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주특기번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주특기번호군사특기에 따라 대한민국 국군에서 장교, 준사관(준위), 부사관, 모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말한다. 4가지 신분에 따라 해당되는 번호와 특기가 각기 다르다.

한편 군무원공무원민간인으로서 군사특기만 있을 뿐 주특기번호는 없다.

국군의 현대화 계획인 국방개혁 2020국방개혁 307계획에 따라 매년 계속하여 개정한다.

  •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별표 14] 기능사 검정의 필기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는 군기술교육기관의 기술훈련과정(제18조제2호 관련)'에 따라 기능사 필기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는 군사특기별 후반기교육이 있다.[1]
  • 그 외 군 복무기간에 따라 자격증이나 면허증에 대한 복무분야 별 경력인정도 가능하다.
Remove ads

대한민국 육군의 주특기번호

[5]

  • 별도로 징병(본인 지원에 따라 모병의 형식으로 선발)하는 기술행정(의무)병, 개별모집병, 어학병, 카투사(2013년까지만 모집), 직계가족복무지원병, 동반입대병(일반), 동반입대병(다문화)이다.
    • 유급지원병의 특기는 "A121101"처럼 앞에 "A"가 붙는다.
    • 그 외 기술행정(의무)병은 243가지, 개별모집병은 39가지, 어학병은 8가지의 주특기번호를 가진다.
    • 카투사, 직계가족복무지원병은 1가지의 단일한 주특기번호를 가진다.
    • 동반입대병(일반), 동반입대병(다문화)은 주특기번호의 구분이 없다.
Remove ads

기본병과(1~3)나 특수병과(4)와는 별도로 존재

  • 알파벳 D는 직계가족복무부대지원병, P는 카투사어학병, 개별모집병임을 나타낸다.

직계가족복무부대지원병 (1가지)

  • D001 직계가족복무부대지원병

어학병 (8가지)

카투사 (1가지)

개별모집병 (39가지 중 1가지만 해당)

  • P000299 육군모집사이버홍보병의 경우 개별모집병 39가지 주특기번호에 속하나, 유일하게 기본병과(1~3)나 특수병과(4)와 별개로 존재한다.
  • 그 외 개별모집병중 38가지는 기술행정(의무)병 243가지와 마찬가지로 기본병과(1~3)와 특수병과 (4)에 속한다.
Remove ads

기본병과 (1~3)와 특수병과 (4). 기술행정(의무)병 209가지 주특기번호 포함

요약
관점

기본병과 (1~3)

전투병과 (1)

보병 (11)
기갑 (12)
포병 (13)
방공 (14)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1방공여단)

정보 (15)
  • 151: 인간정보
    • 151 101: 전투정보
    • 151 102: 심리전
    • 151 103: 특수정보
    • 151 104: 정찰
  • 152: 신호정보
  • 153: 영상정보
    • 153 101: 영상정보
    • 153 102: 감시장비운용 (TOD 열감시장비): 육군정보학교 2주
  • 154: 기무
  • 155
    • 155 101: 무인항공정찰기 운용
공병 (16)
정보통신 (17)
  • 171: 유무선
  • 172
    • 172 101: M/W 장비 운용/정비
  • 173
  • 174
  • 175
    • 175 101: 자동화체계 운용/정비
    • 175 262: 자동화체계 운용/정비(SW관리병)
항공 (18)
  • 181: 항공 운항/관제
  • 182: 헬기 정비
    • 182 101: 소형 공격 헬기 정비
    • 182 102: 중형 공격 헬기 정비
    • 182 103: 소형 기동 헬기 정비
    • 182 104: 헬기 장착부 장정 정비
    • 182 105: 중형 기동 헬기 정비
    • 182 106: 대형 기동 헬기 정비
    • 182 107: 헬기 기체 수리
    • 182 108: 헬기 기관 수리
    • 182 109: 헬기 계기 수리
    • 182 113: 헬기 무장 장착 수리
    • 182 114: 항공 통신 전자 수리

기술병과 (2)

화생방 (21)
  • 211: 화생방 작전
    • 211 101: 화생방
    • 211 102: 화생방 작전통제
    • 211 103: 연막
    • 211 104: 화학 제독
    • 211 105: 화학 탐측
병기 (22)
  • 221: 대공포 수리
    • 221 101: 발칸포 수리
    • 221 102: 로켓무기 수리
    • 221 103: 대전차 유도 무기 수리
  • 222
  • 223
    • 223 101: 유선장비 수리
    • 223 102: 기록통신장비 수리
    • 223 103: 무선장비 수리
    • 223 104: 중계/반송기 수리
    • 223 105: BTCS 수리
    • 223 106: 레이다 수리
    • 223 107: 전자전 장비 수리
    • 223 108: 시청각 장비 수리
    • 223 109: 보안 장비 수리
    • 223 113: 자동화 장비 수리
  • 224
    • 224 101: 차량 수리
    • 224 102: 공병 장비 수리
    • 224 103: 발전기 장비 수리
    • 224 104: 용접기계 공작
    • 224 105: 병참 장비 수리
    • 224 106: 화학 장비 수리
    • 224 107: 의무 장비 수리
  • 225
  • 226
    • 226 101: 장비수리부속공구보급병
    • 226 451: 장비수리부속공구관리(부사관)
병참 (23)
  • 231:
    • 231 101: 편성부대보급
    • 231 102: 영현 등록
    • 231 103: 일반
    • 231 104: 의무 보급
    • 231 105: 공구 보급
    • 231 106: 유류 관리
    • 231 107: 조리
    • 231 108: 일반물자 재고기록
    • 231 109: 직물/천막 수리
    • 231 113: 군화 수리
    • 231 114: 사무용기계 수리
    • 231 115: 세탁
  • 232
    • 232 101: 장비 보급
    • 232 102: 수리부속 보급
수송 (24)
  • 241: 차량 운용
    • 241 101: 소형 차량 운전: 야전수송교육단 2주
    • 241 102: 중형 차량 운전: 야전수송교육단 4주
    • 241 103: 대형 차량 운전: 야전수송교육단 5주
    • 241 104: 특수 차량 운전
    • 241 105: 물자 취급 장비 운전
    • 241 106: 경 장갑차 운전
    • 241 107: 차량 정비
    • 241 108: K-53 계열 차량 운전
    • 241 109: 구난 차량 운전
    • 241 113: 크레인 차량 운전
  • 242: 이동관리
    • 242 101: 수송 이동관리
  • 243
    • 243 101: 항만 운용
    • 243 102: 선박 운용
    • 243 103: 화물 검수

행정병과 (3)

인사 (31)
  • 311: 일반 행정
  • 312: 군악
    • 312 101: 군악병(목관악기)
    • 312 102: 군악병(금관악기)
    • 312 103: 군악병(타악기/실용)
    • 312 104: 군악병(현악기/기타)
    • 312 105: 군악병(국악)
군사경찰 (32)
재정 (33)
  • 331: 재정
정훈 (34)
  • 341: 정훈
    • 341 101: 정훈 행정
    • 341 102: 시청각장비 운용
    • 341 103: 사진 운용/정비

특수병과 (4)

의무 (41)
법무 (46)
군종 (47)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