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Remove ads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에서 개최된 1923년 전국체육대회의 경기 종목이다. '제4회 전조선축구대회'로 개최되었으며 1923년 11월 21일부터 12월 8일까지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2][3][4]

간략 정보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개최국 ...
간략 정보 1923년 전국체육대회축구, 청년부 ...
Thumb
대회 개막식 진행 모습
Thumb
3일차 경기를 관전하는 관중의 모습
Remove ads

대회 준비

1922년 11월에 개최된 제3회 전조선축구대회부터 개최장소에서 50mi 이상 떨어진 먼 곳에서 참가하는 선수단에게 50원 이내의 여비를 보조하기 시작했으며, 당시 대회에서 심판의 판정이 번복될 수 없다는 점을 경기 규정에 명문화했다.[5] 조선체육회에서는 제4회 전조선축구대회를 앞두고 청년부에서는 3개월 이상 해당 선수단에 소속되어 있어야 출전이 가능하다는 참가 규정을 신설하고, 소학부와 중학부의 경우 해당 학교에 1년 이상 재적해야 출전할 수 있다는 참가 규정을 신설했다.[1]

대회 진행

제4회 전조선축구대회는 1923년 11월 21일부터 11월 23일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개최되었다.[1] 소학부 종목에는 광성공립보통학교, 보성초등학교, 보인학교, 수송공립보통학교, 승동학교, 신명학교, 흥인배재 등 7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중학부 종목에는 광성고등보통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숭실중학, 영명고등보통학교, 영생고등보통학교, 오산학교, 중앙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8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청년부 종목에는 대회삼성, 대화청년회, 불교청년회, 수양단, 임술체육단, 한양체육회 등 6개 선수단이 참가했다.[6] 1라운드부터 준결승까지 소학부는 40분, 중학부는 50분, 청년부는 60분 경기로 진행되었고, 결승 경기에서는 소학부는 60분, 중학부는 80분, 청년부는 90분 경기로 진행되었다.[4]

중학부 예선에서 휘문고등보통학교가 영생고등보통학교를 이기고 숭실중학이 오산학교를 상대로 승리했으나, 주최 측에서는 휘문고등보통학교와 숭실중학의 선수 중 해당 학교에 재적한지 1년 미만이 된 선수가 있다고 하여 해당 경기의 승리를 취소했다.[6] 이에 오산학교 측에서도 자기 선수단에서도 부정 선수가 있다며 기권했고 영생고등보통학교에서도 경기에서 진 상태에서 상대 팀의 실격패가 반가울 일이 되지 못한다며 남은 경기를 기권했다.[6] 반면 숭실중학 측에서는 실격패에 반발했다.[6] 해당 선수가 대회가 개최되기 수개월 전 광성고등보통학교로 이적했지만 숭실중학 측에서 다시 돌아오도록 설득하여 돌아왔지만, 광성고등보통학교로 이적하기 전 숭실중학에 3년 동안 재적한 상태였기 때문에, 숭실중학 측에서는 이미 3년 동안 재적하고 있었던 해당 선수는 참가 제한 규정에 저촉되지 않다고 주장했다.[6] 하지만 조선체육회 측에서는 해당 선수가 타 학교로 갔다가 되돌아 온 지 1년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제한 규정에 저촉되는 선수로 해석했다.[6]

Remove ads

결승전

숭실중학 측이 부정 선수 참가로 인한 실격패에 항의하며 결승전이 열리는 당일 경기장을 강점하고 소란을 일으켜 11월 23일에 예정된 결승 경기는 추후 연기하여 개최하기로 하며 열리지 못했다.[6][7] 부정 선수 논란과 결승전 당일의 소란으로 인해 고원훈 조선체육회장은 결승전 당일인 11월 23일에 사퇴했으며, 이사진과 간사진 모두 함께 사퇴했다.[2] 11월 28일에 임시 총회를 통해 최린이 조선체육회장으로 선출되고 이사진을 선임하며 집행부를 새로 구성했으며, 연기된 결승전을 12월 8일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했다.[2]

결승전이 연기된 사태에 대해 사과하는 의미로 12월 8일에 열린 결승 경기는 입장료는 받지 않고 진행했다.[2] 그리고 11월 23일의 입장 수입 585원 50전은 고아원에 기부했다.[2]

소학부에서는 광성공립보통학교가 보인학교를 1: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2]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중앙고등보통학교의 경기에서 1:1로 동점이 됐지만, 동점이 된 경우 코너킥과 프리킥을 내주면 성적 점수 1점씩 주고 페널티킥을 성공시키지 못하면 성적 점수 2점을 내주는 당시 경기 규정에 따라 성적 점수가 13:5로 배재고등보통학교가 앞서 우승을 하게 되었다.[2] 당시 경기 규정은 동점일 경우 성적 점수를 바탕으로 승패를 나누고 성적 점수 마저 동점이면 연장전을 진행하거나 추첨으로 승패를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 청년부 종목에서는 불교청년회가 임술체육회를 3:1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하며 제4회 전조선축구대회는 막을 내렸다.[2]

경기장

자세한 정보 경기장, 도시 ...

축구단

자세한 정보 부문, 축구단 ...
Remove ads

경기 일정

자세한 정보 11월, 12월 ...

경기 결과

요약
관점

청년부

 
8강준결승결승
 
          
 
11월 22일 - 경성
 
 
수양구락부 축구단 (경기) 기권
 
11월 23일 - 경성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경기)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경기) 2
 
 
한양체육부 축구단 (경기) 1
 
 
12월 8일 - 경성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경기) 3
 
11월 22일 - 경성
 
임술 축구단 (경기) 1
 
임술 축구단 (경기) 5
 
11월 23일 - 경성
 
대화교삼성사 축구단 (경기) 0
 
임술 축구단 (경기) 0
 
11월 22일 - 경성
 
대화교청년회 축구단 (경기) 0
 
대화교청년회 축구단 (경기) 1
 
 
숭강운동부 축구단 (경기) 1
 
Thumb
청년부에서 우승한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청년부 남자 종목은 대화교삼성사 축구단, 대화교청년회 축구단, 수양구락부 축구단, 숭강운동부 축구단, 임술 축구단,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한양체육부 축구단 등 7개 축구단이 참가했다.[4][8]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1923년 11월 22일 11시 40분에 시작된 수양구락부 축구단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간의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1:1로 비기고 있는 상황에서, 수양구락부 축구단 측이 심판에게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측 선수가 반칙을 했다고 항의를 하던 도중 실점을 하게 되자, 논란이 발생하여 수양구락부 축구단 측이 기권했다.[9][10] 이어서 진행된 임술 축구단대화교삼성사 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는 임술 축구단이 5:0으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9] 같은 날 15시에 시작된 대화교청년회 축구단숭강운동부 축구단 간의 1라운드 세 번째 경기는 1:1로 비겨 대회 규정에 따른 성적 기록 점수에 따라 대화교청년회 축구단이 준결승에 진출했다.[11]

1923년 11월 23일 10시에 시작된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한양체육부 축구단 간의 준결승 첫 번째 경기는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이 2: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고, 같은 날 11시 30분에 시작된 임술 축구단대화교청년회 축구단 간의 준결승 두 번째 경기는 0:0으로 비겨 대회 규정에 따라 경기 기록 점수가 높은 임술 축구단이 결승에 진출했다.[11]

1923년 12월 8일에 진행된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임술 축구단 간의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이 3:1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2]

중학부

 
8강준결승결승
 
          
 
11월 21일 -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경기) 1
 
11월 22일 - 경성
 
군산영명학교 축구단 (전북) 0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경기)
 
11월 21일 - 경성
 
오산학교 축구단 (평북) 기권
 
오산학교 축구단 (평북)
 
12월 8일 - 경성
 
숭실학교 축구단 (평남) 실격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경기) 4
 
11월 21일 -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경기) 4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경기) 1
 
11월 22일 - 경성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평남) 0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경기)
 
11월 21일 - 경성
 
영생학교 축구단 (함남) 기권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경기) 실격
 
 
영생학교 축구단 (함남)
 
Thumb
중학부에서 우승한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중학부 남자 종목은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군산영명학교 축구단,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숭실학교 축구단, 영생학교 축구단, 오산학교 축구단,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 등 8개 축구단이 참가했다.[4][8]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1923년 11월 21일 13시 30분에 시작된 오산학교 축구단숭실학교 축구단 간의 8강 첫 번째 경기는 숭실학교 축구단이 4:1로 승리하고, 같은 날 14시 40분에 시작된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영생학교 축구단 간의 8강 두 번째 경기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1:0으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다.[9]

이어서 진행된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8강 세 번째 경기 도중,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측에 재적 기간이 1년이 경과해야 출전할 수 있다는 대회 강령을 위반한 선수가 있다는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측의 항의가 있자 경기가 중단되었다.[13] 해당 경기는 1923년 11월 22일 10시에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측 부정 선수 1명을 제외하고 진행되었고,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1:0으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9][13]

1923년 11월 21일 16시 30분에 시작된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군산영명학교 축구단 간의 8강 네 번째 경기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1:0으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다.[9]

한편,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경기에서 대회 규정에 어긋난 부정 선수와 관련된 논란을 시작으로, 숭실학교 축구단 측은 오산학교 축구단의 부정 선수 여부에 대한 이의를 제기했고, 오산학교 축구단 측은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측의 부정 선수 여부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는 등 부정 선수 출전 여부에 대한 이의가 다수 제기되는 혼선이 일어났다.[13] 이에 조선체육회 측은 간부 회의를 열어 각 선수의 학적과 관계자의 증명을 검토하여, 대회 규정에 맞지 않는 재적 기간 1년 미만인 선수가 출전한 것으로 확인된 숭실학교 축구단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에 대해 실격패로 결정했다.[13][9] 준결승에 진출한 오산학교 축구단은 대회 규정에 맞지 않는 선수가 있었음을 자인하며 기권하였고, 8강에서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에 패배했다가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의 실격패로 준결승에 진출한 영생학교 축구단은 이미 패배한 상태에서 상대 팀에게 부정 선수가 있었다고 해서 이긴 것으로 해주어도 반가운 일이 되지 못한다며 기권했다.[9][11][13][6]

1923년 12월 8일에 진행된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4:4로 비겨 대회 규정에 따라 경기 기록 점수가 더 높은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우승을 차지했다.[14]

소학부

 
8강준결승결승
 
          
 
11월 21일 - 경성
 
 
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경기) 2
 
11월 22일 - 경성
 
보성초등학교 축구단 (경기) 6
 
보성초등학교 축구단 (경기) 0
 
 
보인학교 축구단 (경기) 0
 
 
12월 8일 - 경성
 
 
보인학교 축구단 (경기) 0
 
11월 21일 - 경성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평남) 1
 
흥인배재학교 축구단 (경기) 4
 
11월 22일 - 경성
 
신명소학교 축구단 (경기) 0
 
흥인배재학교 축구단 (경기) 0
 
11월 21일 - 경성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평남) 3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평남) 6
 
 
승동소학교 축구단 (경기) 0
 
Thumb
소학부에서 우승한 광성공립보통학교 축구단

소학부 남자 종목은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보성초등학교 축구단, 보인학교 축구단, 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 승동소학교 축구단, 신명소학교 축구단, 흥인배재학교 축구단 등 7개 축구단이 참가했다.[4][8]

1923년 11월 21일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보성초등학교 축구단 간의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보성초등학교 축구단이 6:2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이어서 진행된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승동소학교 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는 승동소학교 축구단이 6:0으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다.[15] 뒤이어 진행된 흥인배재학교 축구단신명소학교 축구단 간의 1라운드 세 번째 경기는 흥인배재학교 축구단이 4:0으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다.[15]

1923년 11월 22일 15시 30분부터 16시 5분까지 진행된 보성초등학교 축구단보인학교 축구단 간의 준결승 첫 번째 경기는 0:0으로 비겨 대회 규정에 따른 경기 기록 점수가 높은 보인학교 축구단이 결승에 진출했다.[11] 같은 날 16시에 시작된 흥인배재학교 축구단광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준결승 두 번째 경기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11]

1923년 12월 8일 11시에 진행된 보인학교 축구단광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이 1: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4]

Remove ads

메달 집계

최종 순위

자세한 정보 순위, 선수단 ...

청년부 메달 집계

자세한 정보 순위, 선수단 ...

중학부 메달 집계

자세한 정보 순위, 선수단 ...

소학부 메달 집계

자세한 정보 순위, 선수단 ...

메달 수상자

자세한 정보 종목, 금 ...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