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초선 (불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초선 (불교)
Remove ads
Remove ads

초선(初禪, 산스크리트어: prathama-dhyāna, pūrva-dhyāna, 팔리어: paṭhama-jjhān, 영어: first meditation, first concentration[1][2]), 초선정(初禪定) 또는 초정려(初靜慮)는 번뇌조복하거나 대치하는 (善)과 (智)가 일어나는 기반이 되고 4무량 · 8해탈 · 8승처 · 10변지 등과 같은 여러 뛰어난 공덕을 낳는 작용을 하는 선정들인 색계4선(四禪) 또는 5선(五禪) 중의 첫 번째를 말한다.[3][4][5]

초선은 3계9지(三界九地)의 관점에서는 첫 번째 (地)로서 욕계에 속한 욕계오취지(欲界五趣地) 즉 욕계산지(欲界散地) 다음의 두 번째 (地)로서 색계에 속한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라고 불리는데, 욕계를 떠남[離]으로서 생기[生]는 기쁨[喜]과 즐거움[樂]을 느끼는 선정의 상태[地]이다.[6][7][8] 달리 말해, 지속적인 선정 수행을 통해 욕계의 속박을 일시적으로나마 벗어나는 상태가 될 때 그것에 따른 자연적인 기쁨과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이다.

선정을 구성하는 요소인 정려지(靜慮支)의 관점에서 보면, 초선은 (尋) · (伺) · (喜) · (樂) · 심일경성(心一境性)의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5] 즉, 초선의 본질은 4선 또는 5선의 다른 색계 선정들이나 4무색정무색계 선정들과 마찬가지로 심일경성집중삼마지이다.[9][10][11][12][13] 그리고 (尋) · (伺) · (喜) · (樂)은 초선이 다른 선정들과 구별되는 차이점이다.[9][14][15] 그리고 정려지로서의 (喜) · (樂)은 곧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의 기쁨[喜]과 즐거움[樂]을 뜻한다.

(尋)과 (伺)는 부정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인데, (尋)은 대상을 개략적으로 인식하는 마음작용으로 거친 생각 또는 대강의 생각을 뜻하고,[16][17] (伺)는 대상을 자세하게 인식하는 마음작용으로 자세한 생각 또는 정밀한 생각을 뜻한다.[18][19] 보다 구체적으로 선정 수행의 관점에서 볼 때, (尋)은 명상 대상에 마음과 마음작용을 의식적으로 기울이는 것으로, 일으킨 생각을 의미한다.[20] 그리고 (伺)는 마음을 대상에 지속적으로 초점화하는 것으로, 지속적 고찰을 의미한다.[21]

이것은 초선이란 대상에 대해 의식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지속함으로 인해 획득되는, 즉, 를 통해 획득되는, 욕계를 떠남[離]으로서 생기[生]는 기쁨[喜]과 즐거움[樂]을 느끼는 상태라는 것을 뜻한다.[5] 달리 말해, 초선을 성취하는 방법이란 (尋)과 (伺)의 단련 또는 개발이 그 방법이라는 것을 뜻한다.

초선을 (尋)과 (伺) 두 가지가 모두 존재하는 선정삼마지심일경성이라고 하여, 유심유사삼마지(有尋有伺三摩地)라고도 한다. 구역(舊譯)에서는 (尋: 의식적으로 마음을 기울임)을 각(覺: 알아차림)이라고 하고 (伺: 지속적으로 초점화함)를 관(觀: 관찰)이라 하기 때문에 유각유관삼마지(有覺有觀三摩地)라고도 한다.[5] 이 명칭들은 한편으로는 초선의 특징을 말하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초선을 성취하기 위한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22][23][24][25][26][27]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