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창원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창원군
Remove ads

창원군(昌原郡)은 경상남도에 있던 으로, 1995년에 군을 분할하여 도농복합도시 마산시, 창원시로 통합하였다.[1] 도농복합 통합 직전의 군청은 창원군내가 아닌 마산시(현재의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소재하고 있었다. 창원(昌原)이라는 명칭은 1408년에 의창(義昌)과 회원(會原)을 합병하여 창원부를 설치한 데 기인한다.

역사

1914년의 행정구역[2]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자세한 정보 1914년, 현재 ...
  • 1408년 : 의창현(義昌縣)과 회원현(會原縣)이 창원부(昌原府)로 합병,승격되고 경상우도병마절도사영이 설치되었다.
  • 1413년 : 창원도호부로 승격하였다.
  • 1601년 : 창원대도호부로 승격하였다.
  • 1603년 : 경상우도병마절도사영을 진주로 옮겼다.
  • 1661~70년 : 현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 경상도 창원대도호부
  • 1895년 : 진주부 창원군으로 개편되었다.[5]
  • 1896년 : 경상남도 창원군으로 개편되었다.[6]
  • 1899년 : 창원군이 창원부로 승격하였다.[7]
  • 1903년 : 창원부가 창원군으로 격하되었다.[8]
  • 1906년 : 창원군이 창원부로 승격하였고,[9] 칠원군 구산면김해군 대산면이 창원부에 편입되었다.[10]
  • 1908년 : 창원부에 진해군(현 마산합포구 진동면·진북면·진전면 일대)과 웅천군(현 진해구)이 통합되었다.[11]
  • 1909년 10월 25일 : 구 웅천군 내동면, 외동면을 웅동면으로, 상서면, 하서면을 웅서면으로, 천성면, 가덕면을 천가면으로 합면하였다.[12]
  • 1910년 10월 1일 :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다.[13]
  • 1914년 4월 1일 : 도시 지역인 각국거류지와 외서면 일원을 제외한 마산부의 나머지 지역이 창원군으로 개편되었다.[14] (15면)
15면 - 웅남면, 진전면, 진동면, 구산면, 내서면, 부내면, 동면, 대산면, 상남면, 진해면, 웅읍면, 웅동면, 천가면, 진북면, 북면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73년 7월 1일 : 창원면 · 상남면 · 웅남면 일원과 내서면 · 구산면 일부가 마산시로, 웅천면 일원이 진해시로 각각 편입되었다.[18] (10면)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