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천병희
대한민국의 고전 번역가 (1939–2022)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천병희(千丙熙, 1939년 5월 1일 ~ 2022년 12월 22일)는 대한민국의 독문학자이자 그리스 고전 번역가이다.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배웠다.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기도 했다. 한국에서 고전 라틴어 및 그리스어 작품을 중역이 아닌 원전번역으로 가장 많이 번역한 인물이다.[1]
Remove ads
생애
천병희는 1939년 5월 1일 (음력 3월 12일)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에서 태어났다.[2] 중학교를 졸업하고 부산고등학교에 입학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독일어를 처음 배웠는데, 선생님의 인품을 존경하여 2학년 겨울방학때는 하루에 단어 100개씩 한 달 동안 독일어 단어 3,000개 를 외우기도 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1956년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 입학했다. 2학년 때 장익봉 교수로부터 플라톤 《향연》 수업을 들으며, 고대 그리스 작품의 번역을 처음 꿈꿨다.[3]
1961년에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독문학과 고전 문학을 수학했으며, 그리스어와 라틴어도 공부했다. 5년 유학 기간 동안 북바덴주가 주관하는 그리스어 검정시험(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도 통과하였다.[3] 1964년에는 횔덜린에 대한 연구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으로부터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4]
1966년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뒤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에서 3개월 동안 전임강사로 근무하던 중 동백림사건이 발발했다. 천병희는 동백림 사건이 없었다면 원전 번역에 이처럼 기여하지 못했을 것이라 회고했다. 동백림사건의 여파로 10년 동안 자격정지를 받아 이 기간에 번역활동에 몰두했기 때문이다. 1981년에 단국대학교 인문학부 교수로 취임하였다. 1972년에 시작한 플라톤 《국가》 원전 번역은 1982년에 출판되었다. 같은 해 《일리아스》도 출판되었는데, 국내 첫 원전번역이었다.[3]
1985년에는 횔덜린의 핀다르 수용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5] 2004년에 단국대학교에서 은퇴하여 명예교수가 되었다. 2022년 12월 22일 사망했다.[6]
Remove ads
역서
독일어 원전 번역
- 알베르트 슈바이처의 자서전 《나의 생애와 사상》
그리스어 원전 번역
라틴어 원전 번역
- 플루타르코스 - 《수다에 관하여》, 《플루타르코스 영웅전》(발췌본)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명상록》
- 키케로 - 《노년에 관하여 우정에 관하여》
- 세네카 - 《인생은 왜 짧은가》
- 호라티우스 - 《시학》
- 오비디우스 - 《변신이야기》, 《로마의 축제일》
- 키케로 희곡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