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창가학회
일본의 신종교의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창가학회(일본어: 創価学会 소카가카이[*], 영어: Soka Gakkai)는 1930년 11월 18일 일본의 마키구치 쓰네사부로(牧口常三郞) 초대 회장과 도다 조세이(戶田城聖) 제2대 회장이 '창가교육학체계'를 펴내면서 설립한 국제창가학회다. 192개 국가·지역에 회원을 두고 있다.
Remove ads
개요
1930년 11월 18일 마키구치와 도다가 니치렌불법을 바탕으로 교육뿐만 아니라 생활과 사회 전반의 변혁을 목표로 하는‘창가교육학회(현 창가학회)’를 창립하였다.[1]
‘창가(創價)’라는 명칭은 ‘가치를 창조한다’는 뜻으로, 마키구치의 교육 사상인 ‘가치 창조 교육’에서 유래한다. 창가학회는 이후 국제창가학회(Soka Gakkai International, SGI)라는 조직을 통해 전세계 192개국·지역에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평화·문화·교육을 3대 활동 축으로 한다.[2]
역사
창가학회는 1930년 마키구치 쓰네사부로와 도다 조세이에 의해 창가교육학회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었다. 태평양전쟁 시기 일본 군부는 종교 단체에도 신사참배를 강요하였으나, 이를 거부한 마키구치와 도다는 치안유지법 위반과 불경죄라는 죄목으로 투옥되었고, 마키구치는 1944년 11월 18일 향년 74세에 옥중에서 사망했다.
전후에는 도다 조세이가 제2대 회장으로 취임하여 조직을 재건하였으며, 1957년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미쓰자와경기장에서 ‘원수폭금지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창가학회의 핵무기 반대 운동과 평화 운동의 출발점으로 언급된다. 1960년 5월 3일 이케다 다이사쿠(池田大作)가 제3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취임 5개월 후 해외를 방문하며 냉전 시기 중국·소련·미국 등 각국의 지도자들과 만나 대화를 통한 긴장 완화 및 세계평화 실현에 진력했다.
1975년 괌에서 국제창가학회(SGI)가 결성되었으며 조직은 세계적 규모로 확대됐다. 한국에서는 1976년 한국SGI가 발족하여 신앙 활동과 더불어 평화·문화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1991년 창가학회는 종래의 종단인 일련정종과 결별하고 독자적 종교 단체로서의 노선을 확립했다.
Remove ads
신앙의 특성
- 본존
니치렌 대성인이 도현한 만다라를 본존으로하여 법화경과, 니치렌대성인의 어서를 토대로 생활속에 불법을 실천하는 단체이며, 입신후 어본존(만다라)을 창가학회본부{니치렌 대성인이 도현한 일염부체 총여 삼대비법의 대어본존을(만다라)를 목판본으로 찍어 회원에게 하부한다. 일찍이 일련종에서또한 만다라를 개인에게 수여하여 가정 불단에 안치하여 창제-근행과 제목(남묘호렌게쿄를 봉창하는 것)신도들의 신심을 지속하게하였다.} 받아 개개의 회원이 회관(기성불교로 말하자면 절)에가지 않고도 본존을 면하고 창제를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수행법
집에서만 창제를 하는 것이 아니라, 불법 수행의 기반인 신(信), 행(行), 학(學)의 단련을 위해 법화경 방편품, 수량품 독경 및 창제와 활동, 자신의 인간혁명에 도전한다. 단순히 자신만을 위한 종교가아닌 자행화타 (나와 더불어 타인 또한 행복해 질 수 있도록 도전하는 것)의 불법이기에 큰 회합이 중요한 것이 아닌, 가정방문을 하여 개인대화를 통해 회원 개개인의 고충과 고민에 대해 격려하고 공감하는 활동을 한다. 간부,회원이 나눠져서 활동하는 것이아니라, 창가학회회원이라면 모두가 개인신심활동(부별활동과, 근행창제-법화경 수량품과 방편품을 아침저녁으로 봉창하며, 남묘호렌게쿄라고 봉창하는 것)을 하고있으며 좌담회와 회합을 기반으로 신심을 지속하게 된다. 간부는 피라미드식 구조를 띄고있으나 이것은 구조상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어느누구라도 전국간부와 대화를 할 수 있으며 명예회장인 이케다 다이사쿠에게 편지또한 수발할 수 있다고한다.
- 근본경전-
창가학회의 경전은 법화경이며 남묘호렌게쿄(일본어: 南無妙法蓮華経 남무묘법연화경[*], なむみょほれんけきょう)을 기원문으로 삼는다. 기원문은 창가학회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신도들이 행하는 "근행", "창제"시 사용된다.
- 남: 고대 산 스크리트어,나무- 어떤것에 귀의하다라는 뜻
- 묘: 묘한 불법
- 호: 법
- 렌게 : 연화 : 법화경이 종숙탈(들음과 동시에 씨앗이 심어지고, 성숙하고 바로 꽃이핀다는 뜻)의 원리이듯, 연꽃 또한 열매와 꽃이 동시에 열림, 더욱이 탁한 현대 시대와 마찬가지로, 탁한연못에서 아름다운 꽃과 열매를 피워냄
- 쿄: 경
기념일
- 1월 2일 : 이케다 다이사쿠 탄신일
- 1월 26일 : SGI의 날
- 2월 11일 : 도다 조세이 탄신일
- 2월 16일 : 니치렌 대성인 탄신일
- 3월 16일 : 광선유포 기념일
- 4월 2일 : 도다 조세이 기일
- 4월 15일 : 한국SGI 재단법인 설립일
- 4월 28일 : 입종선언일
- 5월 3일
- 창가학회의 날
- 창가학회 어머니의 날
- 5월 5일 : 창가학회 후계자의 날
- 5월 15일 : 유니피스의 날
- 5월 18일 : 이케다 다이사쿠 한국 SGI 방문 기념일
- 5월 21일 : 한국SGI 부인부의 날
- 6월 4일 : 세계 이케다화양회의 날
- 6월 6일 : 마키구치 쓰네사부로 탄신일
- 7월 3일
- 도다 조세이 출옥일
- 사제불패의 날
- 화광신문 창간일
- 7월 20일 : 한국SGI 여자부의 날
- 8월 18일 : 한국SGI 남자부의 날
- 8월 24일
- 이케다 다이사쿠 입회일
- 한국SGI 장년부의 날
- 9월 8일 : 원수폭금지선언일
- 9월 12일 : 다쓰노구치법난일
- 9월 21일 : 한국SGI의 날
- 10월 2일 : 세계 평화의 날
- 10월 13일 : 니치렌 대성인 입멸일
- 11월 15일 : 이케다 다이사쿠 기일
- 11월 18일
- 창가학회 창립기념일
- 마키구치 쓰네사부로 기일
Remove ads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에도 창가학회가 있으며 이를 한국SGI라고 부른다.
조직
창가학회(SGI) 3대 회장
- 1대 회장(~1943): 마키구치 쓰네사부로
- 2대 회장(1951.5.3~1958.4.2): 도다 조세이
- 3대 회장(1960.5.3~2023.11.15): 이케다 다이사쿠(1928.1.2~2023.11.15)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