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색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3][4][5][6]
- 불교의 우주론에서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이다.
- 불교의 우주론에서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 · 멸계(滅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이다. 이들 중 멸계는 진계(盡界)라고도 한다.
- 초기불교의 법체계인 18계 가운데 하나이다. 이 경우의 색계(色界)는 5온 가운데 색온(色蘊)의 일부이며, 12처 가운데 색처(色處)에 해당하고 6경 가운데 색경(色境)에 해당한다.
이 문서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경우의 색계에 대해 다룬다. 세 번째 경우는 "색경"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
색계(色界, 산스크리트어: rūpa-dhātu)에서 색(色, 산스크리트어: rūpa)은 물질을 뜻하는데, 불교에서 물질은 변괴성(變壞性)과 대애성(對礙性)을 가진 법, 즉, 변하고 허물어지는 성질[變壞性]과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때 동일 유형의 다른 사물이 그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장애하는 성질[對礙性]을 가진 사물이라고 정의된다. 대애성은 질애성(質礙性)이라고도 한다.[7][8] 따라서 문자 그대로의 뜻으로는 색계는 물질[色]로 이루어진 세계를 뜻한다.
한편, 욕계(欲界)라는 명칭은 식욕(食欲) · 수면욕(睡眠欲) · 음욕(淫欲)의 욕계 3욕(欲界三欲)과 외적 대상인 5경에 대한 탐욕인 5욕(五欲) 등을 비롯한 각종 욕구[欲] 혹은 탐욕[欲]이 지배적인 세계라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그리고, 색계와 마찬가지로 욕계도 욕계의 물질로 이루어진 소의신을 가지고서 욕계의 기세간에 거주하고 있는 유정들도 통칭하는 개념이다.[9][10][11]
색계(色界)는 욕유(欲有) · 색유(色有) · 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색계의 존재[有]'라는 뜻의 색유(色有)와 동의어이다. 다만 '유(有)'라고 할 때는 '윤회하는 존재' 즉 '아직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해 이 경지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윤회하면서 배움[學: 특히, 8정도, 계정혜 3학, 6바라밀]을 완성시켜야 하는 경지 또는 상태에 처해 있는 존재'라는 뜻이 강하다.[12][13][14][15]
불교에서 색계는 흔히 3계9지(三界九地)의 관점, 즉 선정(禪定)의 관점, 즉 수행의 관점에서 세분되어 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의 4가지 하늘[天], 즉 4선천(四禪天) 또는 4선(四禪)으로 나뉘어 다루어진다. 또한, 색계를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인 세계들 또는 처소[處]인 하늘 즉 천(天)이 몇 개인가의 관점에서 색계 17천(色界十七天) · 색계 18천(色界十八天)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등으로도 불리는데, 색계를 이루고 있는 하늘[天]들의 개수에 대해서는 경전과 논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16][17][18]
Remove ads
3계9지와 색계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에서 3계 또는 3유는 6도(六道) 28천(二十八天) 등으로 나뉘지만, 수행론과 번뇌론에서는 흔히 9지(九地)로 나뉜다. 9지 중 색계 또는 색유에 해당하는 것은 제2지인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부터 제5지인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까지의 4가지 지(地)이다.[19][20][21]
이들 4지(四地)의 각각을 순서대로 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이라고도 한다. 또는 초선천(初禪天) · 제2선천(第二禪天) · 제3선천(第三禪天) · 제4선천(第四禪天)이라고도 하며, 혹은 초정려(初靜慮) · 제2정려(第二靜慮) · 제3정려(第三靜慮) · 제4정려(第四靜慮)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들 4가지를 통칭하여 4선(四禪) · 4선천(四禪天) · 4정(四定) · 4정려(四靜慮) · 4정려천(四靜慮天) · 4정려처(四靜慮處) · 4생정려(四生靜慮) 또는 생정려(生靜慮)라고 한다.[22][23][24][25][26][27]
Remove ads
색계의 구조
요약
관점
개요
색계가 몇 가지 처소[處] 즉 하늘[天]로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해서 경전과 논서들의 의견이 한 가지로 일치하지 않는다.
대체로 말하자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에서는 색계에 열일곱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고, 상좌부와 대승불교에서는 색계에 열여덟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다. 이 두 견해 간의 차이는 색계의 4선천(四禪天) 가운데 제4선천(第四禪天)에 속한 무상천(無想天)을 제4선천의 제3천인 광과천(廣果天)에 속한 특정한 영역에 부여된 명칭일 뿐이라고 보는가, 혹은, 무상천(無想天)을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하는 별도의 처소[處] 즉 하늘[天]로 보는가에 의한 것이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한다.[30][31][32][33][34]
구성하고 있는 하늘[天]의 개수가 많은 것에서 적은 것의 순으로 몇몇 경전과 논서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35][36][37] 경전과 논서들은 가나다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구조 비교표
색계 16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93권,[85]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92][93]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94][95]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2권,[96][97] 《천태사교의집주》 제3권[90] 등에 기술된 비바사사의 견해에 따르면, 색계는 총 16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6천(十六天) 또는 16처(十六處), 즉 열여섯 하늘[十六天] 또는 즉 열여섯 처소[十六處]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16천(色界十六天) 또는 색계 16처(色界十六處)라고 한다. 한편,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9권에서도 색계의 하늘[天]로 열여섯 하늘(十六天)을 열거하고 있다.[98][99]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등에서는 색계에 흔히 17천이 있다고 말하는데, 위의 논서들에 따르면 16천이 있다는 것이 설일체유부의 정통파인 비바사사의 견해이다. 《구사론》에 따르면, 색계에 17천이 아니라 16천이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이래 인용문에 나타난 바와 같다.[100][101]
《중아함경》 제9권과 《현종론》 제12권의 색계 16천 그리고, 비교를 위해, 《구사론》 제8권의 색계 17천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해당 경전과 논서에 따른 것이다. 다만, 《중아함경》의 해당 부분에서는 16천을 초정려처 · 제2정려처 · 제3정려처 · 제4정려처로 구분하고 있지 않으며 그냥 쭉 나열하고 있다. 비교의 편의를 위해 편집자가 구분하였다.
중아함경의 색계 16천[102][103] | 현종론의 색계 16천[104][105] | 구사론의 색계 17천[106][107] |
---|---|---|
|
색계 17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 등에 따르면, 색계는 총 17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7천(十七天) 즉 열일곱 하늘[十七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이라고 한다.[108][109]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17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현장의 한역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른 것이다. 욕계에 총 20가지의 처소[處]가, 색계에 총 17가지의 처소가, 무색계에 총 4가지의 처소가 있다.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엄밀히 말하면, 무색계는 상하로 구분된 처소가 없으며 무색계의 4가지 처소는 이숙생에 따른 뛰어남과 열등함의 차이에 따른 구분일 뿐이다.[110][111]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서도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다.[77][78]
구사론의 3계[112][113] (5취 · 6욕천 · 색계 17천 · 무색계 4천) |
---|
|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는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아래 표와 같다. 비교를 위해, 《천태사교의》에서 설하고 있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구사론의 색계 17천 [120][121] | 금광명최승왕경의 색계 17천 [66][67] | 아비담심론경의 색계 17천 [79] | 창소지론의 색계 17천 [81] |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122] |
---|---|---|---|---|
|
색계 18천
대승불교의 천태종의 논서인 제관의 《천태사교의》 등에 따르면, 색계는 총 18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8천(十八天) 즉 열여덟 하늘[十八天]이라고 한다. 18생처(十八生處)라고도 한다.[123]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이라고 한다.[124][125][126][127][128]
《천태사교의》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18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해당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천태사교의》에 따른 것이다. 욕계에 지옥도(地獄道) · 축생도(畜生道) · 아귀도(餓鬼道) · 아수라도(阿修羅道) · 인도(人道)의 5도와 6욕천이 있으며, 색계에 총 18가지의 하늘[天]이 있으며, 무색계에 총 4가지의 하늘[天]이 있다. 6욕천과 색계 18천과 무색계 4천을 합하여 총 28천(二十八天)이 있으며, 이 28천이 6도 가운데 천도(天道)를 이룬다.[129][130]
천태사교의의 3계[131][132] (6도 · 6욕천 · 색계 18천 · 무색계 4천) |
|
---|---|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는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아래 표와 같다. 비교를 위해, 《구사론》에서 설하고 있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141] | 집론 · 잡집론의 색계 18천 [142][143][144][145] | 불설입세아비담론의 색계 18천 [146][147] | 구사론의 색계 17천 [148][149] |
---|---|---|---|
색계 21천
대승불교 경전인 《60권 화엄》 제13권과 《80권 화엄》 제21권 등에 따르면, 색계의 하늘에 21가지가 있으며, 이것을 21천(二十一天) 즉 스물하나 하늘[二十一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21천(色界二十一天)이라고 한다.[150][151]
《60권 화엄》 제13권과 《80권 화엄》 제21권 등에 따른 색계 21천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152][153][154][155]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해당 경전에 따른 것이다. 《장아함경》 제20권의 색계 22천과 비교해 보면,[156][157] 색계 21천의 목록 모두에는 무상천(無想天)이 제외되어 있다.[158]
60권 화엄의 색계 21천[159][160] | 80권 화엄의 색계 21천[161][162] | 대반야경의 색계 21천[163] |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64][165] |
---|---|---|---|
60권 화엄의 색계 21천[166][167] | 불본행집경의 색계 21천[51][168] | 대반야경의 색계 21천[169] |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70][171] |
---|---|---|---|
색계 22천
초기불교 경전인 《장아함경》 제20권과 《기세경(起世經)》[172] 제8권 등에 따르면, 색계의 중생에 22종류가 있으며, 이것을 22천(二十二天) 즉 스물둘 하늘[二十二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또는 색계 22종(色界二十二種)이라고 한다.
《장아함경》과 《기세경》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22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장아함경》과 《기세경》에 따른 것이다. 욕계의 중생에 총 12종이 있으며, 색계의 중생에 총 22종이 있고, 무색계의 중생에 총 4종이 있어, 총 38종의 중생(三十八種衆生)이 있다.[173][174][175][176]
장아함경의 3계[177][178] (6도 · 7욕천 · 색계 22천 · 무색계 4천) | 기세경의 3계[179][180] (6도 · 7욕천 · 색계 22천 · 무색계 4천) |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을 설하고 있는 경전과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다음과 같다.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81][182] | 기세경의 색계 22천[183][184] | 대반야경의 색계 22천[41] | 대승의장의 색계 22천[185] |
---|---|---|---|
Remove ads
용어 표
요약
관점
다음은 《구사론》의 색계 17천,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그리고 《장아함경》의 색계 22천을 중심으로 한, 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용어 표이다. 아래표에서 예를 들어 '사교의: (1)'에서 '(1)'은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에서의 해당 하늘의 순서를 나타낸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불타발타라 한역, 이운허 번역 (K.79, T.278). 《대방광불화엄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79(8-1), T.278(9-39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
-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번역자 미상 (K.647, T.1). 《장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7(17-815), T.1(1-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660, T.24). 《기세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60(19-263), T.24(1-310).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802, T.190). 《불본행집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802(20-586), T.190(3-65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중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실차난타 한역, 이운허 번역 (K.80, T.279). 《대방광불화엄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80(8-425), T.279(10-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0권 화엄》《신화엄(新華嚴)》《당경(唐經)》 또는 《당본(唐本)》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6(16-228), T.1606(31-694).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의정 한역, 장용서 번역 (K.127, T.665). 《금광명최승왕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127(9-1291), T.665(16-403).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7(28-1), T.1563(29-777).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진제 한역, 조환기 번역 (K.962, T.1641). 《불설입세아비담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62(28-555), T.1641(32-158).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 (중국어) 몽윤 집 (P.1629). 《천태사교의집주(天台四教儀集註)》. 영락북장(永樂北藏). P189, No. 1629, CBETA. 2018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0일에 확인함.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2015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법승 론, 우파선다 석, 나련제야사 한역 (T.1551). 《아비담심론경(阿毘曇心論經)》. 대정신수대장경. T28, No. 155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불타발타라 한역 (T.278).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정신수대장경. T9, No. 278,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
- (중국어)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T.1). 《장아함경(長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1, CBETA. 2012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사나굴다 한역 (T.24). 《기세경(起世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4, CBETA.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사나굴다 한역 (T.190).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 대정신수대장경. T3, No. 190,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2012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T.26). 《중아함경(中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6,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실차난타 한역 (T.279).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정신수대장경. T10, No. 279,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0권 화엄》《신화엄(新華嚴)》《당경(唐經)》 또는 《당본(唐本)》
- (중국어)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6, CBETA.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0일에 확인함.
- (중국어) 의정 한역 (T.665).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대정신수대장경. T16, No. 665,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제관 록 (T.1931). 《천태사교의(天台四教儀)》. 대정신수대장경. T46, No. 193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63,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진제 한역 (T.1644). 《불설입세아비담론(佛說立世阿毘曇論)》. 대정신수대장경. T32, No. 1644,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大乘義章)》. 대정신수대장경. T44, No. 185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