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코니어스 헤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코니어스 헤링
Remove ads

윌리엄 코니어스 헤링(영어: William Conyers Herring, 1914년 11월 15일~2009년 7월 23일)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스탠퍼드 대학교의 응용물리학 교수였으며 1984/85년에 울프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간략 정보 출생, 사망 ...
Remove ads

학술 경력

1937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유진 위그너의 지도를 받아 "브릴루앙 영역 이론의 에너지 일치에 대하여(On Energy Coincidences in the Theory of Brillouin Zones)"라는 제목의 논문을 제출하며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46년, 그는 뉴저지주 머레이 힐에 있는 벨 연구소의 기술 직원으로 합류하여 1978년까지 재직했다. 그 후,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로 합류했다.

연구 업적

헤링은 고체 물리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금속반도체의 밴드 구조 계산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1940년에는 직교 평면파 방법(O.P.W.)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공헌에 있어 시대를 앞서갔다. 오늘날 생산되는 현대 고체 물리학의 상당 부분이 이 독창적이고 초기 논문에서 비롯된다.

1937년에 2015년에 실험적으로 입증된 바일 준입자를 나타내는 물질인 바일 준금속의 존재를 예측했다.[2]

고체 물리학 발전에 대한 그의 영향은 표면 물리학, 열전자 방출, 반도체의 수송 현상, 스핀파와 같은 고체의 집단 여기 등 다양한 측면에 대한 깊은 이해로 이어진다.

벨 전화 연구소에 이론물리학 부서를 설립했다. 이로 인해 이 기관의 전체 연구 노력은 20세기 후반 응집물질 물리학에서 가장 독창적인 연구의 많은 부분을 가져왔다. 또한 과학자들 간의 국제 협력을 촉진하는 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으며, 그의 인격과 개인적인 모범을 통해 모든 분야의 연구 학자가 어떻게 활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다소 달성하기 어려운 이상을 보여주었다.

종교와 과학 토론에 기여했다. 그는 하느님에 대해 "진리, 선함, 심지어 행복과 같은 것들은 항상 존재하며, 지금 여기에 있고 나에게 개인적으로 이용 가능한 힘 덕분에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3]

Remove ads

브레인 박스

헤링은 물리학 문헌에 대한 박식함으로 유명했으며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참고 문헌을 3-by-5-인치 (76 by 127 mm) 인덱스 카드에 요약했다. 그는 이 카드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브레인 박스"라고 부르는 검은색 여행 가방에 보관했다. 학창 시절부터 시작된 브레인 박스는 그의 경력 내내 성장하여, 결국 10만 개 이상의 참고 문헌이 있는 15,000개의 인덱스 카드를 담게 되었다.[4] 헤링이 사망한 후 로버트 B. 로플린이 브레인 박스를 디지털화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5]

수상 및 영예

1954년 6월, 포춘에서 "미국 대학 및 산업의 최고 젊은 과학자들"로 선정된 40세 미만 과학자 20명 중 한 명이었다.[6] 1984/85년 코니어스 헤링은 "고체의 근본적인 이론, 특히 금속 내 전자의 행동에 대한 주요 공헌"으로 필립 노지에르와 함께 울프 물리학상을 수상했다.[7] 1980년에는 국립 과학원으로부터 NAS Award for Scientific Reviewing을 수상했다.[8]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