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필리핀어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중앙필리핀어군필리핀의 주요 언어군 중 가장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화자 수가 가장 많은 언어군이다. 루손섬 남부, 비사야 제도, 민다나오섬, 술루주에 분포한다. 중앙필리핀어에는 타갈로그어, 비콜어군,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어, 키나라이아어, 타우수그어 등 40여 개의 언어가 속한다.[2]

간략 정보 중앙필리핀어군, 지리적 분포 ...
닫기

분류

요약
관점

중앙필리핀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은 보통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여기에 더해 산악 지역에 사는 아에타족의 언어들도 있다. 이들의 분류는 불명확하다.

  • 아타어, 소르소곤 아이타어, 타야바스 아이타어, 카롤라노스어, 마가하트어, 술로드어, 우미라이 두마게트어

중앙필리핀어군 언어 대부분은 사실 방언연속체를 이루며 언어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없다. 예를 들어 소르소곤주마스바테주 지역의 언어들이 비콜어군에서 비사야어군으로 매끄럽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들을 비사콜어군이라 한다. Blust (2009)에 따르면 비사야어군 언어 사이에 다양성이 낮은 것은 인구 팽창이 비교적 최근에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3]

Zorc (1977)

데이비드 조크는 1977년 박사학위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를 제시하였다.[4] 비사야어군의 하위분류는 조크 본인의 연구성과이고, 비콜어군의 하위분류는 McFarland (1974)를 따랐다.[5] and the Mansakan subgrouping from Gallman (1974).[6]

주요 분기군은 굵은 글씨로 나타냈다.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로버트 블러스트(1991)[21]은 중부 및 남부 필리핀의 언어적 다양성이 낮음을 지적했다. 그는 공통된 어휘적 변화를 바탕으로 중앙필리핀어군을 비롯해 남부민도로어군, 팔라완어군, 다나오어군, 마노보어군, 고론탈로·몽온도우어군을 하나로 묶은 확대 중앙필리핀어군이라는 분류를 제안하였다.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