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종로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종로구의 행정 구역은 87개의 법정동을 관리하는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래 전부터 서울의 중심지가 되어왔던 탓에 세부적으로 구역이 나뉘어 있어 서울특별시의 다른 구들에 비해 법정동의 수가 월등히 많은 것이 특징이다. 종로구의 면적은 23.91 km2이며, 인구는 2012년 5월 1일을 기준으로 76,702세대, 176,766명이다.[1]

행정 구역

2018년 6월 30일 기준으로 면적, 인구, 세대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행정동, 한자 ...
Remove ads

법정동

Thumb
서울 종로구의 법정동
자세한 정보 행정동, 법정동 ...
Remove ads

연혁

요약
관점
Thumb
1940년 전후 종로3가쪽에서 본 2가 모습.
  •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를 설치하였다.[6]
    • 관할 구역: 청운정, 신교정, 궁정정, 효자정, 창성정, 통인정, 누상정, 누하정, 옥인정, 사직정, 체부정, 필운정, 내자정, 통의정, 적선정, 당주정, 도렴정, 내수정, 서대문정1정목, 서대문정 2정목, 광화문통,관철정,종로1정목,종로2정목,종로3정목,종로4정목,종로5정목,종로6정목,혜화정,
  •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2]
  • 1947년 동회 제도 실시

종로1가+서린=종로1가서린동회, 종로2가+관철=종로2가관철동회, 익선+경운=익선경운동회, 옥인+통인=옥인동통인동회,

  • 1949년 서울시→서울특별시 개칭, 경무동회→궁정동회 개칭, 익선경운동회→익선, 경운동회, 종로1가서린동회→종로1가, 서린동회, 옥인통인동회→옥인, 통인동회, 서린동회 종로2가관철동회→종로2가, 관철동회 분리.
  • 1950년 경무대동회→경무동회 개칭, 종로1가+서린+청진=광교동회, 종로2가+관철=종각동회, 종로3가+관수+장사=비파동회, 종로4가+예지+인의=이현동회, 종로1가+서린=종로1가서린동회,
  • 1955년 행정동 실시

연지동회+원남동회=통내동, 내자동회+필운동회+체부동회=체부동, 연건동회+효제동회=대학동, 옥인동회+통인동회=인왕동, 세종로1번지+청운동회+궁정동회+신교동회=자하동, 세종로+당주동회+도염동회=중앙동, 누상동회+누하동회=누각동, 창성동회+효자동회=청송동, 통의동회+적선동회=백송동, 필운동회+체부동회=매동, 내수동회+내자동회=종교동, 신문로1가+2가=신문동, 익선동회+경운동회=운현동, 권농동회+운니동회+와룡동회=돈화문동, 사간동회+송현동회+중학동회+수송동회=수진동, 안국동회+소격동회+화동회=별궁동, 팔판동회+삼청동회=태화동, 낙원동회+돈의동회=탑동, 견지동회+관훈동회=전훈동, 공평동회+인사동회=대사동, 동숭동회+이화동회=낙산동, 삼청동35번지+가회동회+재동회=백록동, 연건동회+효제동회=대학동, 동대문구 창신4동→3동 합속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
  • 1970년 원서동→계동, 이현, 통내동→종로4가동, 대학동 관할 효제동→종로5가 합속, 백록동→가회동, 누각동→누상누하동, 신문동→신문로동, 인왕동→옥인동, 구평동→평창동, 태화동→삼청동, 중앙동→세종로(세종로, 내수동, 도염동, 당주동), 자하동→청운동 개칭, 낙산동→동숭, 이화동(대학동 관할 연건동 내속) 분동, 수진동 관할 사간동+송현동+별궁동=안국동, 수진동 관할 중학동+수송동+광교동=청진동, 청송+백송=효자동, 태화=별궁=안국동, 탑동 관할 낙원+종각+대사+전훈=낙원동, 비파+대묘+탑동 관할 돈의동=종로3가동, 돈화문+운현=권농동, 혜화, 명륜1가→명륜2,4가동 합속, 삼청동35번지+가회+재=백록동, 명륜1가동→혜화동 예속, 명륜2가+4가=명륜2,4가동
  •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중 평창동 등과 동대문구 중 창신동 등이 종로구로 편입되었다.[3]
  • 1975년 명륜2,4가동→혜화동, 계동→가회동(삼청동 35번지→삼청동 이속) 예속, 동대문구 창신, 숭인동(신설동 일부, 서대문구 현저동 일부 내속), 서대문구 부암동(홍지동, 신영동 내속), 평창동(구기동 내속), 교남동(교북동, 송월동, 평동, 행촌동, 홍파동 내속), 무악동 내속, 매동+종교동=체부동, 청진동+낙원동 관할 공평동, 관훈동, 견지동=종로1가동, 낙원동 관할 관철동, 인사동, 낙원동, 권농동 관할 운니동, 와룡동, 익선동, 경운동, 권농동→종로2가동 합속, 종로5가+6가=종로5,6가동, 통인동→효자동, 신문로동→세종로동, 체부동→사직동, 안국동→삼청동, 명륜2.4가동→혜화동 합속, 숭인동→1, 2동 분동
  • 1977년 효자동(누상동 내속) 관할 통의동, 적선동→사직동, 동숭동→이화동 예속. 종로1가+2가=1,2가동, 종로4가+5,6가=종로4,5,6가동
  • 1980년 7월 1일 종로3가+종로4,5,6가→종로3,4가동, 5,6가동(충신동 합속)

.[7] (21행정동)

  • 1980년 명륜3가동 관할 와룡동 1번지→종로1,2가동 관할 와룡동 합속
  • 1998년 12월 1일 세종로동을 사직동에, 종로1·2가동과 종로3·4가동을 종로1·2·3·4가동으로 합동하였다.[8] (19행정동)
  • 2008년 사직동 관할 세종로 일부→종로1,2,3,4가동 합속
  • 2008년 11월 1일 청운동과 효자동을 청운효자동으로 합동하였다.[9] (18행정동)
  • 2012년 8월 1일 명륜3가동과 혜화동을 혜화동으로 합동하고 종로1,2,3,4동 관할 와룡동 일부를 이에 합속.[10] (17행정동)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