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콜로폰 (도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콜로폰 (Colophon, 고대 그리스어: Κολοφών Kolophṓn[*])은 이오니아해에 있던 고대 도시이다. 기원전 제2천년기가 끝날 무렵에 건립된 이곳은 이오니아 동맹의 열두 도시 중에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였다. 레베도스 (서쪽으로 120 스타디온)와 에페소스 (남쪽으로 70 스타디온) 사이에 위치했었다. 이곳의 유적지는 터키 이즈미르주 멘데레스군의 데이르멘데레(Değirmendere)라는 마을 남쪽에 있다.
콜로폰이라는 이름은 이곳이 융기선 지점에 위치해 있어 '정상'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κολοφών(또한 '정점을 찍는다'라는 비유적 표현으로 판권장을 뜻하는 영단어 colophon의 어원이기도 )에서 비롯했다. 송진을 뜻하는 영단어 'colophony'는 '콜로포니아 레시나'(colophonia resina, 고대 그리스어: Κολοφωνία ῥητίνη)에서 나온 것으로,[1][2] 콜로폰의 소나무에서 나온 송진이 현악기의 활의 마찰을 늘려주어 귀한 취급을 받았었다.[3]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아폴로도로스와 프로클로스에 의하면, 신화 속 예언가 칼카스가 트로이 전쟁이 끝나고 콜로폰에서 죽었다고 한다. 스트라본은 클라로스가 그의 사망지라고 언급하며, 이후 콜로폰 지역 내 숭배 중심지가 되었다고 한다. 한 신탁에서 그가 그 자신보다 뛰어난 예언자를 만나게 될 때 죽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칼카스와 다른 영웅들이 트로이에서 복귀하던 중에 콜로폰에서 몹소스라는 예언자를 만나게 되었으며, 이 둘은 예언 능력을 두고 겨루었다. 칼카스는 아폴론과 만토의 아들이었던 몹소스와 예언 능력으로 견주지 못했고, 따라서 사망하고 말았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아테네의 왕 코드로스의 아들들이던 다마시크톤와 프로메토스 등이 콜로폰이 있던 자리에 식민지를 세웠다 (프로메토스는 이후 다마시크톤을 살해했고, 그런 다음 낙소스로 달아나 그곳에서 죽었으나, 그의 시신은 다마시크톤의 아들들에 의해 콜로폰으로 다시 옮겨져, 콜로폰 근처에 놓였다). 철학자 크세노파네스와 시인 안티마코스와 밈네르모스의 출생지이다.
콜로폰은 이오니아 도시 중에 가장 강한 도시이자 기병과 주민들의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으로 유명했으며, 기원전 7세기에 리디아의 기게스 왕에게 정복당한다. 그때부터 콜로폰은 쇠퇴의 길을 걸었고 인접한 에페소스와 점차 해상력을 키워가던 이오니아의 밀레토스에 가려지게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뒤, 페르디카스는 사모스섬의 아테네 이주민들을 콜로폰으로 추방하였으며, 여기에는 에피쿠로스의 집안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에피쿠로스는 군 복무를 마치고 가족들과 합류했다고 한다.
기원전 3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계자 (디아도코이) 중 한 명이자 후대 트라키아와 소아시아의 왕 (기원전 306년)이 된 마케도니아의 장교 리시마코스에 의해 파괴되는데, 그는 당시에 인접해 있던 이오니아 동맹의 도시 레베도스도 파괴했었다.
노티움이 콜로폰의 항구 역할을 했었으며, 인접한 곳에는 클라로스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아폴로 클라리우스의 신전과 신탁으로 유명했으며, 칼카스가 점술을 두고 몹소스와 겨뤘던 곳이었다.
로마 시대에 들어서, 리시마코스의 정복 이후에도 콜로폰은 재건에 실패했고 (레베도스와는 달리) 중요성을 상실했다. 실제로 지명도 노티움이라는 항구 마을로 넘어갔고, 후대에 들어서 펠레폰네소스 전쟁과 키케로 (기원전 5세기 후반에서 기원전 1세기) 사이에 아예 사라지게 되었다.
그밖에도, 이오니아 본토 지역의 중심지로서 호메로스의 거주지나 출생지로 언급되기도 했다. 루키아노스는 저서 '진실한 이야기'에서 히오스섬과 도시 스미르나와 더불어 이곳을 호메로스의 출생지 후보군에 언급했으나, 루키아노스는 호메로스의 출생지가 바빌론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Remove ads
교구
교회 전승에서는 콜로폰 교구의 초대 주교들로 소스테네스 (Acts 18:17, 1 Corinthians 1:1)와 튀키코스 (Titus 3:12)를 언급하나, 기록 상으로 남아있는 것은 431년 제1차 에페소스 공의회에 참석했던 에울라이오스(Eulalius) 또는 에우탈리오스(Euthalius)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등장했던 알렉산드로스이나 그거 직접 참석하지는 않았다.[4][5][6]
콜로폰은 이후에도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 '노티티아이 에피스코파투움'에서 로마의 아시아 속주 중심지 에페소스의 부주교구로서 언급된다.[7]
유명 인물
- 안티마코스 - 고대 그리스의 시인 및 문법학자
- 아펠레스 - 고대 그리스의 화가
- 헤르메시아낙스 (시인) - 헬레니즘 시대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엘레지 시인
- 헤르메시아낙스 - 아고네오스(Ἀγονέος)의 아들인 고대 그리스의 레슬링 선수로, 고대 올림피아 제전에서 소년부 레슬링 종목에서 우승을 한 바 있고 콜로폰 지역사회에서 그를 위한 조각상을 세운 바 있었다. 시간이 흘러, 그의 외손자인 이카시오스(틀:Langx) 역시도 올림피아 제전 레슬링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9]
- 밈네르모스 - 고대 그리스의 엘레지 시인
- 크세노파네스 -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신학자, 시인, 사회 및 종교 비평가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