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콰시오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콰시오커(Kwashiorkor[1])는 부종과 지방 침윤이 있는 간의 비대를 특징으로 하는 심각한 단백질 영양장애의 한 형태이다.[2] 칼로리 섭취는 충분하지만 단백질 섭취가 부족(혹은 양질의 단백질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마라스무스와 구별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β-카로틴, 라이코펜, 기타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와 같은 항산화 미량 영양소의 부족과 아플라톡신의 존재가 질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3] 그러나 콰시오커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부적절한 식량 공급은 콰시오커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고소득 국가에서의 발생은 드물다.[4] 젖을 뗀 어린이부터 약 5세 사이에 발생한다.[2]
콰시오커와 유사한 조건은 역사를 통틀어 전 세계적으로 잘 기록되어 있다.[5] 그러나 자메이카 소아과 의사인 시슬리 윌리엄스는 질병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인 설명을 발표한 지 2년 후인 1935년에 이 용어를 도입했다. 윌리엄스는 콰시오커에 대한 연구를 최초로 수행하고 다른 식이 결핍과 구별했다. 그녀는 이것이 단백질 결핍일 수 있다고 제안한 최초의 사람이었다.[6][7] 모유에는 아이의 성장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다. 위험에 처한 인구에서 콰시오커는 어린이가 모유에서 젖을 떼고 옥수수, 카사바 또는 쌀을 포함한 탄수화물이 많은 식단을 섭취하기 시작한 후에 발생할 수 있다.[8][6]
어린이의 경우, 징후는 발의 양측 부종이다. 부종은 또한 손, 몸통 및 얼굴과 관련될 수 있다. 콰시오커는 지방간이 특징이다. 영양결핍 표현형의 이 지방간은 종종 염증과 섬유증의 증거를 동반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