《독재와 민주주의의 경제적 기원》(2006)은 민주주의 사회의 창출과 공고화를 분석한다. 그들은 "엘리트가 민주주의를 전복할 강력한 유인이 없을 때 민주주의가 공고화된다. 이러한 과정은 (1) 시민 사회의 강도, (2) 정치 제도의 구조, (3) 정치적 및 경제적 위기의 본질, (4) 경제적 불평등 수준, (5) 경제 구조, (6) 세계화의 형태와 정도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13] 이 책의 제목은 배링턴 무어 주니어의 1966년 저서 《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에서 따왔다.[14]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권력, 번영, 빈곤의 기원》(2012)에서 아제몰루와 로빈슨은 기술 선봉의 경제 성장은 마야 문명 (하나만 예로 들자면)에는 없었던 정치적 안정[15]과 창조적 파괴를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후자는 독점 및 과점 권리 부여에 대한 제도적 제약 없이는 발생할 수 없다. 그들은 산업 혁명이 그레이트브리튼섬에서 시작된 것은 영국의 권리장전 1689가 그러한 제약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1705년 드니 파팽이 제작한 증기선은 독일 한뮌덴의 선원 길드에 의해 파괴되었다. 파팽은 런던으로 갔고, 그곳에서 그의 여러 논문이 왕립학회에 의해 출판되었다. 토머스 뉴커먼은 1712년에 파팽의 작업을 증기기관으로 확장하여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파팽은 1713년에 사망하여 무덤 표시 없는 빈민의 무덤에 묻혔다.[16]
아제몰루와 로빈슨은 "국가 간의 발전 차이는 오로지 정치 및 경제 제도의 차이 때문이며, 일부 차이를 문화, 날씨, 지리 또는 최선의 정책 및 관행에 대한 지식 부족 탓으로 돌리는 다른 이론들을 거부한다"고 주장한다.[17] 예를 들어, "소비에트 러시아는 세계의 일부 선진 기술을 빠르게 따라잡으면서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창조적 파괴의 부족으로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동력을 잃었다"고 한다.[18]
좁은 회랑

《좁은 회랑. 국가, 사회, 자유의 운명》(2019)에서 아제몰루와 로빈슨은 국가의 권력과 사회의 권력이 대략적인 균형을 이룰 때 자유로운 사회가 달성된다고 주장한다.[19]
근대화 이론에 대한 비판
다론 아제몰루와 제임스 A. 로빈슨은 그들의 논문 "소득과 민주주의"(2008)에서 소득과 민주주의 사이에 강한 국가 간 상관관계가 있지만, 국가 고정 효과를 통제하고 1인당 소득과 다양한 민주주의 측정치 간의 연관성을 제거하면 "소득이 민주주의에 대한 인과적 효과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20] "비근대화"(2022)에서 그들은 근대화 이론이 다양한 정치 발전 경로를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제도와 문화에 조건적이지 않고 명확한 종점, 예를 들어 '역사의 종언'을 전제로 하는 경제와 정치 간의 연결을 가정하기 때문이다."[21]
출판물
서적
- James A. Robinson; Daron Acemoglu (2019). 《The Narrow Corridor: States, Societies, and the Fate of Liberty》. New York: Penguin Press. ISBN 978-0735224384.
- James A. Robinson; Emmanuel Akyeampong; Robert H. Bates; Nathan Nunn 편집 (2014). 《Africa's Development in Historical Perspective》. New York: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1107691209.
- James A. Robinson; Alice H. Amsden; Alisa DiCaprio 편집 (2012). 《The Role of Elites in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19-965903-6.
- James A. Robinson; Daron Acemoglu (2012). 《Why Nations Fail: The Origins of Power, Prosperity and Poverty》. New York: Crown Business. ISBN 978-0307719218.
- James A. Robinson; Jared Diamond 편집 (2010). 《Natural Experiments of History.》. Cambridge,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674-03557-7.
- James A. Robinson; Klaus Wiegandt 편집 (2008). 《Die Ursprünge der modernen Welt: Geschichte im wissenschaftlichen Vergleich》 (독일어). Frankfurt: Fischer Taschenbuch Verlag. ISBN 978-3596179343.
- James A. Robinson; Miguel Urrutia 편집 (2007). 《Economía Colombiana del Siglo XX: Un Análisis Cuantitativo》 (스페인어). Bogotá and México D.F.: Fondo de Cultura Económica. ISBN 978-9583801396.
- James A. Robinson; Daron Acemoglu (2006). 《Economic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Cambridge, UK: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0-521-67142-6.
논문
- Acemoglu, Daron, Simon Johnson, and James Robinson. 2001. "The Colonial Origins of Comparative Development: An Empirical Investig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91, Nº 5: 1369–401.
- Robinson, James A. 2006.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Annual Reviews of Political Science 9, 503–527.
- Acemoglu, Daron, Simon Johnson, James A. Robinson, and Pierre Yared. 2008. "Income and Democracy." American Economic Review 98(3): 808–42.
- Acemoglu, Daron, Simon Johnson, James A. Robinson, and Pierre Yared. 2009 "Reevaluating the Modernization Hypothesi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6(8): 1043–58.
- Acemoglu, Daron and James Robinson. 2022. "Non-Modernization: Power–Culture Trajectories and the Dynamics of Political Institution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25(1): 323–339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