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조선인민군의 무기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차 전력
2016년 12월을 기준으로 총 6,000여대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다.[1]
주력 전차
- T-62 개량형
- 천마-9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자체 개발한 전차.
- 천마-214 천마-98의 개량형.
- 천마-215 천마-98의 2번째 개량형.
- 천마-216 천마-98의 최종 개량형.
- 선군-91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자체 개발한 최신전차.
경전차
- 신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자체 개발한 수륙양용 경전차.
장갑차 전력
2016년 12월을 기준으로 총 4,700여대의 장갑차를 보유하고 있다.[1]
보병전투차
- 323 장갑차
- 준마-ㄹ
- BTR-80
병력 수송 수송차(APC)
포병 전력
2008년 12월을 기준으로 총 8,500문의 야포를 보유하고 있다.[1]
자행포
- 170mm M1978/M1989 자행포 - 59식 전차와 T-62 전차의 차대를 이용해 만든 장사정포이다. 곡산포, 주체포로도 알려져 있다.
- 152mm M1985 자행포
- 152mm M1974 자행포
- 130mm M1992 자행포
- 130mm M1975 자행포
- 122mm M1991 자행포
- 122mm M1981 자행포
- 122mm M1977 자행포
- 120mm M1992 자주박격포
야포
방사포
2008년 12월을 기준으로 총 5,100문의 야포를 보유하고 있다.
- M1991 240mm 방사포
- M1985 240mm 방사포
- M1985 122mm 방사포
- 63식 130mm 방사포
- 63식 107mm 방사포
- BMD-20
- RPU-14
- BM-24
- BM-21
- BM-14
- BM-11
소화기
권총
자동소총
저격소총
- 저격보총 - M76 저격소총의 국내 생산형.
기관총
Remove ads
대공포
- KS-19/59식 100mm대공포
- KS-12/72식 85mm대공포
- S-60/59식 57mm대공포
- M1939/55식 37mm대공포
- ZU-23-2 23mm대공포
- ZPU-4/56식 14.5mm 4연장 대공기총
- ZPU-2/58식 14.5mm 2연장 대공기총
- ZPU-1 14.5mm 대공기총
미사일
지대지 미사일
탄도 미사일
순항 미사일
- P-15
- HY-2
- KN-01 - HY-2를 개량한 미사일. 사정거리가 100Km를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지대공 미사일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스트렐라 2와 이글라를 화승총이라는 이름으로 국내 생산중이며 약 10,000문 정도 보유하고 있다.
- 화승총
- 화승총
- FIM-92 스팅어 - 1985년 말부터 미국이 무자헤딘에게 지원한 스팅어 지대공 미사일을 되사들이는 방식으로 확보하였다. 얼마나 확보 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3]
Remove ads
군용기
수송기
- 리슈노프 Li-2
- 안토노프 An-2 - 286대
- An-24 - 6대
전투기
- 미코얀 MiG-15
- 미코얀 MiG-17
- 미코얀 MiG-19
- 미코얀 MiG-21
- 미코얀 MiG-23
- 미코얀 MiG-29SE
- FC-1
공격기
폭격기
- 일루신 Il-28 - 82~85 대
- 투폴레프 Tu-16
훈련기
- 수호이 Su-7UMK
- 미코얀 MiG-15UTI
- FP-5(중화인민공화국제)
- FP-6(중화인민공화국제)
- 미코얀 MiG-21U/US/UM, FP-7(FP-7은 중화인민공화국제)
- 미코얀 MiG-23UB
- 미코얀 MiG-29UB(?)
- Su-25UBK
- 일루신 Il-28
- L-39
- CJ-6
- 야코블레프 Yak-18
무인 항공기 (UAV)
- 중국제 UV-10계열
- 중국제 SKY-09계열
- Pchela - 1T
- VR-3 레이
- 북한제 방현계열
헬리콥터
Remove ads
군함
잠수함/잠수정
- 프로젝트 613형 잠수함(위스키급) - 4척.
- 프로젝트 633형 잠수함(로미오급) - 22척. 중화인민공화국제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제
- 프로젝트 641형 잠수함(폭스트롯급) - 4척. 1993년 일본의 도엔사를 통해 러시아로부터 인도받았다.[4]
- 프로젝트 621형 잠수함(골프 2급) - 1척. 1994년 일본의 도엔사를 통해 러시아로부터 인도받았다.[4]
- 상어급 잠수정 - 29척.
- 유고급 잠수정 - 20척(+10척?). 침투용 잠수정. 전체 길이 18m. 여러 명의 특수부대가 탈 수 있다.
- 신형 연어급 잠수정 - 이란의 가디르급 잠수정과 같은 형태로 보인다.
- 반잠수정
프리깃
코르벳
- 사리원급 코르벳 3 척
- 트랄급 코르벳 1척
고속정
- 오사 I급 미사일 고속정 - 8척
- 후앙펑급 미사일 고속정 - 4척. 오사 I급의 중화인민공화국 개량형.
- 소주급 미사일 고속정 - 10척. 오사 I급/후앙펑급을 자체생산한 것.
- 코마르급 미사일 고속정 - 6척.
- 서흥급 미사일 고속정 - 6척. 코마급의 자체생산형.
경비정
- 소 I급 경비정 - 19척
- 하이난급 - 6척
- 대청 I급 - 7척
- 대청 II급 - 5척
- 상하이 II급 - 12척
- 정주급 - 6척
- 차호급 - 59척
- 청진급 - 54척
- 신포급 - 33척
- TB 11PA급 - 15척
- TB 40A급 - 10척
어뢰정
- 구성/신흥급 - 92척
- 프로젝트 206형 어뢰정 - 3척
기뢰/소해정
- 육도 I급 - 19척
- 육도 II급 - 5척
상륙함/정
- 한태급 - 10척
- 남포급 - 96척
- 흥남급 - 18척
- 한천급 - 7척
- 공방급 - 136척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