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칠곡향교 대성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칠곡향교 대성전map
Remove ads

칠곡향교 대성전(漆谷鄕校大成殿)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에 위치한 대구광역시의 건축물이다. 향교 내부에는 1982년 3월 4일 대구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6호로 지정된 대성전이 있다. 전통혼례·석전대제·기로연·교양강좌·전통예절 등 다양한 교육과 체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1]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국가에서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의 서원(書院)과 더불어 인재 양성의 중심지로서 지방 교육과 문화의 거점 역할을 하였다.

칠곡향교는 언제 처음 지었는지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조선 태조 7년(1398)에 세운 것으로 전해지지만 고증할 수 있는 문헌이 남아있지 않고, 현재 향교에는 조선 인조 임오년(1642년)에 창건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

대성전은 17세기 초에 세운 것으로 1907년에 크게 보수하였다. 현재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남아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공자를 비롯한 그의 제자들과 한국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현재는 전통문화체험관을 운영하고 있다.[3]

Remove ads

시설 현황

칠곡향교는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배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즉, 앞쪽에는 배움의 장소인 명륜당이, 뒤쪽에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자리잡고 있다. 대성전은 박공지붕을 얹은 익공계 건물로, 1고주 5량 구조로 되어 있으며, 앞쪽이 개방되어 있어 제례를 치르기 편리하게 설계되었다. 이곳에는 공자, 맹자, 송조 10철, 조선 18현이 봉안되어 문묘 공간을 이루고 있다.[4]

2017년 총 1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132개의 야간 조명을 설치하였다. 조명을 밝힘으로써, 야간 조명에 비친 아름다운 건축물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5]

체험 목록

매년 봄과 가을에는 석전대제를 봉행하며, 1989년부터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서예교실, 충효교실을 운영하기 시작하였고, 현재도 서예, 다도, 삼국유사, 경전 등 다양한 교양 강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6] 잊혀져가는 전통 혼례풍습을 되살리기 위하여 전통혼례식장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전통문화체험관에서는 매주 수요일마다 한문(漢文), 원전(原典)과 관련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Remove ads

교통

칠곡중학교 앞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버스: 527, 칠곡3, 급행3

칠곡중학교 건너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버스: 527, 칠곡3


참고 자료

외부 링크

개요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