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최순우

대한민국의 미술사학자 (1916–1984)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최순우
Remove ads

최순우(崔淳雨, 본명: 최희순, 본명 한자: 崔熙淳, 1916년 4월 28일~1984년 12월 16일)는 대한민국의 동양미술고고사학자작가이자, 미술 평론가 및 대학 교수수필가이기도 하고, 박물학자 및 국립박물관단체인 겸 교육인이다.

간략 정보 최순우, 작가 정보 ...
간략 정보 최순우 ...

본관양천(陽川)으로, 본명최희순(崔熙淳)이며, (號)는 혜곡(兮谷)이다.

Remove ads

생애

출생·학창 시절·청년 시절·가족 관계

1916년 일제강점기 시대 경기도 개성군 송도면 지파리(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성시 자남동)에서 태어났다. 황해도 해주부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냈으며, 1935년 3월에 경기 개성의 송도고등보통학교졸업하였다. 일단, 고유섭·전형필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고미술 문화재 전문가로 처음 성장해 나가기 시작했다.

부인 박금섬[1] 여사와의 사이에 일제 시대 경기도 개성부에서 1944년(29세 당시)에 득(得)한 슬하 무남독녀 외동딸 최수정[2] 여사가 있다.

주요 경력

일제강점기 조선 시대

1945년 8월 15일 을유해방 이후

  • 1946년 4월 12일, 개성부립박물관 제2대 관장 해직.
  • 1946년 5월 13일, 부인(박금섬 여사)과 외동딸(최수정)만 셋이서 대동하고 미군정 조선 시대경기도 부천군으로 월남.
  • 1946년 10월부터 5년간 문학 동인지 『순수(純粹)』의 주간 등을 지내며 최순우(崔淳雨)라는 필명으로써 본격적인 순수 수필 문학가로도 활약.
  • 1947년 11월에 부인·외동딸과 함께 미군정 조선 시대의 수도 서울마포로 이주.

1948년 8월 15일 무자광복 및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Remove ads

저서

수필

  • 1994년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 (1977년 집필. 1984년 사후 1994년 유작 발표.)
  • 2002년 《나는 내 것이 아름답다》 ... (1978년 집필. 1984년 사후 2002년 유작 발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