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천정희 (수학자)
대한민국의 수학자, 암호학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천정희(千丁熙, 1969년 6월 11일~)는 대한민국의 수학자로,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이며 서울대학교 산업수학센터 센터장과 (주)크립토랩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다.[1][2] 천정희 교수는 계산수론과 암호학, 그리고 정보 이론을 연구하며 HEaaN을 발명하였다.[3][4]
생애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천정희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수학 학사(1991)와 석사(1993), 그리고 박사(1997) 학위를 취득하였다.[5]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로 임용되기 전 그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1997-2000)과 브라운 대학교에서 방문연구원(2000), 그리고 한국정보통신대학교에서 조교수(2000-2003) 직책을 역임하였다.
천정희 교수는 군(群) 기반 암호화 스킴인 꼬임군 암호화의 발명자 중 한 명이며[6] 이전 업적 중에서는 강한 디피-헬만 문제(strong DH problem)에 대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었다.[7][8]
천정희 교수는 동형암호와 기계학습,[9] 제어시스템,[10] 그리고 유전정보 계산[11]에서의 그 응용에 대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2017년에는 CKKS 스킴 기반의 방법으로 iDASH 보안 유전체 분석 대회 과제를 해결한 팀이 우수 성과를 거두었다.[9]
연구 및 산업화
천정희는 실수 연산을 지원하는 근사 동형암호 CKKS 스킴의 제안자이며, 이를 구현한 HEaaN 라이브러리를 통해 4세대 수준의 완전동형암호(FHE) 기술을 상용화 가능한 속도로 발전시켰다.[3][4] 2021년에는 GPU 메모리 중심 최적화를 통해 CKKS 부트스트래핑을 대폭 가속하는 연구에 공동저자로 참여하였다.[12]
그는 2018년 크립토랩을 창업하여 HEaaN 기반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1] 2024년에는 마크로젠과 유전체 데이터 보호를 위한 동형암호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13] 2025년에는 일본 유클론과도 파트너십을 확장하였다.[14] 같은 해 LG유플러스는 고객정보 보호를 위해 동형암호 적용을 검토하였고,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크립토랩과 보안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15][16] 그는 최신 4.5세대 동형암호 기술 확보와 한국의 AI 데이터보호 경쟁력 강화를 주장하였다.[17] 같은 시기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사건과 KT 무단 소액결제 의심 사건 등 국내 보안 이슈가 제기되었고,[18][19] 그는 이러한 환경에서 동형암호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강조하였다.[15]
Remove ads
상훈
학술기여
천정희 교수는 다음의 여러 학술대회에서 의장과 공동의장을 역임하였다: ICISC 2008, MathCrypt 2013, ANTS-XI, Asiacrypt 2015, MathCrypt 2018/2019/2021, PQC2021/2022.[29][30][31][32][33][34][35][36][37] 그는 Asiacrypt 2020[38]에서 초청받았던 두 명의 연사 중 한 명이었으며 암호학 학술지 Journal of Cryptology의 편집자를 역임하고 있다.[39]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