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코를라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코를라시
Remove ads

코를라시(위구르어: كورلا شەھىرى 코를라 시, 몽골어: Хорл, 중국어 간체자: 库尔勒市, 정체자: 庫爾勒市, 병음: Kù'ěrlè Shì, 중국조선어: 쿠르러, 영어: Korla) 또는 쿠를라시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의 주도이자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이곳은 현급시이자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가장 큰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의 중심지이다.

간략 정보 행정 단위, 면적 ...

옛날부터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도시로 번창했었지만, 최근에는 타림 유전이 개발되면서 유전개발의 기지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한족이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대다수를 차지하던 위구르족은 거주지를 잃고 한족이 70%를 차지하고 있다.

코를라는 적어도 한나라 시대부터 존재했다. 코를라는 향기로운 생산으로 유명하며 타림 유전의 생산 중심지이기도 하다.

Remove ads

지리

요약
관점

코를라는 우루무치시에서 남서쪽으로 약 200 킬로미터 (120 mi) 떨어져 있지만, 중간에 톈산산맥이 있어 도로 거리는 훨씬 더 길다.

카라샤르로 이어지는 철문관은 도시에서 북쪽으로 약 7 킬로미터 (4.3 mi) 떨어져 있으며, 방어가 용이하여 북쪽에서 오는 유목민의 침략으로부터 고대 비단길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콘치강 또는 쿵췌강으로도 알려진 카이두강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도시들 중 독특하게 코를라의 중심부를 흐른다. 중국 이름 "쿵췌강"의 문자적 의미는 "공작새 강"이지만, 이 이름은 "무두장이의 강"을 의미하는 위구르어 이름 "콘치 다리야"의 의미론적으로 왜곡된 음역에서 유래했다.[1]

코를라는 우루무치에서 남서쪽으로 200 km 떨어져 중간에 톈산산맥이 있어 도로 거리는 훨씬 더 길다. 얀키(카라샤르)로 가는 톄먼관(철문관)은 도시의 북쪽 7 km 지점에 있다. 그곳은 방어하기 쉽기 때문에 고대 비단길을 북쪽의 유목민으로부터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콩큐강은 쿠얼러의 중심을 통해 흐르며 그것은 신장에서는 독특한 특색이다. 공작강으로 자주 오역되는 중국의 콩큐라는 단어는 실제로 위구르어 콩키에서 나왔고 물이 많음을 의미한다.

코를라는 카라샤르 다음의 영역 내에 최대의 중심이었다. 풍부한 물과 넓은 농원을 지니며 카라샤르의 남서쪽으로 가는 길을 지배한다. 타클라마칸 사막에서 유전을 발견하여 코를라는 이제 카라샤르보다 더 개발되었고 인구도 많아졌다.

호수

Thumb
신장 최대의 보스텅 호수

보스텅(博斯腾) 호수는 중국 최대의 담수호수로 수역 면적은 1,400km에 달한다. 호수는 해발 1,048m이며 평균 8m의 수심을 가지고 있다. 2007년에 내륙어항 건설을 시작할 정도로 붕어나 새우, 진주조개, 농어 등이 풍부하다. 여름에는 신장 지역의 피서지로 금사탄(金沙灘) 해수욕장은 내륙의 피서지로서는 낯설고 신기한 풍경을 제공한다.

기후

코를라는 한랭 사막 기후(BWk)를 띠며, 기온에 극심한 계절적 변화가 있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의 -6.6도에서 7월의 26.8도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12도로, 같은 위도의 동쪽 지역 대부분보다 따뜻하다. 연간 강수량은 총 59.2mm에 불과하며 대부분 여름에 내리는데, 이는 연간 증발량 약 2,800mm과 비교된다. 연간 일조시간은 약 3,000시간이다. 연평균 무상 기간은 210일이다. 4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은 아열대 기후와 매우 유사하지만, 겨울로 접어들면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은 대륙성 기후의 특징이다.

자세한 정보 코를라, 고도 900 m (3,000 ft), (1991–2020년 평년, 1971–2020년 극값)의 기후, 월 ...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한나라

코를라는 한나라 시대에 위리(尉犁 또는 거리국)(첫 글자의 재구성된 발음: *i̯wəd)[6]로 알려져 있었다. 위리는 '한서' 또는 '전한 역사'(기원전 125년부터 서기 23년까지의 기간을 다룸)에 따르면 1,200가구, 9,600명, 그리고 무기를 들 수 있는 2,000명의 인구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남쪽으로 선선과 체모(차르찬)와 인접해 있었다고 언급한다.[7]

서기 61년, 흉노는 코를라, 카라샤르, 쿠차 등 15개 왕국에서 약 3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호탄에 대한 성공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서기 94년, 중국의 반초 장군은 병사들을 보내 연기(카라샤르), 위쉬(호슈드), 위리(코를라), 산궈(쿠루크산맥 서부) 왕국들을 응징했다.

"그는 연기(카라샤르)와 위리(코를라) 두 왕의 머리를 수도로 보내 만과 이 부족 왕자들의 거주지(뤄양시) 앞에 걸어 놓았다. (반)초는 그 후 연기(카라샤르) 좌우후였던 원몽을 왕(카슈가르의)으로 임명했다. 위리(코를라), 위쉬(호슈드), 산궈(쿠루크산맥 서부)의 왕들은 모두 교체되었다."[8]

"서역"의 반란(서기 106년–125년) 이후, 코를라와 호슈드의 왕들만이 중국에 복종하기를 거부했다. 반초의 아들 반용둔황시의 총독과 함께 그들을 공격하고 물리쳤다.[9]

Thumb
타클라마칸 사막

삼국 시대

3세기 위략 기록에 따르면 코를라, 호슈드, 산왕(산궈)은 모두 카라샤르의 속국이었다.[10]

예티샤르

동시대 역사가 무사 사이라미 (1836–1917)는 예티샤르의 통치자 야쿱 벡이 1877년 5월 30일 코를라에서 야르칸드의 전 하킴(하킴) 니야즈 하킴 벡에게 독살당했다고 기록했다[11]. 하지만 니야즈 하킴 벡과 다른 자료들은 그의 죽음이 자살이거나 청나라와의 전투 중 사망했다고 주장한다.[11][12]

Thumb
코를라의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청나라

프랜시스 영허즈번드는 1887년 베이징시에서 인도로 육로를 여행하던 중 "코를리아"를 지나갔다. 그는 이 도시가 번성하고 주변 지역이 잘 경작되어 자신이 지나온 다른 어떤 도시보다 경작지가 많았다고 묘사했다. 옥수수가 주요 작물인 것 같았지만 쌀도 재배되었다. 약 400 야드 (370 m) 사방의 작은 중국 마을이 있었는데, 진흙 벽은 약 35 피트 (11 m) 높이였고 해자가 있었다. 모서리에는 둥근 성벽이 있었지만 성문에는 없었다. 남쪽으로 1마일(1.6km) 떨어진 곳에는 튀르크족 마을이 있었지만, 그 벽은 폐허가 되어 있었다. 길이 약 700 야드 (640 m)의 주요 거리가 하나 있었다. "상점들은 카라샤르보다는 약간 나았지만, 투루판시보다는 좋지 않았다."[13]

중화인민공화국

코를라는 1979년 9월 30일에 시로 편입되었다.[14]

1965년 1월 8일, 코를라(쿠를라)의 국영 농장에서 반공 폭동이 일어났을 때, 170명 이상의 중국 공산당 간부들이 몽골인들에 의해 불태워졌다.[15]

2019년 9월, ASPI(국방 산업 자금을 지원받는 호주 싱크탱크)[16][17]가 수백 명의 소수 민족 죄수들을 대규모로 이송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주장하는 드론 영상이 공개되었고, 이 영상에 대해 호주 외무장관 머리스 페인은 "매우 충격적"이라고 평했다.[18]

Remove ads

경제

Thumb
도심을 가로 지르는 공작하


코를라는 풍부한 물과 광대한 농지, 그리고 카라샤르/옌치 남쪽과 서쪽으로 향하는 주요 경로를 통제하며, 오랫동안 카라샤르/옌치 자체 다음으로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중심지였다. 타클라마칸 사막에서 석유가 발견된 이후, 코를라는 이제 카라샤르/옌치보다 인구가 많고 더 발전했다. 페트로차이나타림 유전 운영 본부는 코를라에 있다.[19][20]

2019년 이 도시는 45억 7,200만 위안의 재정 수입을 보고했다.[19] 같은 해, 도시의 국내총생산은 5.6% 성장했고, 비유동자산 투자는 10% 증가했으며, 정부 예산은 5% 증가했고, 소매 판매는 8% 증가했으며, 도시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2.3% 상승했다.[19]

코를라는 향기로운 (库尔勒香梨) 생산으로 유명하다.[21]

Thumb
코를라 전경

특산물

쿠얼러는 배의 산지로 유명하다. 쿠얼러 향배(庫爾勒香梨)는 당도와 맛으로 유명하다. 갈색의 한국 배와는 달리 초록색을 가지고 있으며, 언뜻 보기엔 사과처럼 보인다. 육질은 사과와 같고, 즙은 훨씬 더 풍부하고 달다.

교통

코를라는 G218, G314 국도, 남부 신장 철도, 거쿠 철로, 허뤄 철로 및 쿠얼러 리청 공항이 있는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다.

인구

2010년 중화인민공화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도시의 총 인구는 549,324명으로, 2000년 인구 조사에서 기록된 381,943명에서 크게 증가했다.[22] 이 도시는 23개의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2007년 이 도시의 인구는 43만 명으로 매년 2만 명씩 증가했으며, 대부분 한족이었고, 상당수의 위구르족 (약 10만 명)과 소수의 몽골인후이족이 거주했다.

자세한 정보 코를라시 민족별 비율, 2018년 ...

2020년 제7차 전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도시의 상주 인구(호구)는 1,613,979명이었다.[24] 2010년 제6차 전국 인구 조사의 21,813,334명과 비교하여 4,039,011명 증가했으며, 이는 18.52%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연평균 성장률은 1.71%이다. 이는 각각 전국 평균보다 13.14%포인트 및 1.18%포인트 높은 수치이다.[24]

Remove ads

볼거리

Thumb
철문관

신장에서 석유자원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신도시이므로, 볼거리보다는 숙박과 같은 인프라를 위해 들러는 곳이다. 음식과 숙박이 깨끗하므로 하루 쉬어가기 좋은 곳이다. 시내에서는 공원 등이 잘 정비되어 있고, 야시장 정도가 볼 만하다.[출처 필요]

이 도시의 주요 명소로는 철문관(鐵門關), 보스텅 호수(博斯腾湖),연꽃 연못(莲花池), 태양섬(太阳岛), 공주봉(公主峰), 위즈간 옛 도시(玉子干旧城), 투어우치 고대 도시(托务其古城), 아이리커 고대 도시(爱力克古城), 쿠얼추 토둔(库尔楚土墩), 자마이 모스크(加麦清真寺), 예윈거우 유적(野云沟遗址) 등이 있다.[25]

행정 구역

요약
관점
Thumb
코를라에 있는 바인궈렁 호텔. 호텔 이름은 중국어, 몽골어, 영어로 표기되어 있다.

코를라는 7개의 가도, 3개의 , 9개의 을 관할한다.[26]

자세한 정보 이름, 간체자 ...

기타:

  • 차얼치 원예농장 (库尔楚园艺场, چەرچى باغۋەنچىلىك مەيدانى)
  • 바오터우후 농장 (包头湖农场, باۋتۇخۇ دېھقانچىلىق مەيدانى)
  • 푸후이 농장 (普惠农场, پۇخۇي دېھقانچىلىق مەيدانى)
  • 바인궈렁 아와티 농장 (巴州阿瓦提农场, ئاۋات دېھقانچىلىق مەيدانى)
  • 바인궈렁 사이둥 원예농장 (巴州沙依东园艺场, ئوبلاستلىق سايدۆڭ باغۋەنچىلىك مەيدانى)
  • 바인궈렁 낙농농장 (巴州奶牛场, ئوبلاستلىق سۈتچىلىك فېرمىسى)
  • 푸후이 목장 (普惠牧场, پۇخۇي چارۋىچىلىق مەيدانى)
  • 징지 목장 (经济牧场, ئىقتىساد چارۋىچىلىق مەيدانى)
  • 코를라시 종자 농장 (良种场)
Remove ads

같이 보기

내용주 및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