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토프릴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캡토프릴(Captopril, 상표명: Capoten 등)은 고혈압 및 일부 유형의 심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ACE 억제제이다.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2S)-1-[(2S)-2-methyl-3-sulfanylpropan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62571-86-2 |
ATC 코드 | C09AA01 |
PubChem | 44093 |
드러그뱅크 | DB01197 |
ChemSpider | 40130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9H15NO3S |
분자량 | 217.29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70–75%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
생물학적 반감기 | 1.9 hours |
배출 | 콩팥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D(오스트레일리아)D(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
1976년 특허를 받아 1980년 의학용으로 승인되었다.[1]
부작용
캡토프릴의 부작용으로는 브래디키닌의 플라스마 수치 증가로 인한 기침, 혈관부종, 과립구 감소증, 단백뇨, 고칼륨혈증, 이상미각, 기형, 기립성 저혈압, 급성신부전, 백혈구 감소가 포함된다.[2] 캡토프릴의 짧고 빠른 방식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체위성 저혈압을 제외하고, 언급되는 거의 대부분의 부작용들은 모든 ACE 억제제에 일반적이다. 이 중에 기침이 가장 흔한 부작용이다. 특히 혈액 내 칼륨 수치를 증가시키는 다른 약물과 함께 복용하면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그 밖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과다복용
역사
1976년 특허를 받았으며 1980년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1] 개발된 최초의 ACE 억제제이며 동작 구조와 개발 과정 면에서 중대한 발견으로 간주되었다.[6] 캡토프릴은 노벨상 수상자 존 베인(John Vane)이 개척한 개념에 기반하여 E. R. Squibb & Sons Pharmaceuticals에서 발견되고 개발되었으며 현재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에 의해 마케팅된다.[7]
캡토프릴은 미국의 의약 기업 스큅(현재의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의 3명의 연구원들에 의해 1975년 개발되었다: Miguel Ondetti, Bernard Rubin, David Cushman. 스큅은 1976년 2월 이 약물의 미국 특허 보호를 신청했으며 1977년 9월 미국 특허 4,046,889가 부여되었다.
화학 합성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